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121.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집단치료가 매우 유용한 노인들에게 집단원예치료를 적용하여 집단원예치료의 치료적 요소들과 운영 방법들을 검증해 보고,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집단원예치료를 이용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치료목표를 설정하여 전체원예활동은 실내, 실외 프로활동을 병행하였고, 실외활동은 주로 '시간 중심형 활동(time focused activities)'을 수행하였고 회기별 원예활동은 평균 50분, 5~10명 내외의 개별, 2인집단, 전체집단의 그룹 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집단원예치료의 운영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시작단계는 1회기부터 2회기로 이 단계에서는 치료사와 대상자, 비대상자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지며 치 료사와 대상자, 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와 비대상자 간의 관계형성을 위하여, 자기소개 및 활동 이해하기, 자기텃밭 정하기 및 텃밭정리 등의 활동을 구성하였고 집단의 형태는 집단전체, 2인 집단으로 수행하였다. 갈등단계는 3회기부터 6회기로 식재 준비활동, 번식, 재배, 수확 등과 같은 재배와 관련된 활동은 식물생장을 경험하게하고 식물의 삶의 주기와 인간 삶의 주기를 통합시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현재 자신의 모습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텃밭에 가을채소 모종심기, 박스에 쪽파심기, 비료주기 및 텃밭관찰, 국화삽목 등의 활동으로 2인집단의 형태로 구성하여, 식물의 삶의 주기와 인간 삶의 주기를 통합시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집단 내, 집단 간, 상호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작업단계는 7회기부터 10회기로 본 활동의 중, 후반부에 해당되며 재배관리, 수확, 장식 및 재배 결과물 선물하기 등의 활동반복을 통하여 안정감, 만족감, 성취감 획득 등의 긍정적 정서를 갖고 표현하도록 유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종결단계는11회부터 12회기로 전체활동을 마무리하는 단계로써 가족에게 편지 쓰기, 삽목국화화분 짝에게 선물하기, 집단전체가 각자 나무의 빈 곳을 채워가며 조화롭게 X-mas트리를 만들고 모두가 함께 보고 즐길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 후 느낌나누기 등의 활동을 집단전체, 개별의 형태로 구성하여 치료가 끝남에 대한 감정을 다스리고 이별을 준비하며 집단원예치료의 의미파악과 집단치료의 목적, 목표와 개별 목표, 활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과정이 되도록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집단원예치료 전, 후 노인의 우울감 변화는 일반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 0.027*).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의 평균이 1.9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치매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8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7*).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 평균이 0.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집단원예치료 전, 후 노인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일반 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27*). 대조군의 경우, 자존감 평균이 1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치매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1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P=0.018*). 대조군의 경우, 1.4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12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을 조사, 분석하여 원예치료에 이용되는 원예활동의 실제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별로 보다 바람직한 원예활동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으며, 그 첫 단계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에 게재된 원예치료의 치료 및 재활영역의 논문을 대상으로 치료적 문제에 따라 대상자에게 적용된 원예활동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원예치료를 수행하는 영역을 예방영역과 치료 및 재활영역으로 분류하여 원예치료 관련 논문을 조사해 본 결과, 치료 및 재활영역이 51.14%로 예방영역의 2배에 가까운 연구논문이 조사되어 예방영역보다 치료 및 재활영역에서 원예치료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료 및 재활영역 대상자에게 적용된 원예활동을 치료적 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심리ㆍ사회영역의 연구논문이 92.6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기르기(재배), 꾸미기(장식 및 이용), 느끼기(감상),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꾸미기(장식 및 이용) 활동이 60.14%로 월등히 많이 행해지고 있었으며, 신체영역이 48.67%, 인지영역이 47.77%, 심리ㆍ사회영역이 62.56%로 세 영역 모두 꾸미기(장식 및 이용)가 가장 높게 조사됨을 알 수 있었다.
