이 글은 최근(2020~2023) 발굴된 부소산성 추정 서문지 일원 성벽에 대해 검토한 것이 다. 지금까지 부소산성 성벽 연구는 백제 성벽의 판축 구조물에 집중되었고, 백제~고려시 대 전체 성벽의 변천을 검토해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부소산에서 가장 중요한 백제 성벽의 구조와 공정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확립되지 못하였다. 이 같은 현황 속에 추정 서문지 일원에서 조사된 포곡식 백제 성벽은 구조와 공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확보되 었고, 백제 멸망 이후에도 통일신라시대까지 사용된 현황이 새롭게 확인 되었다. 먼저, 포곡식 성벽 조사 결과 백제~통일신라 성벽의 축조 공정과 변화가 확인되었다. “1.포곡식 성벽 백제(1~2단계): 1)기반층 정지–2)기저부 조성층–3)성벽(판축·내외 보 강층)–4)성벽 내외시설(1단계 완료)–5)증축시설(2단계)” → “2.포곡식 성벽 통일신라(3~4 단계): 1)1차증축(3단계)-2)2차증축(4단계)” → “3.포곡식 성벽 페성(5단계)”순이다. 그리고, 백제 성벽의 세부 축조 공정은 “1)기반층(원지반) 정지-2)기저부 조성층–3)성벽 조성(①목주용 내·외 구 굴착 및 목주 등 판축 구조물 설치+②내외부 보강층→③체성 판 축→④판축 구조물 해체 및 설치+내외부 보강층+체성 판축 등 2~3회 반복)→4)성벽 내외 시설(내부 석축 배수로, 외부 구상유구)” 순으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볼 때 백제 성벽 구조 는 “기저부[1)~2)]–체성부[3)]–성벽 내외시설[4)]” 등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곡부구간의 2구역 성벽에서 1·2차 기저부층 중간에 ‘목주용 구와 할석 부 석, 석축암거 및 주변 석축, 체성 하부 다짐 및 외벽 일부 석축’ 등을 시설하여 유수 및 침투 수로부터 붕괴를 막기 위한 수준 높은 작업 공정과 기술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3구역 판축 성벽 내외벽면에서 점토+기와로 미장(피복) 처리한 현황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백제 토 축 성벽의 내외 벽면 마감 방식에 대한 새로운 기법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현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단부횡보강 상세는 시공성과 생산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내진성능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RC 구 조벽체의 단부횡보강 상세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선재 제작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선조립철근의 제작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연속횡보강 철근 상세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각 연속횡보강 선조립철근 단부횡보강 상세를 적용한 RC 구조벽체의 모멘트-곡률 관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비선형 단면해석에 의하면 사각 연속횡보강의 상세를 적용한 RC 구조벽체 는 사각 연속횡보강 영역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각 연속횡보강 선조립 철 근의 상세 적용시, 단부횡보강 영역의 면적만큼 사각 연속횡보강 영역의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non-structural walls in apartment buildings subjected to an earthquake. It was believed that the presence of non-structural walls,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structural design process, was usually built together with structural walls and this led to significant damages to the apartment buildings in Pohang earthquake, 2017. In this study, a 22-story apartment building was selected and modeled to simulate the seismic behavior due to earthquakes. The story drift, performance point, and compressive strain in the walls were the main parameter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with the presence of non-structural walls.
최근 능력스펙트럼법, 직접변위기초설계법 등과 같은 성능에 기초한 내진 평가/설계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방법은 구조물의 비선형 주기거동에 의한 에너지 소산능력을 고려함에 있어 부정확한 경험식에 의존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편, 최근 연구에서 휨지배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하여 여러 설계변수의 영향을 고려하여 주기거동에 의한 에너지 소산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소산능력을 고려한 내진설계법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최근 연구에서 개발된 에너지 소산능력 산정법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전단벽 구조의 내진설계법을 개발하여, 기존의 내진설계법과 비교하였다. 제안된 설계법에서는 단면의 크기 및 형상, 축력, 철근비, 배근형태, 연성도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변수에 따른 에너지 소산능력의 변화를 정확히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method of steel-plate concrete(SC) walls subjected to explosive blast loads were carried out. Various approaches to assess the blast response were reviewed, such as static method, equivalent SDOF method, explicit FE method, and computational fluid-dynamic method. Finally, preliminary blast response evaluation of SC walls were performed using equivalent SDOF method.
Experimental observations and theoretical predictions were presented for a total of 8 reinforced concrete wall with all sides being exposed to ISO standard heating curve. In the modeling of wall axial deformation under constant load at varying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s, numerical models on heat transfer and spalling were considered along with the mechanical model. Based on the model, preditions on the fire resistance of the bearing wall under the axial load was presented.
건축물의 증가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의 목적으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세대간 병합을 위해 기존 벽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경우 개구부의 영향을 파악 하는 것을 목적으로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정적가력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개구부 유무에 따른 파괴현상은 벽판에 형성된 압축지주의 단면적이 감소함으로써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최대 내력은 개구부 설치에 따라 약 35%정도 감소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강성 및 에너지 소산능력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