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언양읍성의 남문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South Gate in Eunyang Eupsu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1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읍성은 조선시대 500여 년간 각 지역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일제강점기와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다수가 해체․철거되었다. 이미 많은 읍성이 사라졌지만,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토성으로 처음 축조되어 조선시대 연산군 6년(1500)에 석성으로 개축되었던 언양읍성은 일제강점기에 남천(현재의 태화강)의 제방 축조를 위하여 동남쪽 일부 성벽이 훼철된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까지 비교적 양호한 보존상태를 유지해 오고 있다. 특히 언양읍성의 남문지는 2002년 도로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조사가 수행되었고, 근현대기의 건물 아래에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잔존하고 있던 남문지의 전체적인 구조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원형 복원의 가능성이 그 어느 부분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복원이 이루어진다면, 상징성이나 파급효과, 역사․교육적 활용도 및 도시경관 개선,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재고 측면에서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남문에 대한 건축적인 측면에서의 고증작업이나 복원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언양읍성의 정문이었던 남문(영화루)에 대한 복원적 연구를 진행하여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하였던 언양읍성의 문루건축의 건축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복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조선시대 조영되었던 언양읍성 남문 일곽은 전면에 반원형의 옹성을 두른 개거식의 성문이었으며, 그 문루인 영화루는 중층(2층) 5량가구에 초익공을 둔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Eunyang(彦陽) is a city with a long history. Through out the beginning of Korea-dynasty to ending of Chosun-dynasty, Eunyang Eupsung had always been the centre of administration and military. Eunyang Eupsung can be regarded as bowl with all history of Eunyang, while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Japan, it has been damaged. Eunyang Eupsung, which has grown as the centre of administration since Korea-dynasty, had been repaired several times in Chosun-dynasty. Eunyang Eupsung is the retrenchment plate of the past history in Eunyang. The south gate, which was also the main entrance of Eupsung, can be regarded as the face of the old Eunyang. Starting from these points, the study about the restoration of south gate can not only present the majestic appearance of Eunyang with old history, but also can offer the history traditional consciousness as well as inducible pride to citizen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great meaning. In the present paper, we tried to access and treat the south gate which was also the main entrance of Eunyang Eupsung from the architectural side. And holding the architecture style of south gate concretely will offer the basic materials for the future restor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언양읍성의 연혁과 남문의 변화과정
Ⅲ. 언양읍성 남문 관련자료 분석
Ⅳ. 언양읍성 남문 고증
Ⅴ. 맺음말
저자
  • 이창업(울산과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겸임교수) | Lee, Chang Eob
  • 이철영(울산과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교수) | Lee, Chul Young
  • 나동욱(부산근대역사관 관장) | Na, Dong 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