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dum속 식물을 이용하여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으 로 만든 옥상녹화지에서 무관리 상태에서 3년간 생장 및 인공토양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서울 시립대 자연과학관 6층 옥상에 2003년 6월에 9종의 Sedum 식물을 식재하여 3년간 무관리 식물상태를 관 찰한 결과 Sedum 식물 9종(돌나물, 땅채송화, 바위채 송화, 큰꿩의비름, 기린초, 섬기린초, 가는잎기린초, ‘Spurium’, ‘Diffusum’) 중 땅채송화와 바위채송화는 1년차 때도 생육이 좋지 않았고 3년차 때는 완전히 사라지고 다른 이입식물로 채워졌다. 기린초와 가는잎 기린초는 1년차에 비해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 으나 다른 5종의 식물은 대부분 생장이 증가하였고 관 상가치도 높았다. 돌나물을 6가지(Pm1Pr1, Pm1Pr1V1, Pr1C1, Pr1V1C1, Pm1V1, V1C1) 배지에 재식한 후 배 지 간 변화를 살펴본 결과 pH는 2003년과 2005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EC는 2005에 확연히 높 았다. 질소, 인, 칼륨은 식재년도(2003)에 비해 2005 년도에는 유사하거나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4,000원
        26.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사소통 과정은 같은 공간과 시간에 존재하는 청자와 화자의 상호작용이다. 각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한 사람은 청자와 화자의 역할을 바꿔 가면서 대화를 통해 기대하는 것을 충족시키고자 노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청자는 화자로부터 전달된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으로 화자의 후행 발화의 내용 및 길이, 방향 등에 영향을 미친다. 화자는 청자로부터 자신의 기대에 맞는 반응을 얻으면 처음에 계획했던 발화의 양을 늘리거나 또 다른 발화로 연결하면서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반면에 화자의 발화 후 청자로부터 적절한 피드백이 돌아오지 않으면, 처음 계획했던 발화의 내용을 줄이거나 대화가 단절되는 등의 결과를 낳게 된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수업 시간 외에도 다양한 관계의 한국인들과 만나며 대화하는 일상생활이 존재한다.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위해서도 여러 사람들과 정보를 주고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만나고 있는 사람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하면서 외국인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즐거운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비대면의 대화 상황에서는 청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화자는 청자가 이야기를 듣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청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친숙하지 않은 관계인 사람과 협조적인 대화를 나눌 때 어떤 ‘대응 발화’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디오 진행자와 청취자와의 통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2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용미생물로 알려진 광합성세균(Photosynthetic bacterium),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분화용 시클라멘(Cyclamen persicum Mill. ‘Rose with Eye’)에 2주 간격으로 7회 관주 처리하여 생육 및 화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생육에서는 유용미생물 처리구는 고온피해를 적게 받거나 빠르게 회복하였으며 꽃수 또한 유용미생물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클라멘의 화색도 무처리구에 비해 유용미생물 처리구의 화색이 더욱 선명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양토 화학적 특성 분석 시 미생물 처리구가 무처리구와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P2O5, K, Ca, Mg, Na, NO3-N 등이 시클라멘 흡수 시 미생물제 관주처리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미생물의 종류별로 다소 다른 차이를 보였으며 농도 처리구에 따라 식물체 부위별 효과가 달라 적합한 미생물 종류와 농도를 찾는 실험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여러 방법으로 다양한 화훼류에도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 문화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시각적 디자인 요소도 선호하는 바가 달라지고 있다. 식물 또한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가 변화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식물 중 미적으로 관상가치가 높은 무늬 관엽식물의 색채와 색채조화미를 분석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늬 관엽식물의 색채 트랜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색채측정은 색측기 (X-rite Eye-One Xtreme iO bundle)를 사용하여 색을 측정하였다. 색채조화미 평가는 문&스펜서와 먼셀조화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먼셀조화론에서는 Diffenbachia ‘Marianne’가 가장 조화로웠다. 그 외에 Epiprenum aureum ‘Golden Queen’, Caladium ‘Pink Beauty’, Sansevieria trifasciata ‘Laurentii’, Aglaonema ‘Silver King’, Begonia rex, Peperomia sandersii, Calathea macoyana, Alocasia amazonica, Calathea insignis 순으로 색채 조화미가 높게 나타났다.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는 가장 미도가 높은 식물로 Caladium ‘Pink Beauty’, 다음으로는, Diffenbachia ‘Marianne’, Epiprenum aureum ‘Golden Queen’, Peperomia sandersii, Alocasis amazonica, Sansevieria trifasciata ‘Lurentii’, Calathea macoyana, Begonia rex, Calathea insignis, Aglaonema ‘Silver Kin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조화론에서 조화미가 높았던 무늬 관엽식물의 색채는 yellow green과 green색상으로 좀 더 자연에 가까운 색상 배색이 더 조화롭게 분석되었다. 또한 명확한 색조 차이를 보이는 배색을 보였고 grayish한 색채보다는 채도가 뚜렷한 색채로 배색되었다.
