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1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smetics industry expects low irritation and skin improvement effects by utilizing natural ingredients and botanical extracts. In particular,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is a traditionally recognized ingredient with proven pharmacological efficacy and contains various bio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oncirus trifoliata fruit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ntioxidant, whitening, and skin-improving effects.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icacy of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was evaluated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and the formulation stability of a cleanser containing this extract was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le its whitening efficacy was assessed through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dditionally,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measured, confirming its strong antioxidant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may contribute to anti-aging and skin-whitening effect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a cleansing formulation containing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pH and viscosity changes were measured over 28 days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5°C, 25°C, and 45°C. The results indicated a decline in stability over long-term storage.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optimize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improve the formulation for enhanced long-term st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and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stability enhancement.
        4,200원
        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천연 유래 미백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천연 유래 미백성분은 ‘자연 유래’라 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호감을 주어 경쟁력을 높인다. 본 연구는 Xanthium strumarium seed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로 유도한 B16F10에서 티로시나아제와 멜라닌 형성을 억제했다. 또한 핵심조절인자인 티로시나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에 관여함으로서 최종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X. strumarium seed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4,0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 (C. obtusa) 잎을 99% 에 탄올 추출(CO99EL)하여 항산화 및 항멜라닌 생성 활성을 평가하여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서의 가능성 을 평가하였다. CO99EL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티로 시나아제 저해 활성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α-MSH로 유도된 B16F10 세포 모델에서 CO99EL은 12.5 및 25μg/mL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멜라닌 생성을 유의미하게 억제하고,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qPCR 분석 결과 CO99EL은 MITF, TYRP2, TYR과 같은 주요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O99EL이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성분으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4,300원
        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마-오리자놀(γ-oryzanol)은 phytochemical의 한 종류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당뇨,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중의 하나인 γ-oryzanol 함량이 높은 추출조건에서의 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쌀국수에 첨가하여 항산화성이 개선된 국수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미강을 에탄올 농도 0, 20, 40, 80%의 에탄올로 추출한 결과 8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분말에서 γ-oryzanol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DPPH 소거능과 ABTS 소거능이 가장 높았다. 미강추출분말의 γ-oryzanol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미강을 고상발효시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동결건조시킨 분말의 γ-oryzanol의 함량은 발효시키지 않은 미강을 추출분말보다 약 2.18배 증가하였으며, DPPH 소거능 및 ABTS 소거능, 단백질분해효능이 증가하였다. 오리자놀 함량이 높은 미강추출 물을 쌀가루에 첨가하여 쌀국수를 제조한 결과 쌀국수의 경도, 탄력성, 씸힘성, 점착성 등이 증가하였으며, 쌀국수의 γ-oryzanol 함량,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fermented rice bran extract with enhanced ferulic acid γ-oryzanol contents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The ferulic acid content in the freeze-dried extract of rice bran treated with plantase PT enzyme, increased by 4.1-fol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sampl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by 1.5-fold and 1.2-fold, respectively. The γ-oryzanol content of the dried powder prepared by inoculating Apergillus oryzae BOT1869 onto steamed rice bran for solid-state fermentation followed by extraction with 80% ethanol, increased 2.3-fold compared to that in an 80% ethanol extract powder of raw materials.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1.5-fold. When the ferulic acid content-enhanced extract and the γ-oryzanol content-enhanced extract of rice bran were mixed and subjected to liquid fermentation with Lactiplantibacillus pentosus BOT406 and then freeze-dried, the ferulic acid content of the extract powder increased about 3.0 times compared to that of original extract powder. In addition, its γ-oryzanol content increased about 1.5 tim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4 times,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6 times.
