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은 흰빛잎마름병의 품종별 감수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비량을 보비재배와 다비재배로 구분하여 전남지역에서 수행 되었다. 흰빛잎마름병은 발생은 다비조건에서 심했으며 심한 발병은 수도 품종들의 등숙에 영향을 주어 수량 감수를 초래하였고 청미율은 품질을 저하 시켰다. 또한 조생계품종에서는 지엽과 차엽이 발병되었지만 중, 만생계품종에서는 지, 차, 삼엽이 발병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보비조건에서 보다 다비조건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태백벼, 백운찰벼, 팔공벼, 밀양 42호이었고 밀양 30호, 금강벼, 낙동벼, 진주벼는 감수성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시비 수준간에 같은 경향이었다.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을 제외한 Omethoate ,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 Phosphamidon , Monocrotophos 및 Dimethoate 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 Carbofuran, Disulfoton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인데 비하여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이었고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으며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과 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 Phenthoate, Diazinon(34 EC), Chlorfevinphos, Phosalone 및 Methamidophes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