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0

        4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실제 공연장을 예제 건물로 하여 공연장에 발생한 진동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연장 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해 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프로그램은 MIDAS GEN을 사용하였으며, 바닥판은 합성효과를 고려하여 모델링 하였다. 해석결과 진동계측실험을 통해 구한 바닥판 고유진동수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군중의 율동에 의한 동적하중을 시간이력해석으로 해석하여 진동계측 실험과 유사한 수준의 바닥판 가속도 응답을 확인하였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예제 공연장의 최대관람인원인 400명의 집단율동 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둥과 보의 가해지는 외력은 설계 내력을 하회하여 안전성에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연 시 발생하는 수평방향 진동수준은 지진하중의 2% 수준으로 수직수평 모두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4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duce optimum harvesting time based on fruit traits that were examined with fruits hanging the higher part (HP, higher than or equal to 2m height from the ground) and lower part (LP, lower than or equal to 1.5m height from the ground) on ‘Niitaka’ tree. The fruits of HP compared to of LP tended to be heavy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luble solid contents (SSC), hardness and gravity at each of the harvest time. On the basis f the discrepancies of the fruit traits between HP and LP, harvest time for the fruits of LP are acquired to be delayed for raising fruit weight and SSC. Due to the substantial probability of flesh pithiness based on the dramatic decrease of fruit gravity, it is necessary that the fruits of LP distributed just after harvesting or stored for short-term period.
        4,000원
        4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출원 예정인 알스트로메리아 유망 교잡 계통 C269의 기내번식체계 조건 구명을 통해 국산묘의 안정적인 보급에 기 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장점을 MS배지에 치상하 여 초대배양 후, 준비된 근경 생장점은 근경 증식을 위해 6-Benzylaminopurin(BAP)와 Kinetin(KIN)처리를 하였다. KIN 처리구의 경우, 신초 발생량이 많고 조밀하게 생장 했다. 이는 근경 증식을 위한 근경 분리가 힘들어 근경 증식에는 적합하 지 않았다. BAP 처리구의 경우 0.2mg·L-1이하의 농도 배지 에서 키운 근경을 분리하여 증식 시키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뿌리 발근 배지는 1-Naphthaleneacetic acid(NAA) 0.25mg·L-1첨가 배지에서 가장 많은 뿌리가 발생되었다. 하 지만, NAA 호르몬 처리에 의한 비정상적인 뿌리 비대가 발생 되었다. 반대로 무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뿌리, 세근 및 뿌리 털 발생이 더 좋았다. 순화 과정 중에는 호르몬 처리구 보다 무처리구가 많은 생존률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신초 발생 및 지상부 생육도 무처리구에서 왕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알스트 로메리아 교잡 계통 C269는 BAP 0.2mg·L-1처리에서 근경을 증식한 후 MS 배지로 옮겨 치상 후 발근을 유도하여 순화를 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증식체계로 판단되었다.
        4,000원
        4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의 감쇠비는 내풍성능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구조물의 실제 감쇠비는 대부분 계측된 응답을 기반으로 시스템 식별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측된 감쇠비는 계측조건, 계측시간 및 시스템 식별기술에 따라 오차를 보이는 등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가상 동적진동기(Virtual Dynamic shaker)에 주요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외부하중 스펙트럼의 전체 평탄성을 국부 평탄성으로 개념을 확대하여 감쇠비 추정을 보다 정교하게 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국부 평탄성을 개념을 사용하여 감쇠비를 구하고자 하는 대상 모드의 고유진동수 부근에 적용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감쇠비 추정하는 기법을 다루었다. 본 개발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층건물의 상시진동에 대하여 적용하였으며, 기존 시스템 식별법, 자유진동실험에 의한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체 평탄성을 가지는 개념에 비하여 국부평탄성을 가지는 VDS가 보다 정확하게 감쇠비를 추정하는 것을 보였다.
        4,000원
        4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기존 송전철탑은 산악지형에 위치하여 강풍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강풍은 송전철탑에 동적하중의 증폭을 유도한다. 그러나 송전철탑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적하중을 직접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등가정적하중을 사용하여 설계된다. 따 라서 기존의 송전철탑 보강방법으로는 정적응답을 줄이는 관점에서 단면 증대나 좌굴길이 감소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실제 동 적하중조건의 경우, 감쇠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강기구가 보강방안의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송전철탑의 동적모델을 구축하였고,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풍하중은 풍동실험을 통해 구하였으며, 마찰감쇠기가 강성과 감쇠 를 동시에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되었다. 수치해석 결과는 마찰감쇠기의 최적 항복강도가 최하단 주주재가 부담했던 축하중의 5- 10% 임을 보여준다. 토글형 마찰감쇠기와 강성보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주주재의 부재력과 기초에 전달되는 하중을 크게 저 감시킬 수 있었다.
