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3

        50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르네상스 초부터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던 해부학에 대한 문화적 관점과 1490년대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에서 출간된 해부학 서적의 삽화들을 토대로 미술과 의학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한다. 의학 분야는 해부학을 통해 경험을 보편적인 지식으로 구성해갔지만 당시 해부학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과정에서 예술가의 도움을 받아 기존 예술품을 차용해서 인간의 신체를 표현하고 도상학적 지식을 함께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의사와 예술가는 모두 개체를 설명할 수 있는 보편적 사유 구조를 공유할 수 있었고, 예술가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표현을 확장해갈 수 있었다. 이런 점은 매너리즘 이후 아카데미의 설립 과정에서 진행된 해부학의 논쟁이나 바르톨로메오 파세로티의 <해부학 수업>의 사례에서처럼 유파의 분류 기준으로 변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부학 전문 서적의 삽화들은 대상이 아니라 대상을 보는 문화적 사유 구조를 바탕으로 각 분야의 독립적 담론을 구성하고 학문적 자율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6,600원
        50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과 후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적 미술활동을 적용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하였다.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지 역아동센터에서 주1회씩 10회기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산만하고 불안했던 아동들의 자아상이 또래와의 관계와 배려심이 점점 향상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아동들의 변화는 치료도우미견과 함께 하는 활동. 놀이를 통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통합적 미술활동을 적용한 긍정적인 감정표현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적 미술활동을 적용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의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긍정적인 감정표현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 능력의 향상으로 아동들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200원
        50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검은 회화들≫은 고야가 1819년부터 1823년 사이 마드리드 외곽에 있던 “귀머거리의 집”에 그린 14점의 벽화를 칭한다. 이 그림들은 1874년부터 1878년 사이 쿠벨스에 의해 캔버스로 옮겨졌고, 1889년부터 프라도미술관에 걸려있다. 필자는 고야가 1790년대 중반 계몽주의에 대한 회의와 스페인의 권력변화와 연결시킨 마녀, 악마, 신화, 종교재판과 같은 주제들을 가지고 벽화들에서는 그가 다시 앓은 중병에 따른 죽음에 대한 공포, 그의 늙음과 그의 동반자의 젊음 사이의 갈등, 다시 변한 스페인 정국을 피해 스페인을 떠나야 할 시점의 회한과 체념 등으로 뒤섞인 그의 심리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했다. 미술가가 미술을 ‘치료사’로 보고 자신과 세계와의 갈등을 표현한 것은 고야와 낭만주의자들에게서 맹아가 발견되는 현대미술의 특징들 중의 하나다.
        10,700원
        50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50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50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비디오 게임을 전유한 예술 사례를 다룬 논문이다. 오늘날 비디오 게임 산업은 영화 산업과 비교될 만큼 성장해 있으며, 이에 게임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비디오 게임을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 ‘비디오 게임에서 폭력과 전쟁을 미화하는 묘사는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는가?’의 문제는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예술가들은 전쟁을 묘사한 비디오 게임을 전유해 사회적 참여를 위한 전술적 매체로 바꾸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작업을 펼친 예술가 와파 빌랄의 사례를 다룬다. 빌랄의 작업을 비평한 관련 담론은 이를 기존 비디오 게임의 관습적인 플레이 방식을 뒤집고, 전쟁을 미화하는 묘사를 비판하며, 현시대의 인간관계를 되돌아보도록 유도하는 장소를 형성하려 시도한 작업으로 해석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비디오 게임을 전유한 전술적 매체 작업이 예술적 담론의 장으로 가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6,400원
        50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아트, 또는 기술 매체와 신체의 인터페이스를 강조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해석적 틀로서 현상학적 체현인지의 관점을 제시한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체현인지 이론에서 영향을 받은 최근의 HCI 연구와 매체 미학의 상통하는 개념들을 발굴하여 미디어아트의 현상학적 도식을 제안해 보았다. 체험된 신체, 현상학적 장, 점진적 체화와 지향성, 시선의 이동성과 가상성 등은 미디어아트를 읽어내기 위한 개념 틀과 어휘의 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인다. 이는 탈 경계와 혼종성을 중심으로 한 포스트 휴머니즘이나 기술철학적 관점을 대체하기보다는,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서 미디어아트 해석의 다양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6,300원
        50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비디오 아트에서의 투영된 이미지의 발전과 스크린-매개 설치 미술에서 최근의 프로젝션-기반 뉴 미디어 아트로의 프로젝션 개념의 전이와 관객성의 변모된 양상을 분석했다. 스크린-매개 설치미술에서의 관객성의 공간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다원화되었고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해진 새로운 공간적 관계성과 함께 복잡하고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관람 유형이 초래되었다. 디지털 프로젝션의 개념은 이미지 투영을 넘어서 데이터 투영을 통한 다중적 감각을 공유하는 것으로 전이, 확장되며 상호작용성을 재고하게 한다. 또한 프로젝션 기반 뉴 미디어 아트는 스크린-접속 영역에서의 공동체 형성에 관한 논의를 유도하며 사회적 문맥을 취하는 예술적 실천으로 집단적인 의미를 정립해내는 관계적 논리에서의 관객성을 촉진한다.
