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파밤나방 등 다양한 나비목 해충에서 diamide 계통의 살충제 (IRAC group 28)의 저항성이 많이 보고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저항성이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강릉에서 2018년 채집한 파밤나방의 경우 Chlorantraniliprole에 대하여 감수성 대비 2,500배 이상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추천 농도 처리 시 30% 이하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며 Cyantraniliprole, Cyclaniliprole, Flubendiamide에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냈다. 이 저항성 집단에서 diamide 계통 살충제의 작용점인 ryanodine receptor에 이미 보고된 G4946E 돌연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I4760M 돌연변이를 발견하였는데, 2014년 배추좀나방에서 보고된 돌연변이와 위치가 동일하였다. 따라서 I4760M 돌연변이는 파밤나방에서 diamide 저항성에 관여 할 것으로 판단한다.
The oriental fruit flies, Bactrocera doralis (Hendel) (Diptera: Tephritidae), a tropical pest, have recently been expanded to temperate region neighboring with Korea,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trade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biological data of several B. dorsalis complex was collected, and the establishment potential in Korea was examined using ecoclimatic index and population model results obtained from CLIMEX and Popmodel, respectively. In the CLIMEX, B. dorsalis could be established in the small part of Jeju Island in the 2010s, and the range gradually spread until the 2090s, and many parts of the lowland of Jeju Island were assigned in the marginal to optimal range. Using the population model and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host fruits, it was found that B. dorsalis can use a variety of host plants without time lag, allowing them to increase its population and to damage citrus, the main crop of Jeju.
Ticks are obligatory hematophagous ectoparasites, which can transmit various pathogens including bacteria, protozoa, and viruses via salivary secretion during feeding. Dopamine is known to be the most potent molecule for tick salivary secretion during blood feeding. Two dopamine receptors were recently characterized in tick salivary glands: dopamine receptor (D1) and invertebrate specific D1-like dopamine receptor (InvD1L). Dopamine’s action controlls the salivary glands by two distinct physiological actions: 1) inward fluid transport into the lumen of salivary glands acini via D1 receptor, 2) emptying lumen solute into salivary duct by pumping and gating via InvD1L. Between blood feeding, ticks can survive long period of time without blood feeding because of their highly developed osmoregulatory mechanisms. Off host ticks can maintain water balance by obtaining atmospheric water vapor via salivary glands. Understanding osmoregulation in ticks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methods to prevent tick-borne disease transmission. S3-5
Mosquitoes are the most important medical species by transmitting some of deadly infectious diseases to human. Established vector control methods involving the elimination of larval habitats, the use of physical barriers, or those involving insecticides are not sufficient to maintain the populations of these species below the epidemic risk threshold. The sterile insect technique (SIT) is a species-specific, non-polluting and environmentally benevolent method of insect control. This technique involves the release of massive numbers of artificially-reared sterile male insects that, due to their abundance, outcompete fertile wild males for mating opportunities with wild female insects. In this study we discuss optimization of the sterilization process and present a simple model and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optimum dose.
Background: Previous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the mechanical and neurophysiological effects of manual mobilization,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Objective: To compare the effects of posterior-anterior (PA) mobilization with weight bearing on sling and conventional PA mobilization on the bed.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ingle blind)
Methods: The subjects were 16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randomized to sling mobilization group (SMG, n=8) or conventional mobilization group (CMG, n=8). SMG received PA mobilization using a sling and CMG received traditional mobilization on the bed during lumbar mobilization.
Results: Both left and right muscle tones of SMG increased, but left muscle tone of SMG were increased and right muscle tone was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In addition, both left and right muscle stiffness of SMG were also increased, however left muscle stiffness of SMG was increased and right muscle stiffness was decreased. The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of SMG were higher than those of DMG, especially the right si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Extension of SMG, extension and flexion of CMG wer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cept for Flexion of SMG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Extension and Flex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lumbar spine PA mobilization using sling is beneficial in improving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trunk movement.