        4,300원
        4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류흐름에 의한 다양한 진동현상이 구조물에 발생한다. 이중 와류에 의한 진동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와류의 방출진동수에서는 Lock-in 현상에 의해 큰 진동을 유발하며 구조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와류 현상은 등류에서 관찰되는 현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 경계층에서 높이에 따라 풍속이 변화하는 난류에 의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와류의 영향을 풍동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탄성체 모형실험으로부터 계측된 가속도로부터 하중추정법을 이용 하여 와류진동을 발생시키는 1차 모드 와류하중을 추정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와류하중의 스펙트럼을 보면 구조물 최상층 풍속의 약 88-90%에 해당하는 풍속에서 와류방출진동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피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풍 속이 점차 증가할수록 와류하중의 스펙트럼의 진동수범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난류에 의한 와류하중을 특성을 반영 하면 초고층 구조물 등에 발생하는 풍직각 방향의 진동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5층에 설치된 능동질량감쇠기를 사용하여 5층 철골구조물의 처음 세 개 모드의 모드 특성을 식별하였다. 이 건물은 병진모드와 비틀림모드의 고유진동수가 매우 근접하며, 이 경우 정확한 모드 분리와 모달 파라미터 식별은 매우 어렵다. 사인 하중 가진실험을 수행하여 모드 진동수, 감쇠비, 질량, 모드형상을 식별하였고, 근접한 모드 응답을 분리하였다. 식별된 시스템은 동일 한 입력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구조물의 응답과 매우 근접한 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
        4,000원
        49.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urately estimate the wind-induced responses of a tall building structure for using the estimated responses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optimal force of an active control device. Kalman filter was used for the estimation process and a 3-storied model structure on a shaking table was tes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stimation accuracy. The system matrices of the model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mode parameters obtained by the system identification. The estimated displacement matched up well with the measured one. Finally, the wind-induced responses of a real 39-storied building structure excited by the typhoon MUIFA were estimated.
        4,000원
        5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RTK-GPS 장비를 사용하여 상시바람하중 및 가진 진동 실험시 계측된 변위 응답을 이용하여 실물크기 5층 철골 프레임에 대한 시스템식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가속도 응답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RTK-GPS는 10Hz의 비교적 낮은 샘플링 속도를 가지고 있어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측정안정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변위자료를 사용하여 식별된 모드특성은 가속도 자료를 사용하여 얻은 것과 동일하였으며,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변위응답의 평균성분을 관측할 수 있었다.
        4,000원
        5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economic growth has occurred in Asia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demand for soybeans, soybean meal and soyoil have also increased. Over the last 50 years, the cultivation of soybeans in the U.S., Brazil, and Argentina increased dramatically. Consequently, these three countries have become the major soybean producers and exporters in the world. The growth in soybean production in those countries over the years, however, has been insufficient to meet the demand. With the opening of China’s market to soybean and soybean products trade in 1995/96 and the accession of China to that trade agreement in 2001, Asian soybean imports began to increase dramatically. Korea opened its soyoil market in 1991 and it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not only in soyoil market but in soymeal and soybean market as well. As imports of soyoil expanded, the increased consumption was covered by imports and this caused burden cost to soybean manufacturers leading to decrease in soybean purchase. Since that time, consumption of Korean soybeans has become stagnant and due to this reason, production of soymeal, which is byproduct of soybeans, also decreased replacing increased domestic consumption with imported soymeal. This implies that market openness of soyoil, has brought negative effect in soybean and soymeal market. As a result, decrease in soybean consumption led to decrease in self-sufficiency of soybean products.
        4,000원
        52.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반응표면법과 다목적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유한요소모델개선기법의 절차를 제안하고 이를 저층의 철근콘 크리트건물의 모델개선에 적용하였다. 대상건물은 전단벽 신설 및 댐퍼부착을 위한 부재의 강재보강을 통해 내진보강이 이 루어진 건물로서 보강전후에 소형 가진기를 이용한 진동실험을 실시하여 동특성을 구하였다. 대상건물의 개선에 사용된 변 수는 기존콘크리트, 신규타설된 콘크리트, 조적의 탄성계수, 신축줄눈부의 스프링계수, 강재보강된 부재의 유효강성비이다. 보강전후 건물의 초기모델을 구축한 후 중심합성법에 따라 개선변수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얻은 해석결과를 통해 고유진동 수의 오차와 모드형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2개의 반응함수를 구하고, 이를 다목적최적화의 목적함수로 사용하였다
        4,000원
        5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effectiveness of seismic retrofitting methods using passive damping devices was investigated through numerical analyses of short-period structures under earthquakes which have short-duration and high-frequency impulse characteristics similar to Geyongju earthquakes. Displacement spectra of elastic systems and ductility demand of inelastic systems were evaluated by increasing viscous or friction damping. The damping devices could reduce responses of the structures with shorter structural period than 0.2s. The earthquakes similar to impulse load did not induce the responses of the structures with longer period than 0.4s, and the effects of the damping devices which generates damping forces proportional to structural responses became insignificant.