        4,000원
        6.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포나무 종자의 70% ethanol 추출물 (ETAE) 및 그 분획물인 hexane fraction (HAE), ethyl acetate fraction (EAE), butanol fraction (BAE)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이를 함유한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을 분석하여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 성은 0.1∼10 m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소거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률을 평가한 결과, HAE가 5 mg/mL에서도 높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으 며, 수율이 가장 높아 제형 실험에 적용하였다. HAE를 첨가한 에멀젼 및 가용화 제형의 안정성 평가 결 과, pH, 점도, 색도 및 외관상 변화가 미미하여 물리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0℃에서 3% HAE를 함유한 에멀젼은 상분리 및 입자 직경 증가가 관찰되어,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출물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처방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포포나무 종자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바탕으로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4,900원
        7.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marker compound in roasted Astragalus membranaceus (AM) water extract and to validate its analytical methods. The roasting process significantly enhanced the isoflavone content in AM. Among the four isoflavones analyzed, calycosin 7-glucoside (C7G) emerged as the most abundant, with a concentration of 847.88 μg/g in the AM extract. Due to its concentration and representativeness, C7G was designated as the marker compound, and its analytical method was thoroughly validated.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consistent retention time of the C7G peak at 15.2 minutes across both the sample and the standard compound. High absorbance was recorded at UV wavelengths of 220, 250, and 260 nm. The method exhibited excellent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0.9999 across a concentration range of 0.2 to 50.0 μg/mL.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determined to be 0.029 μg/mL and 0.088 μg/mL, respectively. Precision assessments revealed intra-day and inter-day variations of 0.812% and 1.650%, respectively. Recovery tests yielded values ranging from 99.419% to 104.861%,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between 1.152% and 2.215%. These results affirm that the analytical method for C7G is highly specific, linear, accurate, and precise. This validated method may serve as a valuable tool for the standardization of roasted AM water extract.
        4,000원
        10.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라수 씨앗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식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치를 검증하 고자 하였다. 다라수 씨앗 추출물의 성분,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증 분석을 기반으로 효능을 평가하였 다. 그 결과, 다라수 씨앗 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16.50 mg/100g, 총 폴리페놀 699.66 mg/100g, 비 타민 C 4.44 mg/100g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 가하였다. 대조군과의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은 200 ㎍/㎖ 농도까지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해당 농도에서 iNOS 유전자 발현량과 NO 생성량, TNF-α 발현량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다라수 씨앗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안전한 식품 원료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라수 씨앗을 기반으로 한 신규 식품 개발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 으로 기대된다.
        4,200원
        1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Salvia plebeia 70% ethanol extract (SPEE) and S. plebeia water extract (SPWE). The effects of SPEE and SPWE on adipogenesis were evaluated using 3T3-L1 adipocytes. Oil Red O staining showed that SPEE inhibited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Both SPEE and SPWE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SPE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PC an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SPWE. Next,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otential hypoglycemic effects of SPEE in a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ouse model. Blood glucose levels in STZ-induced diabetic mice decreased 30 min after treatment with SPEE (300 mg/kg) and SPWE (300 mg/kg).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SPEE as a preventative agent against diabetes.
        4,000원
        1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 는 평균 길이가 약 2.2 cm이고, 자흑색의 타원형으로 육안 상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는 비슷한 외형을 보 인다.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를 기능성 식품소 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polyphenol, amino acid 및 fatty acid 를 분석하고,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원산지에 따른 차 이를 비교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열수 추 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58±0.11 mg QE/g 과 11.83±0.25 mg QE/g의 결과를 보였고, 중국산 열수 추 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49±0.09 mg QE/g 과 4.46±0.10 mg QE/g의 결과를 보여 국내산이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보다 2배 이상 높았다.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및 rutin을 분석한 결과, chlorogenic acid 함량이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 올 추출물에서 각각 1.51±0.02 mg/g과 1.94±0.03 mg/g으 로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23±0.00 mg/g과 0.25±0.01 mg/g을 보인 결과보다 7배 이상 높았으며, caffeic acid와 rutin은 모든 추출물에서 미 량 또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종의 아미노산 이 확인되었고,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 물에서 cystine을 제외한 16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 산 함량은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중 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02±0.03 g/100 g과 0.81±0.03 g/100 g, 0.15±0.01 g/100 g 과 0.05±0.00 g/100 g의 결과를 보였다. 지방산 분석결과,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및 중국산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caprylic acid (C8:0)를 제외한 13종 지 방산이 확인되었고, 중국산 열수 추출물에서 caprylic acid (C8:0)와 lignoceric acid (C24:0)를 제외한 12종 지방산이 확인되었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C16:0)로 확인되었다.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52.02±2.00- 84.17±3.5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총 지방산 함량은 국 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중국산 열수 추출 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49±0.06 mg/g과 1.12±0.03 mg/g, 0.45±0.03 mg/g과 0.76±0.02 mg/g을 보였 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지방산 함유량이 대체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세포독성 측정결과,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은 500-2,000 μg/mL 농도에 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내지 않았다. NO 생성억제 활성은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NO의 생 성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cytokine 생성억제 활성 또한 TNF-α와 IL-6의 생성량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 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통하여 댕댕이나무 열매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1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imed to enh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une juice added with Schisandra chinensis and optimize mixing ratios of its components. Prune juice was prepared using varying proportions of prune concentrate and medicinal herbal plant extracts. Results showed that the pH of the medicinal herbal plant complex extract containing Schisandra chinensi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rune concentrate. Results of analyzing antioxidant activity of individual component revealed that both prune concentrate and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other extracts, with Cinnamomum cassia extract showing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As a result of antioxidant component analysi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total tannin contents were all the highest in MSS but the lowest in the control. Regarding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al scavenging activity, ABTS DPPH radi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were the highest in MSS but the lowest in the control. I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incorporating higher proportions of both Schisandra chinensis and prune concentrate can synergistically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overal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une juice.
