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의 리듬-운동 동조화 능력 발달 연구 KCI 등재

Beat Synchronization Development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6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5학년 아동 112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메트로놈 소리에 대한 손가락 태핑 반응을 측정하여 청각-운동 동조화 능력의 발달적 측면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5학년으로 갈수록 응답 정확도가 증가하였으며, 학년별 차이는 BPM 120 빠르기 (500ms 시간 간격)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5학년으로 갈수록 자극과 응답 간 시간 차이가 줄어들고 응답 변화도가 낮아졌다. 또한 3년 이상 악기 교육을 받은 3, 4학년 아동의 경우 BPM 120 빠르기에서 유의미하게 더 일관된 응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규칙적 리듬에 대한 운동 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결과 초등학생은 BPM 120 빠르기를 중심으로 청각- 운동 동조화 능력이 발달하며 악기 훈련이 이 발달을 더 촉진하는 것을 보여준다. 언어 처리에서도 대략 500ms 간격의 시간적 규칙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언어 장애 아동의 경우 이 간격에 대한 태핑 반응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 교육을 통한 태핑 능력의 향상이 언어 처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By measuring tapping responses to regular beats, this study examined the auditory-motor synchroniz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tapping accuracy for 5thgrade students. Among four conditions with different tempi, the 120 bpm (beats per minute) conditio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ith the lowest response asynchrony and the highest response consistency for 5th-grade students. In addition, children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music training showed more consistent response in the 120 bpm condit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synchronization abilit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auditory-motor synchronization develops mainly for 120 bpm and it is more facilitated by music training. It has been known that 120 bpm is also important for speech processing an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have lower tapping accuracy than normal children for bpm 120. Thus, this result implies that music training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by training auditory-motor synchroniz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자극 및 실험 절차
    3.3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4.1 평균 응답 정확도
    4.2 박과 응답의 시간 간격: NMA(Negative Mean Asynchrony) 분석
    4.3 응답의 변화도
    4.4 음악 교육에 따른 차이
5.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이경면(KAIST) | Kyung Myun Lee
  • 이윤상(오하이오주립대학) | Yune S.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