        30.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외 플라워샵의 CI(Corporate Identity) 로고 색채의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플라워 샵의 브랜드화에 필요성을 제안하고 나아가 소비자들에게 좀 더 체계적으로 인식되는 로고 색채를 개발하여 이미지 마케팅을 부각시켜 소자본으로 플라워샵의 매출을 증대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제안하고자 플라워샵 CI(Corp-orate Identity)로고의 색채를 조사・분석 하였다. 플라워샵의 선정 기준은 현재, 온라인상에서 판매하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하였고 색채분석 시 광환경은 표준광원(Philips TL-D 90 Graphica Pro. 36W/950)으로 색측기는 X-rite Eye-One Xtreme iO bundle을 사용하였다. 국내는 주도적으로 Red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원색의 가까운 채도가 높은 색채의 보색배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국외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채도가 낮은 light, deep톤의 유사배색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각적인 브랜드 포지셔닝을 색채요소로 분석한 결과 고채도의 색을 단색이나 유사배색으로 사용한 형태와 저채도의 색을 단색이나 유사배색으로 사용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강점과 약점분석과 국내외 CI로고 색채분석 결과 첫째, 채도가 높은 원색을 사용할 경우 유사배색으로 활용하며 둘째, 채도가 낮을 경우 보색배색으로 활동감을 주며 셋째, 채도가 낮고 유사색 배색은 편안한 이미지로 활용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수준에 맞추어 적용한다면 플라워샵을 시각적으로 잘 인지하고 구매촉진을 위한 CI 로고 배색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31.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알루미늄 스트레스가 녹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뿌리의 생장, 알루미늄 함량, 뿌리 표면의 pH 변화, 원형질막의 H+-ATPase 활성과 단백질 양의 변화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1. 처리된 알루미늄의 농도는 10, 25, 50, 100uM 이었으며, 알루미늄에 의한 뿌리생장의 억제는 25uM 이상의 농도 처리구에서 12시간부터 현저히 나타났고, 50과 100uM 처리구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거의 중단되었다. 2. 0.2% Hematoxlin으로 염색 시 알루미늄이 처리된 근단부에서 주로 염색되었으며, 50uM 농도로 처리된 뿌리의 경우 12시간째보다는 24시간째에 근단부 전체가 염색되어 그 피해가 심각함을 보여 주었다. 또 근단 부위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어두운 갈색을 나타내고, 표면이 가로 쪽으로 갈라졌다. 3. 처리 농도별 근단부(1 cm)와 근단부를 제외한 부위의 뿌리로 나누어 24시간 처리를 한 후 알루미늄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uM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알루미늄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즉, 25uM 이상 알루미늄 처리구에서는 근단부에서 2.5배 이상 높았다. 4. pH 지시약과 agarose plate technique를 이용하여 뿌리표면의 H+-flux 의 차이를 본 결과 녹두의 근단부 표면의 알카리화가 대조구에서는 12시간 정도부터 노란색(pH 4.5)에서 보라색(pH 6.0 이상)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나 알루미늄 처리구에서는 색깔의 변화를 볼 수 없었다. 5. 24시간 동안 50uM 알루미늄을 처리한 뿌리 원형질막 H+-ATPase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56%가 억제 되었다. H+-ATPase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한 Western blotting 결과는 효소 활성의 감소와 유사하게 알루미늄이 처리된 뿌리에서 현저하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대우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하여 바른 표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대우법 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주체높임법, 상대높임법, 특수어휘높임법만을 구별한 기계적 문법교육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모형 및 단원 구성에 있어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의 차이점의 고려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재 및 단원구성에 있어서는,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관계를 중심으로 그 예를 비교적 다양하게 제시해야 한다.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대우법 수업은 학습자간의 상호 대화를 통하여 학습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한 한국어 학습 방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33.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tudy the low control and lightweight roof planting system, six kinds of drainage-block were examined(Drainage-block, Egg-mat, P.P-tusupet SO920, Eco-mat, World drainage F, Drainage adiabatic-blocks). The peat moss with perlite(1:1, v/v) of a 10cm-depth media was used followed by Sedum sarmentosum planted at intervals of 10cm. Most of all management did not applied.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World drainage F was light the most, the maximum storage of water(L) is that Drainage-block per 1㎡ 302L. Per 1㎡ price of drainage-blocks the World drainage F was the cheapest and construction costs were relatively minimal. The 6 controls did not exhibit a large difference. In 15~20days, the covering weight of the Drainage-block and Egg-mat which were fallen quite a bit was high but the covering rate seemed to almost same, chlorophyll contents is also same conclusion with covering weight. During the summer(July, August. September), the ground temperature of each drainage compared in 8℃ that was evenly low, the Drainage adiabatic-blocks filled the role of let high temperature down. During the dry period(after two weeks), the growing condition of Egg-mat, Eco-mat and Drainage adiabatic-blocks were better than before, the condition of controled composition is good although the composition was differently transferred. All controled conditions was not bad even in rainy perio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