In pursuing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orts, companies have focused for the most part on reducing emissions due to the more efficient equipment and facilities. However they overlook a significant source of carbon emissions, one that is driven by operational policies. Currently companies are looking for solutions to reduce carbon emissions associated with their operations. Operational adjustments, such as modifications in order quantities could an effective way in reducing carbon emissions in the supply chain. Also, Cap-and-Trade mechanism is generally accepted as on of the most effective market-based mechanism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supply chain with single manufacturer and multiple retailers multi-product inventory model under the cap-and-trade system incorporating the carbon emissions caused by transportation and warehousing activities. Also, we provide an iterative solution algorithm and derive the common order interval and the number of intervals for each product. We show by numerical example that the inventory model incorporating cap & trade mechanism can reduce total cost and carbon emissions compared to the classical inventory model. Using the numerical examples, we also investigates different carbon price on the performance of the inventory model.
There are two methods for evaluating two or more mutually exclusive projects. One is a total investment approach and the other is an incremental investment approach. The former can rank projects by the criterion of the net present value, but the latter can’t do it. An incremental investment approach is only possible when all pairwise alternatives are compared. Thus an incremental investment approach is superior in ranking them over an incremental investment approach. To do so, a principle of comparison must be established. Comparisons of profitability are reasonable when operating the same amount of investment over the same period of time. One principle is that all projects are invested in the largest of the projects. Another principle is that all projects are invested during the longest project life of the projects. In this paper, even if the principle is followed, it will be shown that the external rate of return fails to rank them. However, the productive rate of return criterion would prove to be able to rank them like the net present value standard, provided that the principle of comparison is kept. In addition, rate of returns can be assessed so that all mutually exclusive projects can be compared at once, such as on the criterion of the net present value. That is, it can be also compared with many other returns, such as the profit rates on financial investments or real investments.
목적 : 재질이 다른 두 종류의 한달 착용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 기간에 따라 렌즈 전면의 NITBUT와 자각적 증상을 비교하였다.
방법 : Samfilcon A와 Comfilcon A 렌즈를 32명(평균 23.5±2.92세, 여: 24명, 남: 8명)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 각각 착용하고, 대상자에게 3회 방문 (첫째 날 3시간 후, 1일 및 1주일 렌즈 착용 9시간 후)을 요청한 후, 고대비도(100%)와 저대비도(10%) 시력표를 이용한 시력검사와 Keratograph 5M (Oculus, Germany)을 사용하 여 렌즈 전면의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TBUT)를 측정하였다. 콘택트렌즈와 관련 있는 자각적 증상은 5개 항목(불편함, 건조감, 시력 변화, 눈 감고 싶음, 렌즈 제거하고 싶음)으로 설문지 작성을 하도록 하였다.
결과 : 밝은 조명상태에서 검사한 고대비시력과 저대비시력, 그리고 렌즈 전면의 NITBUT는 Samfilcon A와 Comfilcon A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각각의 렌즈 착용 7일 동안 시력과 NITBUT 변화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련된 5개 항목의 자각적 증상의 상대적 발생빈도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 이가 없었고, 렌즈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두 렌즈 착용자들의 반응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각각, 40.6%, 37.5%).
