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南冥의 理氣觀 KCI 등재

Investigation of Philosophy of Nammyeong

남명의 리기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7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南冥學’의 精髓는 󰡔學紀類編󰡕 가운데 그려놓은 24圖에 있다. 그는 산림에 은 거하여 다른데 마음을 쓰지 않고 정력을 다해 심오하고 정미한 것을 연구하여 形而上의 道體로부터 形而下의 日用에 이르는 理論의 思維 논리구조를 만들어 내었다. 「三才一太極」ㆍ「理氣」ㆍ「天理氣」ㆍ「人理氣」ㆍ「心統性情」ㆍ「天道」ㆍ「天命」 등 9개의 그림은 선생이 손수 그려서 단서를 구한 것이다. 「三才一太極圖」는 形 而上인 太極의 本體問題를 찾은 것으로, 形而上學인 理의 體와 形而下學인 氣 의 用이 體로부터 用에 이르고 用으로 體를 관통하는 體用一淵의 原理를 구현 하고, 宇宙 自然 生命과 사람의 本質ㆍ人性ㆍ道德ㆍ價值에 대한 관심을 두드러 지게 드러내었다. 南冥은 窮理明善으로부터 出發하여, 張載ㆍ二程ㆍ朱熹ㆍ黃榦ㆍ陳淳의 思想 을 이해하고서 「理氣圖」ㆍ「天理氣圖」ㆍ「人理氣圖」를 만들었다. 「理氣圖」의 상 단 중앙에 黑白으로 陰陽이 서로 나누어진 원이 있는데, 이 원은 비록 理氣로 나누었으나 體와 用은 근원이 같은 和合體인 太極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 다. 理氣 先後의 변론ㆍ理氣, 形而上下, 道器의 변론ㆍ極限 有無의 분변, 이 세 가지 변론을 통하여 理氣 關系의 性質ㆍ地位ㆍ作用ㆍ기능이 이미 밝혀졌다. 이 에 南冥은 「天理氣」와 「人理氣」의 두 圖를 만들어, 더 나아가 理氣가 天人 관계 가운데에 있어서의 體現과 運用을 밝혔다. 天의 理氣와 人의 理氣가 心에 이르 면 곧 性과 情이 되며 性情은 각각 理氣를 갖추고 있는데, 「心統性情圖」가 있다. 南冥의 「心統性情圖」는 李退溪 「聖學十圖」 중의 「心統性情圖」와 다르다. 다만 退溪는 스스로 「心統性情圖」 중의 中圖와 下圖를 만들었는데, 이 두 圖의 思想 으로 보면 南冥과 서로 통한다. 남명은 󰡔학기류편󰡕에서 「理氣」ㆍ「天理氣」ㆍ「人理氣」로부터 「心統性情」圖에 이르기까지 理氣ㆍ天人ㆍ性情의 體用 一源ㆍ理一分殊의 논리 구조를 구성하 고, 아울러 理氣의 核心 話題로 宇宙自然, 現實社會ㆍ形而上下ㆍ倫理道德ㆍ魂 氣體魄ㆍ性情中節 등을 통활하여, 상하 좌우로 하여금 전체적으로 貫通하고 원 만하여 막힘이 없게 하여 하나의 虛靈不昧하고 生生不息하는 세계를 이루었다.

The essence of Nam-myeong's Learning(南冥學) can be found in '24 Diagrams(24圖)' which be inserted in Nam-myeong's famous book of [Hak-ki-ryu-pyeon(學紀類編)]. Nam-myeong deduced the ideal and logical structure that cover the thing and its function from metaphysics to physics by his own learning method of mind concentration. Next 9 diagrams of [Sam-jae-il-tae-geuk(三才一太極)], [Yi-gi(理氣)], [Cheon-gi-do(天理氣)], [In-gi-do(人理氣)], [Sim-tong-seong-jeong(心 統性情)], [Cheon-do(天道)], [Cheon-myeong(天命)] are the clue of his learning which made from his own hands. [Sam-jae-il-tae-geuk(三才一太極)] is an artic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thing of metaphysics of 'Tae-keuk(太極)'. It contains the fundamentals to explain the same origination between the Thing & Its Function(體用), and the concerning to find the various values of universe, nature, permanence, human, morality. Nam-myeong wrote [Yi-gi-do(理氣圖)], [Cheon-ri-gi-do(天理氣 圖)], [In-ri-gi-do(人理氣圖)] after understanding the theories several scholars, Jang-jae(張載), Yi-jeong(二程), Ju-hee(朱熹), Hwang-gan(黃 榦), Jin-sun(陳淳), on the base of 'gung-ri-myeong-seon(窮理明善)'. There is a circle which divided by black and white on upper-central part of [yi-gi-do(理氣圖)]. This circle simplified the meaning of Tae-keuk(太極) as the harmony between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陰陽). He cleared up the function, character, position and effect from three discourses upon the essential problem in the world. Moreover, He established the relation between Heaven(天) and Human(人) by writing both of [Cheon-gi-do(天氣圖)] and [In-go-do(人氣圖)]. And, in [Sim-tong-seong-jeong-do(心統性情圖)], he explained the changing aspect from Cheon-gi(天氣) and In-gi(人氣) to Seong(性) and Jeong (情). Nam-myeong's [Sim-tong-seong-jeong-do(心統性情圖)] is differ from Toe-gye‘s(退溪) [Sim-tong-seong-jeong-do(心統性情圖)] which has same name article in [Seong-hak-sip-do(聖學十圖)]. However, it coincide with both of articles. Nam-myeong established his peculiar academic world which penetrate all part of his learning from real and small thing to vast and boundless truth in upper-mentioned articles in the book [Hak-ki-ryu-pyeon(學記類篇)]

저자
  • 張立文(北京大學) | 장립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