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본에서의 라투레트(K. S. Latourette) 인식과 수용과정 KCI 등재

The Acknowledgement and Acceptance Process of K.S. Latourette in Jap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초기 일본의 그리스도교사 연구는 비기독교인 학자들이 주도했을 만큼, 그 연구 주제가 서구 모방과 일본 근대화를 위한 요체로서 인식되었다. 그 결과 서양 제국의 팽창에 기여한 선교사들의 헌신은 본받아야 할 하나의 개척 정신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서구 기독교의 팽창 과정’이 곧 인류사라고 전제한, 라투레트(Kenneth Scott Latourette)의 이른바 ‘선교사관’도, 제국주의를 지향한 근대 일본의 특수성 속에서 편의적으로 수용되었다. 일본의 그리스도교사 통사서에 라투레트가 처음 등장하는 시점도 만주사변(1931) 직후 중국 이해가 요구되면서 부터이고, 그의 저서들도 관변 학자들을 중심으로 중일전쟁 이후부터 그 번역이 본격화되었다. 즉 라투레트의 연구 성과는 대륙 및 해양 진출과 맞물린 일본의 국가적 이익과 관련되어 소개된 것이다. 라투레트는 극동에서 확장되어 가는 일본제국의 패권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러한 라투레트의 ‘강자 중심’ 역사관은 전시 하에서 활동한 제자 백낙준이 일본의 제국주의 팽창론(대동아공영권 건설)을 지지하도록 설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은 서구 제국 중심, 선교사 중심의 교회사관이 지닌 근본적 한계로 인한 결말이기도 하다.
전후에 라투레트는 일본 국제기독교대학(ICU)의 이사장으로 부임한 뒤 일본 기독교계에 새롭게 소개된다. 대륙 침략에 활용된 ‘동양사학자’가 아닌, ‘그리스도교사학자’로서의 재평가 된 것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그의 서구 선교사 중심 사관은 비판에 직면하여, 동아시아의 그리스도교 수용자들의 입장, 즉 ‘토착화’ 관점을 통한 극복 시도가 이루어졌다. 한국 교회사학계에서도 ‘민족교회사관’, ‘민중교회사관’, ‘토착교회사관’, ‘실증주의 사관’ 등의 등장으로 인해 라투레트의 사관은 비판에 직면하였다. 라투레트를 수단화하여 수용했던 과거의 착오를 반성하며 극복하려던 전후 일본에서의 신학 및 역사적 시도는, 결국 피해자와 가해자로 식민지 시대를 공유한 한일 그리스도교 사학계의 공통된 현상이었다. 그런 면에서 일본에서의 라투레트 수용 과정은, 한국교회사 및 동아시아 그리스도교사 연구의 현재를 입체적으로 진단하고 미래의 연구과제를 전망하는데 중요한 도움을 준다.

Early research on Japanese Christianity History was led by non-Christian academics, as such a research topic was regarded as a key factor in the modernization of Japan and an imitation of the West. Thus, the dedication of missionaries who had aided in the expansion of Western imperialism was revered as a pioneer mindset. Even the “missionary perspective” of Kenneth Scott Latourette, which held that ‘the expansion of Western Christianity’ was the history of humankind, was conveniently accepted 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modern Japan leaning towards imperialist tendencies. The first time Latourette emerges in Japanese Christianity history was directly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1931) where an understanding of China came to be necessary, and his personal writings were translated by government official academics right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us, Latourette’s research results were introduced in relation with Japan’s profits and expansion into the mainland and seas. Latourette evaluated Japanese supremacy expanding in the Far East in a positive light, a historical perspective centered on the victors of history, persuaded disciple George Paik to support the expansionist doctrine of imperial Japan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One could say this conclusion was brought about due to the fundamental limitations from a church history perspective focused on Western imperialism and missionaries.
Afterwards, when Latourette had been appointed as a chairman of Japan’s Inter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ICU), he was newly introduced to the Christian sphere of Japan. Not the “Eastern Historian” utilized during the invasion of the mainland, but was reevaluated as a “Christian Historian.” Yet, at the same time, his Western missionary centered historical perspective was met with criticism, but by reporting on the positions of Christians of East Asia, this led to an attempt to overcome through the “indigenization” perspective. Even from the Korean Church History academic circles came critiques of Latourette’s position from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church,” “Minjung church,” “indigenous church,” “positivism,” etc. Having methodized Latourette’s perspective and in an attempt to reflect upon the mistakes of the past, postwar Japan’s theology and historical attempt was, a similar phenomenon of victim and assailant, like the one shared between the history circles of Korean and Japanese Christianity during the colonization period. In this light, the acceptance process of Latourette in Japan greatly supports in forecasting future research topics and making three-dimensional diagnosis of curre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and East Asian Christianity.

저자
  • 홍이표(메이지가쿠인대학) | Hong, Yi P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