결론 : 이 연구는 Samfilcon A와 Comfilcon A사이에서 pre-lens NITBUT와 자각적 증상에 대한 비슷한 임상 결과를 보여준다. 두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는 제조사와 렌즈 재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 착용자들 사이에 서 두 렌즈의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emerging technology and intelligent wireless communication paradigm that is dynamically aware of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also able to respond to it in order to achieve reliabl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The dynamical cognition capability and environmental adaptability rely on organizing dynamical networks effectively. However, optimally clustering the cognitive wireless sensor networks is an NP-complete proble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optimal sensor network design for maximizing the performance. This proposed Ranking Artificial Bee Colony (RABC) is developed based on Artificial Bee Colony (ABC) with ranking strategy. The ranking strategy can make the much better solutions by combining the best solutions so far and add these solutions in the solution population when applying ABC. RABC is designed to adapt to topological changes to any network graph in a time. We can minimize the total energy dissipation of sensors to prolong the lifetime of a network to balance the energy consumption of all nodes with robust optimal solu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RABC is better than those of previous methods (LEACH, LEACH-C, and etc.) in wireless sensor networks. Our proposed method is the best for the 100 node-network example when the Sink node is centrally located.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안경원 정기 휴무제 실태를 분석하여 안경사의 감정조절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충남과 강원지역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 478명을 대상으로 안경원 개설유무 및 안경원 정기 휴무제 시행을 설문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안경사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종사자는 개설자보다 감정노동과 감정소진은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와 심리적 안녕감은 낮게 나타났다. 안경원 정기 휴무제를 시행하지 않는 안경사는 정기 휴무제를 시행하는 안경사보다 감정노동과 감정소진이 높았고,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는 낮았다.
결론 : 정기 휴무제를 시행하는 안경사는 감정노동, 감정소진이 낮았으며,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와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다. 본 연구는 안경사의 감정조절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안경원 경영 및 안경사 직무수행 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During reading instruction, sustaining learners’ reading motivation (RM) may be a challenge but a requisite when the goal is to keep learners reading.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as to how RM may be sustained in a reading course. For this purpose, information on learners’ RM was collected in a semester-long university reading course with 118 Korean learners of English at the pre- and post-instructional stages of reading. RM was assessed with Motivations for Reading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reading instruction. Results indicated that reading involvement had decreased for all learners whereas the less skilled learners demonstrated an increase of reading efficacy and a drop in reading for grades. A linear multiple regression further indicated that reading efficac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reading proficiency only for the skilled learners. Implications are presented on how reading needs to be conducted by allowing learners to choose their own materials, which in turn may have an effect on developing more robust forms of RM.
고온기 화색발현이 우수하고 연중생산이 가능한 수출용 스프레이국화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충남농업기술원 화훼 연구소에서 2010년 분홍색의 모본 ‘Borami’를 방임수분하였다. 2011년에 종자를 파종하였고, 이중 화형과 화색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SP11-148-01’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주년 생산성을 위해 전조, 자연, 차광재배로 특성을 각각 검정하였고, 생육 및 개화특성은 화형과 화색이 비슷한 자주색 스프레이국화인 ‘Kingfisher’를 대조품종으로 조사하였으며, 2013년 ‘Yes Ruby’로 품종등록 출원하였다. ‘Yes Ruby’는 자주색의 설상화와 연녹색의 통상화로 가을 작형 개화기는 10월 24일로, ‘Kingfisher’의 10월 29일에 비해 빨랐다. ‘Yes Ruby’의 초장과 줄기굵기는 각각 94.9cm와 7.7mm로 ‘Kingfisher’의 89.2cm와 6.4mm보다 컸다. ‘Yes Ruby’의 꽃 직경은 6.2cm로 ‘Kingfisher’의 5.0cm보다 컸으며, 꽃잎수도 ‘Yes Ruby’가 25.7개로 ‘Kingfisher’의 23.3개보다 많았다. 착화수는 두 품종 모두 비슷하였으며, 흰녹병 저항성은 ‘Yes Ruby’가 2단계, ‘Kingfisher’는 3단계의 감염 정도를 나타내어 흰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상 유의사항은 ‘Yes Ruby’는 겨울철 균일한 개화가 이뤄지지 않아 겨울철 야간온도를 18℃ 이상으로 관리해줌으로써 균일개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생장억제제인 Daminozide을 처리함으로써 설상화수를 늘려 볼륨감 높은 꽃봉오리를 형성할 수 있어 고온기에도 화색발현이 우수하고 연중생산이 가능하여 안정적 수출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절화장미에 대한 ClO2의 꽃잎침지 처리의 잿빛곰팡이병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출 절화장미 ‘Beast'’ ‘Brut’, ‘Hera’, ‘Soleo’, ‘Vital’, ‘Dominica’, ‘Mentha’, ‘Miss Holland’, ‘Pitahaya’, ‘Wildlook’를 이용하여 현장평가를 실시하였다. 