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적립계 내한 내수발아성 제면용 밀(Triticum aestivum L.) ‘수안’ KCI 등재

A Wheat Variety, ‘Sooan’ with Good Noodle Quality, Red Grain Wheat, Higher Winter Hardiness and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수발아와 붉은곰팡이병 등에 대한 내재해성이 강한 국수용 밀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7년도에 금강밀과 은파밀을 인공교배 한 F1을 모본으로 하고 다시 금강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W97005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에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7005-B-26-5-4-1-1-1을 2005년과 2006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1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7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한성이 강하고, 수발아 저항성이며 붉은곰팡이병에 중도저항성이고,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국수가공적성이 우수하여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수안밀’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 등록 원부에 등록되었다. 수안밀의 파성은 III형으로 양절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크기로 적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상태 조건에서 각각 4월 25일과 6월 4일로 금강밀보다 1일 빠르고, 논상태에서는 각각 4월 23일과 6월 4일로 동일하다. 내한성과 수발아 저항성이 강하고 붉은곰팡이병은 중도저항성이다. 수안밀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고, 단백질 함량과 회분함량이 낮아 밀가루 색이 밝고 단백질적 특성은 국수용에 적합하다. 천립중은 43.7 g으로 금강밀보다 약간 적은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밭상태 수량은 594 kg/10a, 논상태 수량은 563 kg/10a로 금강밀보다 3%와 8% 증수하였다.

‘Sooan’,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Keumkang/Eunpa//Keumkang’ during 1997. ‘Sooan’ was released from the line named as ‘Iksan319’ in 2009 after yield trials test in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2007.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between 2007 and 2009. ‘Sooan’ is an awned, semi-dwarf and hard winter wheat, similar to ‘Keumkang’ (check cultivar).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Sooan’ were similar to ‘Keumkang’. ‘Sooan’ had similar test weight (817 g/L) and lower 1,000-grain weigh (43.7 g) than ‘Keumkang’ (817 g/L and 46.2 g, respectively). ‘Sooan’ showe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and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withering rate on the low ridge (0.2%) and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0.2%) than ‘Keumkang’ (9.2 and 25.8%, respectively). ‘Sooan’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12.7%), SDS-sedimentation volume (42.0 ml) and gluten content (10.5%) than ‘Keumkang’ (13.1%, 57.8ml and 10.8%, respectively). It showed higher lightness (90.08) and lower redness (-1.11) and yellowness (8.80) in flour color than ‘Keumkang’ (89.81, -1.15 and 9.46, respectively). ‘Sooan’ showed higher lightness (81.34) of noodle dough sheet than ‘Keumkang’ (80.28). ‘Sooan’ exhibited lower hardness (3.84N) and simila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cooked noodles (0.91 and 0.65) compared to ‘Keumkang’ (4.54N, 0.93, and 0.63, respectively). Average yield of ‘Sooan’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test was 5.94 kg/10a in upland and 5.63 kg/10a in paddy field, which was 3% and 8% higher than those of ‘Keumkang’ (579 kg/10a and 520 kg/10a,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육성 경위
  농업형질 조사 및 품질 분석
 결과 및 고찰
  고유특성
  출수기와 성숙기
  간장 및 수량구성 요소
  재해저항성
  품질특성
  품질 관련 표지 인자 특성
  제면특성
  수량성
  지역적응 및 재배상 유의점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강천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Chon-Sik Kang
  • 정영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Keun Cheong
  • 김경훈(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yeong-Hoon Kim
  • 김학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ag-Sin Kim
  • 김영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Jin Kim
  • 김경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yong-Ho Kim
  • 박종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ong-Chul Park
  • 박형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yung-Ho Park
  • 김홍식(농촌진흥청) | Hong-Sik Kim
  • 강성주(전남농업기술원) | Sung-Ju Kang
  • 최홍집(경북농업기술원) | Hong-Jip Choi
  • 김정곤((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Jung-Gon Kim
  • 김기종(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ee-Jong Kim
  • 이춘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Choon-Ki Lee
  • 박광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wang-Geun Park
  • 박기훈(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i-Hun Park
  • 박철수(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Chul-Soo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