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연 복합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 KCI 등재

Damaged hair improvement effect of natural complex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디안구스베리(암라), 찔레나무, 쏘팔메토열매를 5:1:1 비율로 Complex하고 추 출하여 0%, 0.5%, 2.5%, 12.5%, 100%의 NF Complex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NF Complex로 탈색한 시 료 모발에 도포 후 손상된 모발과 비교 · 분석하였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장강도, 광택, 흡광도, 명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광택은 함량이 100%는 감소하고 나머지 함량은 증 가하였다. 흡광도는 손상모와 대조군과의 차이가 있어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명도는 변화는 있 으나 미미하였다. NF Complex의 평균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추출방법 및 혼합 비율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NF Complex of 0%, 0.5%, 2.5%, 12.5%, and 100% was prepared by complexing and extracting Indian gooseberry, Rosa multiflora Thunberg roots, and saw palmetto fruit in a ratio of 5:1:1. The manufactured NF Complex was applied to bleached sample hair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with damaged hair. To confirm the improvement effect, tensile strength, gloss, absorbance, and brightness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The gloss content decreased by 100%, but the remaining content increased. The change in absorbance was minimal. There was also a change in brightness, but it was minima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of NF Complex, and it is judged necessary to study various ratios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시료 모발
    2.2. NF Complex 제조
    2.3. 측정기기 및 측정방법
    2.4. 도포실험방법
    2.5. 결과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함량별 인장강도 측정 결과
    3.2. 함량별 모발 표면 광택측정 결과
    3.3. 함량별 모발 흡광도 측정 결과
    3.4. 함량별 명도(L) 측정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윤동민(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스마트시티공학과 학생) | Yun Dong-Min (Department of Smart City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Student)
  • 한상필(상지대학교 소방안전학과 교수) | Han Sang-Pil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Professor)
  • 전용한(상지대학교 소방안전학과 교수) | 상지대학교 소방안전학과, 교수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