        7,000원
        50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쿠로스와 코레로 대표되는 아르키익기의 대형 인물상의 형성과 그것에 새겨진 명문과의 상관 관계를 다루고 있다. 초기 그리스 조각에서 명문은 조각상의 몸에서 주로 관찰된다. 니칸드레가 봉헌한 코레, 사모스의 초대형 쿠로스상, 메가라 히블라이아의 쿠로스, 프토온의 쿠로스, 사모스의 케라미에스코레상들과 게넬레오스의 군상이 그러하다. 받침대에 명문이 남겨지는 가장 이른 사례는 에우티카르티데스의 받침대로, 후에 아티카 지역에서 제작된 프락시클레이아의 코레의 받침대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이들 받침대의 명문은 조각가의 조형적 성취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삼차원적으로 배치되어 독립상의 조형미를 감상하도록 유도된다. 아르카익기 이후에는 받침대에 명문을 새기는 것이 일반화되는데, 명문은 문자가 독립상의 조형적 요소에서 분리되어 ‘읽는 대상’으로 한정되고 조각상이 응시와 감상의 대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반영하는 지표이다.
        6,100원
        51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기에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출산친화적 가치관 형성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저출산 및 가치관 교육과 관련된 연구, 출산친화적 가치관형성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와 함께 누리과정의 사회관계영역과 자연탐구영역의 나와 가족, 사회, 생명체에 관한 세부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이론을 확립한 후 활동안을 개발하였고 각 회기마다 Active코칭 대화모델 6단계를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총 12회기의 출산친화적 가치관 형성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2인과 함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출산친화적 가치관 형성 코칭프로그램의 내용은 총 12회기로 이루어졌으며 언어, 인지가 발달한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1-4회기는 결혼가치관에 관한 내용으로 결혼을 주제로 브레인스토밍, 이야기나누기, 미술, 편지쓰기, 역할극 등 다양한 활동내용과 학습목표를 제시하였으며, 5-8회기는 가족가치관에 관한 내용으로 문학, 이야기 나누기, 역할극, 미술활동 등을 통해 부모의 소중함과 고마움, 9-12회기는 자녀가치관으로 이야기나누기, 문학, 역할극, 미술, 탐색활동을 통해 형제와 사이좋게 지내고, 형제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통해 존재를 인정해 주는 것을 활동목표로 하여 회기별 활동안을 구성하였다. 각 회기마다 Active코칭 대화모델 6단계를 적용하여 교사가 유아의 의견을 존중하고, 유아가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피드백 한다.
        5,700원
        518.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영동지방 최남단의 삼척지역은 남쪽으로는 경북 울진군, 봉화군과 접하고 있어 경북 북부와 강원도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지점의 문화전파 경로로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으며, 석조미술 역시 이와 관련하여 형성·발전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가운데 신라석탑은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 삼척 대평리사지 석탑 등 4기가 확인되는데, 비교적 적은 수량만 남아 있지만 9세기 신라석탑의 결구구조와 양식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화사 삼층석탑의 별석 탑신받침, 흥전리사지 석탑의 삼중기단, 표면 장엄공 등은 신라석탑의 일반적인 양식 흐름 속에서도 매우 주목되는 특징으로 삼척지역이 9세기 신라석탑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흥전리사지가 위치한 도계 읍은 경북 북부와 강원지역을 연결해주는 곳으로 당시 중요 교통로의 거점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석조미술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지역 불교문 화 발달에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석탑을 통해 본 삼척지역의 불교문화는 경북 북부와 강원지역을 연결해주는 중간적 위치이지만, 불교문화의 발전 양상은 강원 남부지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8,000원
        51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2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plored the effects of mandala art therapy game for attention deficit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day care center for children. We found 17 ADD children through questionnaire DSM-Ⅳ. For 2 Months, from 1st of April to 20th of May, experiments of art therapy program and Mandala art therapy games were carried out twice a week. After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Mandala art therapy game is effective for ADD childre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