        4,000원
        14.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in color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amount of melanin pigmentation in the skin. In recent years, cosmetic composition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melanin pigmentation in the skin. Treatment of the skin with whitening agents, from the pharmacological and cosmetological views, should provide safety and efficacy without side effects. Currently used whitening agents which are mostly cause many harmful and cytotoxic effects. In view of the lack of safe whitening agent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the stable and harmless compounds inhibiting melanogenesis. The use of light and Herbal extract for the purpose of skin whitening has been formally reported. 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D irradiation and Bletillae rhizoma (Br)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in B16F0 melanoma cells. Melanin biosynthesis was induced by α-MSH. Experimental group were conducted five groups; 1) Pre-LED group (LED light irradiation, followed by 1 μM α-MSH) 2) Post-LED group (α-MSH treat, followed by LED light irradiation) 3) Pre-Br extract group (Br extract treat, followed by 1 μM α-MSH) 4) Post-Br extract group (α-MSH treat, followed by 10 μg/ml Br extract) 5) LED and Br extract group. The melanin contents, tyrosinase activity, dendrite length of cells and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genes under LED light irradiation and Br extract treatment were investigated. Pre-635, Post-425 nm and Post-Br extract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compared with other group. But both for LED irradiation and Br extract group,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were increased. However, Pre-425 nm and Post-Br extract group could reduce the melanin contents, tyrosinase activity and dendrites length of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proteins, including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tyrosinase (TYR) is inhibited. The Pre-425 nm and Post-Br extract group activ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hosphorylation and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via stimulation of MITF degrad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Pre-425nm irradiation and Post-Br extract on melanogenesis are derived from reduced TYR expression via the downregulation of MITF signaling, as well as acceleration of ERK phosphorylation.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425nm irradiation and Post-Br extract could prevent and treat melanin hyperpigmentation or useful in whitening agents.
        4,3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국내 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고 간질환 치 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 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 추출은 벌나무 껍질을 사용하 였고 벌나무 70% EtOH 추출물 (ATE)와 벌나무 열수 추출물 (ATW)로 나누어 추출하여 두 추출물의 효능을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 노이드 함량 측정을 진행한 결과 ATE와 ATW 모두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항균 효능 평가 결 과, ATW는 E. coli와 P. aeruginosa에 대해 ATE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였으나, ATE는 S. aureus 에 대해 ATW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독성 평가, NO 생성 측정, Western blotting 실험을 진행한 결과 ATE는 6.25 및 12.5 μg/ml에서 세포독성 없이 NO 생성 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cer tegmentosum Maxim.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안한 다.