잿빛곰팡이 접종 후 생산 및 공선단계에서 ClO2 5μL・L-1를 2초 꽃잎침지 처리 후 관행적 수출 유통단계를 거친 결과, ‘Brut’와 ‘Soleo’에서 생산단계에서만 ClO2 꽃잎침지 처리한 처리구보다 생산과 공선단계에서 모두 처리한 처리구에서 잿빛곰팡이병 억제효과가 높았다. ClO2 꽃잎침지 처리에 따른 품질검증을 위하여 화색, 전해질용출률, 방향성을 분석한 결과 10품종 모두 처리간 차이가 없어 화색, 전해질용출률, 방향성에는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잿빛곰팡이 접종 유무에 따른 ClO2 꽃잎침지 처리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한 결과, 잿빛곰팡이병 처리구에서는 높은 발병률을 보였으며, ‘Dominica’와 ‘Mentha’에서는 ClO2 꽃잎 침지처리가 수치적으로 잿빛곰팡이병 발병률은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ClO2 꽃잎침지 처리는 10품종 중 3품종에서만 잿빛곰팡이병을 억제시켜, 처리 농도와 처리 시간 및 건조시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ClO2 꽃잎침지 처리가 절화장미의 화색, 조직손상, 방향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 수출유통과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장미 수출 시 ClO2 꽃잎 침지 처리는 생산단계보다는 공선단계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적 : 임신이 각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들을 선별하여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외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임신’, ‘각막 두께’, ‘Pregnancy’, ‘Pregnant women’, ‘Pachymetry’, ‘Corneal thickness’하였으며, 연구 종류와 언어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결과 : 총 7편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임신 전과 임신 중 각막 두께 변화에 대한 효과 크기는 1.013[95% CI: 0.743~1.282]이며, 각막 두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과 출산 후 각막 두께 변화에 대한 효과 크기 는 -0.539[95% CI: -0.746~-0.332]이며, 각막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신으로 인해 각막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신 전, 후 각막 두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콘택 트렌즈 피팅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실내식물 기르기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삶의 만족도 및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실내식물을 기르는 응답자들이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응답자들에 비해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삶의 만족도, 일반적인 식물 및 실내식물 관심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수록 삶의 만족도, 식물 관심도, 실내식물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실내식물을 기르는 사람들의 실내식물을 기르는 이유로는 그냥 식물을 좋아한다는 원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해 기르는 기능적인 측면도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식물을 기를 때 일상 생활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실내 분위기를 아늑하고 좋게 만들어 주는 측면에서 실내식물 기르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응답자들의 기르지 않는 이유는 식물에 대한 재배 지식 및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흙이나 식물을 만지는 것을 싫어하거나 식물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어서 기르기를 꺼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식물 기르기에 상관 없이 실내식물의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에 대하여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실내식물을 기르고 있는 사람들의 향후 실내식물 기르기 의향은 실내식물을 기르지 않는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나, 실내식물을 길러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재배 지식의 부재로 인한 경험 부족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해 향후 손쉬운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교육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대의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반려식물’ 관련 상품 개발과 원예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실내식물 기르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국내 원예 산업의 확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We want to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in a global context why GAN is so important to Jeju as Korea's largest Island in a multi-cultural society. Politically, Jeju Island succeeds have to survive ordeal from Jeju 4.3 Grand Tragedy. Geologically, as Jeju Island is located at center of East Asia, it has benefits from easy access to main cities to the island such as Beijing, Shanghai, Tokyo, Osaka, Seoul, Busan, Hong Kong, Taipei and so on. Environmentally, as Jeju was designated UNESCO Biosphere, World Natural Heritage and Geo parks, we want to keep it as a longevity island. Culturally, as we recognize it as a specialized in Western countries by human peace, Jeju as a World Peace Island tries to integrate aging human life agenda into part of a human life one. As the result, we suggest “Korea Care into Global Humanity in the Asia Pacific Context” as integrated policy agenda of both Korea and Peace Island villages for the 2021 GAN Biennial Conference from September 26 to 30, 2021 in Jeju Island Korea. As it based on village healing by villagers, Jeju island is small, as there is slrong soldarity between, we believe it can revive Korea communities.