        12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원예치료활동이 이루어진 장소, 시간, 집단의 크기 및 구성, 한계와 규칙, 구조성, 개방성과 같은 현재 원예치료 연구들에 나타나 있는 집단운영의 유형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활동 장소는 실내와 실외 활동을 겸하여 수행한 실험이 가장 많았으나 실내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과 큰 차이가 없었다. 활동시간은 주1회, 총12회기가 가장 많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는 10명이 가장 많았고 집단의 구성은 남녀혼성, 성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가장 많았다. 집단의 한계와 규칙을 제시한 실험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Liebmann(1986)이 제시한 ‘A' 'B' 'C' 'D'의 집단 구조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의 개방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었고 일부 논문에서 개방집단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원예치료 운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활동장소와 회기당시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기당시간도 집단의 연령 구성과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회기와 총회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외의 요인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행된 활동이 집단원예치료라면 개별원예치료와 일반적인 원예활동과는 차별되게 집단원예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효율적으로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연구와 제시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제시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의 수정,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이며, 또한 향후 집단원예치료의 요소와 집단원예치료에서 수행된 원예활동들의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제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치료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proposed a model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o be presented the proces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group development stage, its therapeutical factors, its horticultural therapy intervention and instructions of appropriately performing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reorganizing the group horticultural therapy with proper consideration for individuals or groups. This attempt is believed to see higher than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group dynamics and the group development stage considering that horticultural therapists can perform group horticultural therapy from individuals. In this study, the group development stag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steps of Corey(1995) is consist of 4 stages: initial stage(orientation and exploration), conflict stage(dealing with resistance), working stage(cohesion and productivity), final stage(consolidation and termination).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treatment factors and horticultural therapy intervention in the form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along the steps of the group development stage. However, this model of the group horticultural therapy is considered the conceptional frame works through the reference review. To conclude, after practical application being analyzed the type of group, the succeeding study of the effect which reveals reflected and amended model is necessary.
        13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Serotonin level of mental disorder who is treated by medication in closed mental care unit.. This study present basic data which horticultural therapy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at mental rehabilitation field for the synergy effect on medication.
        137.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eed to hav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as a scientific treatment according to horticultural therapy processes progressed by the therapist's intentions and to have horticultural therapist acknowledged as a special occupation has been recognized. Consequently,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in hopes of specialty enhancement, joint responsibility during treatment and an exhaustion solution of therapists for horticultural therapy with the execution of the "supervision" through a phased practical training system as a specialized education method of therapists. The present statu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supervision" was researched with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reserve horticultural therapist as subjects and the present form was illustrated, and the method and contents of how they wanted to receive this supervision was researched through surveying. Also,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ng horticultural therapy supervision and overall horticultural therapy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horticultural therapist and reserve horticultural therapist group, horticultural therapy(main treatment) experience, horticultural therapy performance degree, horticultural therapist foster curriculum type.
        138.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various client groups have been announced, but in order to specialize and include these effects in the health care community, it needed more obvious effects and researches about specific area connected with horticultural therapy among whole medical care such as effects and economic value for practical use. Especially it may be useful that reliable clinical data and cost-effectiveness which is compared it with other treatments are presented. This research accomplished as pilot study which present cost-effectiveness analysis model according to problems and clinical indicator which can act with horticultural therapy for activating public relation and introduc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of practical use. This study concerned very necessary trial to inform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idely to the health care community especially. In the future, continuous studies and efforts for economic value of horticultural therapy should be needed.
        139.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thesis had an aim to help university students act floriculture effectively, and investigated universities' preference of the flower color objectfying 149 students. The three cut flowers in our country were selected, and they are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his thesis inquired of thirty flower gardens about color selection through telephone, and selected the most favored colors of three cut flowers asking the customers. The colors were red, yellow, and pink. This thesis established six polling booths in the lecture room 6.3m wide and 7m long, and put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olor based on cut flower put in the polling booth 1,2, and 3, this thesis put the common color - red, pink, and yellow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ut flower based on color in the polling booth 4,5,6. Scrutinizing the flower color after experimental study based on cut flower,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the rose, the most objects(48 persons, p=0.064) of investigation preferred yellow.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the most objects(107 persons, p=0.0000) preferred pink. The rose and the chrysanthemu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Scrutinizing the preference of the cut flower based on the color, in the case of red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and in the case of yellow cut flower, the most objects(52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In the case of pink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3) preferred chrysanthemum.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scrutinizing the tendency based on sex and age,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flower color, the persons 19~22 years old preferred pink carnation, and the persons 23~29 years old preferred yellow carnation.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0.007) But the tendency based on sex or ag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140.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yl-CoA synthetase 4는 생쥐에 있어서 거의 모든 조직에서 발현하며 아라키돈산에 특이적인 효소이다. 아라키돈산은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cPLA2에 의하여 유리되고 cyclooxygenase-1, -2에 의하여 eicosanoid로 변환된다. 이렇게 생산된 prostaglandin과 같은 eicosanoid는 배란, 수정, 임신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세포막으로부터 유리된 아라키돈산은 acyl-CoA syntheta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