        4,3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3차 정제수 (SEW)와 70% 에탄올 (SEE) 용매에 따른 파인애플 세이지 (Salvia elegans Vahl)를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 항균,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EW가 SEE에 비해 더 높았다. SEW와 SEE은 DPPH radical, ABTS+ radical, Hydrogen Peroxide (H2O2)의 소거 활성과 SOD 유사 활성이 보여 농도 의존적으로 높 아졌으며 SEW가 SEE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Elastase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 SEE가 미비한 미백 효능을 보였으며, SEW가 미비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냈다. 항균 효능은 SEW의 경우 대장균, 녹농균, 표피포도상구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 보였으며, SEE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 여드름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항염증 효능은 지질다당류 (LPS)에 의해 염증 이 유발된 RAW 264.7 cell에서 SEE가 SEW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은 SEE가 SEW에 비해 더 높은 감소량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mRNA 발현에서도 SEE가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이는 NO 생성 억제 효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 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SEW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대장균, 녹농균, 표피포도 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보인다. 반면 SEE는 미백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황색포도상구균, 여드 름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보이므로 SEW과 SEE는 제약, 건강식품, 화장품 등과 같은 산업원료의 천연소 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5,200원
        1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합성 아질산염 대체 천연보존료로 개발하고자 천연물 유래 복합추출물(NP-NAP, NP-NAMR)의 성분 특성 과 소시지에의 적용 시 품질 특성을 규명하였다. NP-NAP 와 NP-NAMR 0.5-1.0% (w/v)는 90.1-100%의 ABTS 라디 칼 저해능과 10 mg/mL에서 각각 811 μM 및 770 μM trolox 상당의 FRAP 활성을 보였다. NP-NAP와 NP-NAMR은 S. aureus와 L. monocytogenes, E. coli 및 S. Typhimurium에 대 해 0.1% (w/v)에서 99.99-100%의 감소율을 보였고 C. perfringens에 대해 1%와 2% (w/v)에서 각각 89.0-91.4%와 84.7-100% 이상의 감소율을 보였다. 천연 복합추출물 첨가 소시지 시제품의 냉장 중 품질 특성에서 4주 차 pH (6.43- 6.57)와 NP-NAMR 첨가 시 높은 a 값(23.54% 및 28.81)을 확인하였다. Springiness와 cohesiveness는 NP-NAP 1%가 높 았으나 다른 모든 시험구는 양성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냉장 중 평균 MDA (0.87-1.183 μM)는 양 성 대조구(0.93-0.96 μM)와 유사하였으며(P<0.05) 총 증가 균수(log CFU)는 1% 첨가(1.10-1.32) 시 nitrite pickling salt (NPS) 0.08% (1.31)과 유사하였고 2% 첨가 시(0.17-0.49)는 commercial product from Spain (CPS) 1% (0.53)보다 적었 다. 종합적 기호도는 NP-NAMR 2% 제외한 모든 시험구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과채 추출물 유래 NP-NAP와 NP-NAMR은 항산화, 항균 활성과 안정적인 적 색도와 함께 식약처 고시 소시지류의 기준 및 규격을 만족 하여 합성 아질산염과 시판 수입품을 대체하는, 유효한 소 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 70% ethanol extract of jicama by measuring its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i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 were found to be 2.45 GAE/g and 3.98 CE/g,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ong with the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were 52.32%, 45.60%, 47.44%, and 36.96%, respectively.
        4,0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ne dust absorbed into our body through the skin causes various inflammatory responses in skin cells and accelerates skin ag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e, approved as edible ingredients, as inhibitor for fine dust-induced inflammaging. The anti-inflammaging effects of aqueous ethanolic Allomyrina dichotoma larvae extract (ADLE) against ERM-CZ100 were evaluated at the cellular level. Biochemical responses associated with cell damag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were assessed by measuring intracellular ROS, DNA fragmentation, β-galactosidase activity, cytokines, and protein expression. Exposure to ERM-CZ100 increased ROS production, DNA fragments, and β-galactosidase activity, which reduced cell viability. However, these detrimental effects were significantly mitigated by co-treatment with ADLE. The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ERM-CZ100 was decreased by ADLE treatment, which was further corroborated by a reduction in COX2 protein expression. Additionally, ADLE restored the elevat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levels and reduced COL1A1 expression caused by ERM-CZ100 exposu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LE not only holds nutritional value as a potential future food resource but also exhibits promising properties as a novel material for treating inflammation. Moreover, it demonstrates a positive effect in preventing skin aging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4,000원
        2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aves and stalks of sweet potato have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as a health food due to numerous studies reporting the presence of functional compound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aerial parts of six domestically developed sweet potato cultivars and compare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otal phenolic acid content ranged from 76.9 to 148.6 mg GAE/g, 3.98 to 11.90 mg CE/g, and 44.19 to 93.56 mg/100 g, respectively. Among the cultivars examined, 'Gogeonmi' and 'Tongchaeru' exhibited high levels of these compounds, and thei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The GABA content ranged from 0.59 to 2.55 mg/g, with 'Tongchaeru' and 'Jinhongmi' showing the highest levels. Lutein content ranged from 0.10 to 0.24 mg/g, with 'Tongchaeru' reaching its maximum concentration 90 days post-cultivation. Extracts from 'Tongchaeru'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interleukin-6 (IL-6) inflammatory cytokines, with the water extract demonstrating a stronger effect than the pretanol extra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erial parts of sweet potato could serve as excellent functional vegetables and bioactive ingredients for health food applications.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