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두의 삼원교잡 모돈(L.×LW×D)으로부터 정상분만시켜 얻은 총 16두의 신생자돈에 Lactobacillus casei YS 생균 분말을 4주동안 경구 투여하여 얻은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구의 증체량이 대조구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투여후 1주일만에 하리예방 효과도 나타났다. 소장상부의 내용물당 유산균 수는 g당 시험구와 대조구모두 10^6cfu 정도로 비슷하였으나 시험구의 coliform수는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분변중의 유산균 및 coliform수는 유산균 투여에도 불구하고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10^6-10^7 cfu/g 정도였다. 소화관 내용물의 pH는 소장상부에서 감소경향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소장상부에 우세한 균종은 시험구가 L. salivarius, L. fermentum, L. casei였고 대조구는 L. salivarius, L. acidophilus 그리고 L. curvatus였다. 한편, 하리자돈으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은 Streptomycin, Ampicillin에는 내성을 보였고, Nalidixic acid, Gentamycin, Neomycin에는 감수성이 있었다.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망그물의 어획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철골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Fig.1과 같은 규격의 부드러운 나일론 천으로 단엽.복엽의 모형 전개깃판을 제작하여 유향과 이루는 영각별 유수저항과 양력을 측정 조사하였고, 이 전개깃판을 그물에 부착하였을 때의 어구의 동적 특성을 모형으로 시험하였다. 또 복엽 전개깃판에 의한 어구의 자동전개조 건에 관해서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엽전개깃판이 유향과 이루는 각도가 30˚일 때 최소의 유수저항으로 최대의 양력을 얻을 수 있었다. 2. 안쪽 전개깃판은 30˚, 바깥쪽 전개깃판은 40˚의 영각이 되도록 복엽 전개깃판을 구성하였을 때 수중 동태가 가장 안정되었고 Fig.1의 (a)와 (c)를 내외 전개깃판으로 하였을 때 최소의 유수저항으로 최대의 양력을 얻을 수 있었다. 3. 유속이 0.4m/sec 일 때 단엽 전개깃판과 복엽 전개깃판의 유수저항은 각각 모형 어구 전체저항의 27% 및 38%를 차지하였다. 4. 모형어구의 자동전개는 두깃판의 전연쪽은 6cm, 후연쪽은 3cm의 간격을 갖고 바깥쪽 전개깃판으 후연을 안쪽 전개깃판의 2/3되는 곳에 고정하고, 바깥쪽 전개깃판의 고삐줄은 전연쪽 간격의 3배 이상으로 길게 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detection range of fish detection system more longer and computerizing the system a parametric sound source, a timer and a digitizing circuit for the Apple II computer have been studied. The parametric sound of 5 KHz generated by passing AND gate two signals from carrier signal generator of 200KHz with modulator of 5KHz. This parametric acoustic source of 5KHz difference frequency had more higher directional resolution of 10 degrees than single frequency sound of 200KHz. Peripheral interface adaptor MC 6821 was adopted for interfacing to the Apple II personal computer. The timer consisted of six decade binary coded decimal counters (74 LS 190), and the digitizing circuit consisted of a sample and hold (LF 398) and an A/D converter(ADC 0808). The timer with 10KHz clock pulse had the measuring time from 0.1msec to 100sec. This time measuring range was satisfactory for the aim of the fish finding acoustic system.
The principal consisting rocks of study area are Precambrian metasedimentary bedrocks, Cambro-ordovician sedimentary rocks and Samhwa granite which have intruded these metasedimentary and sedimentary rocks. The reddish K-feldspar bearing Samhwa granite presettts miarolitic texture and graphic intergrowth between quartz and K-feldspar. The granite, homogeneou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elements, belongs to Calc-alkali rocks of subalkali series. According to AMF diagram, the granite was crystallized at the latest stage of the differentiation of magma. The Samhwa granite belongs to I-type granitoids and magnetite-series granitoids. Especially, this granite is thought to be crystallized in the epicrust with high oxygen fugacity. The Samhwa granite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masanite of cretaceous granitic rocks of Gyeongsang basin in the petrological and petrochemical properties. The biotite age of the granite by K-Ar age dating is 50.1±1.5. Finally, contact metamorphic zone of limestone by granite intrusion contains distinct minerals such as diopside, brucite, tremolite and muscovite, which indicate low temperature metamorphic grade.