        4,000원
        5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ime and frequency domain characteristics of Gyeong-ju earthquakes were investigated, and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es were conducted for bi-linear hysteretic structures excited by short-duration ground acceleration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larger inelastic displacements than the peak dis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elastic system were observed especially for the structures with structural period shorter than 0.3s, and the similar results could be obtained when long-duration ground accelerations were used as excitation loads. For the short-duration earthquakes, however, the inelastic displacements were not so large and almost identical to the peak elastic displacements.
        4,000원
        5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청주 제조시 최적의 품질유지를 위한 청징 및 여과방법을 검토하고자, 청징제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와 젤라틴의 사용량을 달리하고, 여과보조제인 활성탄과 규조토의 사용량을 달리하여 청징효과와 품질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흡 광도에 탁도 분석을 통한 청징효과는 벤토나이트 단독 사용시 젤라틴 단독사용, 젤라틴과의 혼용보다 효과가 컸으며, 벤토나이트 사용량이 많을수록 청징효과는 컸으나 증가폭은 감소하였다. 벤토나이트의 사용량이 많을수록 ethyl acetate와 고급알코올(n-propanol, i-butanol, i-amyl alcohol) 등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소폭 감소하였다. 활성탄과 규조토 의 사용량을 달리한 후 여과포를 거친 여과효과는 규조토의 사용량에 따른 청징효과는 크지 않았다. 반면 활성탄 200ppm 사용시 청징효과가 가장 컸으며 400ppm 이상의 활성탄 사용시는 역으로 탁도가 증가하였다. 활성탄을 많이 사용할수록 ethyl acetate는 감소하였으나 고급알코올의 변화량은 크지 않았다. 벤토나이트 사용량을 달리하고 활성탄 투입(200ppm) 및 규조토를 이용한 여과포에 의한 여과를 동시에 진행하였을 때 벤토나이트 750 ppm 사용시 청징효과 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풍하중을 받는 건물에 설치된 다중거동 복합 감쇠장치(MHD)의 성능을 평가하고, MHD 예비설계 절차를 제안하였다. MHD에 의해 증가된 등가감쇠비와 그에 따른 건축구조기준에 근거한 응답저감계수를 예상한 후, 풍하중 스펙트럼에 의해 생성된 풍하중을 사용하여 20층 철골구조물에 대한 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를 통해 얻어진 층변위 및 층간변위 평균 응답 감소율은 각각 0.585 및 0.525로, 이는 제안한 예비설계과정에서 추정된 응답감소계수 0.6과 거의 동일한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MHD의 제어효과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5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하중에 취약하며, 모니터링에 다양한 모드가 고려되어야하는 초고층 빌딩에서 최적 센서의 위치 및 최적 개수를 결정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층빌딩의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의 최적 개수 및 최적 위치의 결정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Kammer에 의해 제안된 유효영향법(Effective Influence Method)을 이용하여 특정 수의 센서가 설치될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며, 추정 모드형상의 정확도에 관한 모니터링 목표 수준을 달성할 수 있는 최소의 센서수를 결정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사례연구로 25층의 건 물모형인 켄틸레버 구조물을 선정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센서의 최적 위치 및 최적 개수, 계측 가능한 모드는 합리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5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가적인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 감쇠를 증가시키는 것은 건축물의 풍응답을 제어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MD와 AMD의 다중모드응답 제어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실제 AMD가 설치된 39층 건물을 사용하였으며, 이전 연구에서 시스템식별을 통해 얻어진 모드정보에 따라 수정된 수치해석모델을 사용하였다. AMD 제어력은 속도피드백, 뱅뱅 제어, LQ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1차 모드의 RMS 응답을 유사한 수준으로 맞추는 조건에서 TMD와 AMD의 고차모드제 어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TMD는 단일 모드에 대해서만 응답을 저감시킬 수 있었으나, AMD는 다중모드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