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논 조건 적응 국수용 품종의 제분율 증가와 붉은곰팡이병 저항성 증진을 목적으로 1996년도에 백립계 춘파 다수성인 Bacanora88을 모본으로 하고, 현재 국내 최대 재배되고 있는 금강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YW2948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며 숙기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YW2948-B-B-1-1-1-1-1-1을 2005년과 2006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20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7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숙기가 빠르며 백립계이고, 붉은곰팡이병에 중도 저항성을 나타냈다. 제분율이 높으며 밀가루와 국수 색택이 밝고, 식미감이 우수하여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중모2004’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 등록 원부에 등록되었다. 중모2004의 파성은 III형으로 양절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크기로 백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 조건 조건에서 각각 4월 24일과 6월 4일로 금강밀보다 1~2일 빠르고, 논 조건에서는 각각 4월 21일과 6월 2일로 2일 빠르다. 내한성은 금강밀보다 약하지만 수발아 저항성은 금강밀보다 강하고,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은 감수성이다. 중모2004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지만, 밀가루의 품질과 국수 가공특성이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천립중은 42.5 g으로 금강밀보다 약간 적은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밭 조건 수량은 517 kg/10a으로 11% 감소하였고, 논 조건 수량은 534 kg/10a로 금강밀보다 3% 증수하였다.
“Joongmo2004”,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acanora88/Keumkang//Keumkang” during 1996. “Joongmo2004” was evaluated as “Iksan320” in advance yield trial test in 2006.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est between 2007 and 2009. Its heading date was April 26 in upland and April 23 in paddy filed conditions, and Maturing date was June 5 in upland and June 4 in paddy field, which were similar to Keumkang, respectively. It showed 830 in number of spikes per m2, 35 of grain number per spike, 44.9g of 1,000 grain weight, and 806g of test weight. “Joongmo2004” showed moderate to Fusarium head blight (Scab) in test of specific character although “Keumkang” is susceptible to scab. “Joongmo2004” had higher flour yield (75.5%) than “Keumkang” (72.5% and 0.42%, respectively). “Joongmo2004” showed similar ash (0.42%), lower protein content (12.3%), SDS-sedimentation volume (43.0ml) and gluten content (10.3%) than “Keumkang” (0.42%, 13.1%, 57.8ml and 10.8%, respectively). It showed higher lightness (89.97), redness (-1.38) and yellowness (10.76) in flour color than “Keumkang” (89.61, -1.15 and 9.46, respectively). “Joongmo2004” exhibited lower hardness (3.50N), similar springiness and higher cohesiveness of cooked noodles (0.92 and 0.65) compared to “Keumkang” (4.54N, 0.93, and 0.63, respectively). The average grain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5.17MT/ha in upland and 5.34 MT/ha in paddy field, which were lower 11% and higher 3%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Keumkan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