Parametric 음원을 어탐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본 실험에서는 parametric 음원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 음원으로 어체에 대한 표적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200KHz의 단일주파수 음원으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KHz인 단일주파수로 구동할 때의 지향각은 5.0˚였고, parametric 음원의 주파수가 5KHz, 10KHz, 16KHz, 20KHz일 때의 지향각은 각각 4.3˚, 2.2˚, 3.0˚, 2.5˚로서 주파수 저감비가 감소할수록 지향각이 예리하였으며 부엽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parametric 음원의 주파수가 5KHz, 10KHz, 16KHz, 20KHz일 때의 음파변환효율은 각각 0.9%(Parametric 이득은 -41dB), 0.55%(parametric 이득은 -45dB), 0.1%(parametric 이득은 -60 dB), 0.04%(parametric 이득은 -68 dB)로 주파수 저감비가 감소할수록 음파변환효율은 급격히 낮아졌다. 3. parametric 음원으로 측정한 어체의 표적강도는 200KHz의 단일주파수 음원으로 측정한 표적강도에 비하여 단일어체일 때는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서 5 dB씩 낮았으며 어체수가 2~3마리 일때는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서 1~3 dB 정도 낮았으나 측면부분은 비슷하였다
1987년 9월중에 남부해역에서 부산수산대학 실습선 402호와 403호를 이용하여 통발 어구로써 어획한 붕장어 Astroconger myriaster의 전장「체중 및 굵기 등의 상호관계와 어체 크기와 어구망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장 L, 체중 W 및 굵기 D의 상호관계는 W=3.58×10 상(-4) L 상(3.38) (r=0.99). D=0.07 L-0.59 (r=0.99). W=10.38 D 상(2.76) (r=1.00). W=1/2×D 상(2)「L 과 같이 표현된다. 2. 붕장어를 어획하는 통발 어구의 그물코 크기와 구멍의 직경은 각각 29.2mm, 18.6mm이상 되어야 한다.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The present work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superovuiation and the cause of early embryo loss and Implantation failure in the superovulating immature female rats which were elaborated by a pituitary gland transplantation. A pituitary gland obtained from the orchidectomized rats was transplanted under the right kidney capsule of 28 day old female rats (PGT group) on the starting day of experiment which was designated as Day 2. The grafted pituitary glands were removed at 6h (RPGT 6h group), 12h (RPGT 12hgroup) and 24h (RPGT 24h group) after the transplantation. Control rats were treated with 41U PMSG on Day 2 (PMSG group). The estrous cycle and the levels of plasma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were observed on Day 0, Day 5, respectively. The implantation sites, the weights of ovary and uterus, and the number of corpora lutea were examined in all group on Day 8. The resuf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the number of the rats in proestrus and estrus were 93.0%, 82.6%, 0%, 90.7% and 89.5% in PMSG, PGT, RPGT6h, RPGT12h and RPGT24h group, respectively. The synchronization of estrus cycle was dchieved in all groups. 2. The mating rates of each group were 80.2, 75.0, 0, 56.4, 57.8% in PMSG, PGT, RPGT6h, RPGT12h, RPGT24h group, respectively. 3. The numbers of copora lutea on Day 8 were 47.1 i 4.9, 18.1 0.5, 14.1 i 0.3 and 8.9 0.3 in PGT, RPGT24h, RPGTl2h and PMSG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all groups (P<0.05). 4. The numbers of implantation sites (18.1 +- 4.0) in PGT group on Day 8 were higher than those of PMSG (8.5 2.5), RPGT 12h (9.8 i 0.2) and RPGT 24h group (10.8 i 0.2) (P<0.05). 5. The ovarlan weights in PGT (95.2 14.3mgIlOOg BW), RPGT 12h (51.7 0.6mgIlOOg BW), and RPGT24h (57.9 0.9mg/l00g 8W)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MSG group (30.4 7.4mg/l00g BW) (P<0.05). 6. The uterine weights in PMSG (672.4 4.7mg/l00g 8W), and PGT (660.7 7.8mg/l00g BW) groupswere greater than those of RPGT 12h (403.0 1.lmg/lOOg BW) and RPGT 24h (490.1 0.9mg/l00g BW) group (P<0.05). 7. The plasma progesterone levels in PGT groups (15 lng/ml) on Day 5 were higher than those of PMSG (83ng/ml), RPGT 12h (S7ng/ml), RPGT24h (8lng/ml) group (P<0.05). 8. The plasma estradiol-17 levels in PMSG group (lBSpg/ml) on Day S were higher than those of RPGT 24h (l3pg/ml) group (P<0.05). But estradiol-17 levels in PGT and RPGT 12h group were too low to discuss.
용액중(溶液中) propanil 분해산물(分解産物)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을 위해서 2000ppm으로 처리(處理)한 후 2주(週) 간격(間隔)으로 12주(週)까지 일정(一定)한 온도(溫度)로 유지(維持)시키면서 주분해산물(主分解産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추출(抽出)한 혼합물(混合物)로부터 benzene을 전개용매(展開溶媒)로 한 TLC에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와 TCAB를 Rf치(値) 0.65와 0.94에서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GC분석(分析)은 column 온도(溫度) 에서 분리(分離)가 가능(可能)하지만 정량적(定量的) 분석(分析)에서 DCA는 , TCAB는 로 달리하여 분해경로(分解經路)를 조사(調査)하였다. IR spectrum에서 와 의 흡수(吸收) band에 의(依)해 DCA의 작용기(作用基)가 결정(決定)되었다. NMR spectrum에서 와 의 peak는 DCA의proton과 일치(一致)하였다. 이와 같이 용액중(溶液中) 혼합추출물(混合抽出物)로부터propanil의 주분해산물(主分解産物)을 TLC로 분리(分離)하여 GC, IR, NMR로 동정(同定)한결과 propanil은 용액(溶液) 내(內)에서 DCA를 거쳐서 TCAB로 분해(分解)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Ramyon by industrially prepared with palm, beef tallow and blended rapeseed oils for frying oil was studied. The products was stored under fluorescent light at 60℃ with illumination of 9,000 lux. Changes of peroxide value, total carbonyl value, and absorbance at 232 nm of lipids extracted from Ramyon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storage stability of Ramyon prepared with oils containing TBHQ had better than that prepared with a mixture of BHA and BHT. The Ramyon prepared with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tallow containing 0.02% BHA/BHT showed higher storage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palm oil alone but showed lower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tallow alone both under the same condition of antioxidant treatmen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artially replacing palm oil and beef tallow by rapeseed oil for frying oils of instant Ramyon manufacturing. The AOM stability of rapeseed oil was inferior than of palm oil, but was comparable to that of beef tallow. When rapeseed oil was blended with palm oil or beef tallow, the AOM stability of the blended oil was improved. As far as AOM stability is concerned,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a blending ratio of 3 part of rapeseed oil to 7 part of palm oil and a ratio of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beef tallow. These blended rapesee oils was retarded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and polymers during heating. The antioxidative effects on the stabilities of AOM and thermal in blended rapeseed oils showed that TBHQ was superior to tocopherols and a mixture of BHA and BHT was infer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