Chronic and unpredictable stress can disrupt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 by suppression for secretion of gonadotrophin-releasing hormone (GnRH) and gonadotrophin, resulted in ovarian malfunction and infertility. In the recent days, kisspeptin has been highly highlighted as a hypothalamic peptide which directly stimulates synthesis and release for GnRH. However, in spite of the key role of kisspeptin in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 little information is still available on the changes of its expression during ovarian cycle under stressed condition. Therefore, we induced chronic and unpredictable stress series to the female mice to analyze kisspeptin expression in the brain and ovary. Stressed mice exhibited changes of behavior and body weight gain during the stress assessment, which suggested that the present stress model in mice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brain level, kisspeptin expression was attenuated than control. In the ovary level, the stressed mice displayed irregularly shrunk oocytes with broken zona pellucida throughout the follicle stages, pyknotic granulosa cells, decreased number of developing follicles and increased number of atretic follicles than the control. In case of kisspeptin expression in the whole ovary tissue, the expression level was decreased in the stressed mice. In detail, the less intensity of kisspeptin expression in the antral follicles phase was observed in the stressed mice than control mice, indicating that local function of kisspeptin during ovary cycle is highly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ovarian follicles. We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s of reproductive biology.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지역의 초등학생 굴절상태를 비교하여 지역적 굴절 변화의 기초자료로 활용 하고자 한다.
방법 : 나안시력은 모두 6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나이에 따라 8세 58안, 9세 69안, 10세 55안, 11세 60안, 12세 33안, 13세 23안으로 분류하였다. 근시 정도에 따른 구면 굴절력은 경도근시 –2.00 D 미만, 중등도근시 –2.00 D ~ –5.00 D 미만, 고도근시 –5.00 D 이상으로 분류하여 총 298안의 근시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제 점안 전과 후의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나안시력 0.5-0.6 범위의 경우가 101안으로 가장 많은 안구 수가 해당되었으며, 평균 구면값은 –0.83± 0.25 D, 굴절 범위는 –0.25 D에서 –1.50 D로 평균 나이는 10.2세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구면 굴절력 비교에서 는 8세 어린이의 MR 값은 –1.15±0.64 D, CR 값은 –0.92±0.75 D로 CR의 근시도가 0.24±0.36 D 낮게 측정 되었으며(t=-4.745, p<0.050), 13세 어린이의 MR 값은 –1.40±1.36 D, CR 값은 –1.26±1.26 D로 CR의 근시 도가 0.21±0.21 D 낮게 측정되었다(t=-2.614, p<0.050). 근시 정도에 따른 MR과 CR 정도를 비교한 결과 8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값은 –1.02±0.44 D, CR 값은 –0.79±0.62 D로 CR의 근시도가 0.24±0.37 D 낮게 측정되었고(t=-4.473, p<0.050), 13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값은 –0.86±0.51 D, CR 값은 –0.75±0.51 D로 CR의 근시도가 0.19±0.20 D 낮게 측정되었다(t=-1.810, p<0.050).
결론 : 강원도 원주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령별로 구면 굴절력의 MR과 CR 정도를 비교하였더니 8세에서 13세 어린이의 구면 굴절력 및 경도근시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나이가 많아질수록 미세하게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출 시 장미의 절화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켰던 친환경 살균물질인 ClO2의 적용 가능성과 수출 유통 환경분석을 위해 실험을 수행되었다. 일본 수출절화 장미 ‘Wildlook’의 수출유통단계에 따른 온・습도를 측정한 결과, 로즈피아 선별 및 포장 단계에서는 26~27℃/RH 40~43%, 로즈피아 저장고단계에서는 1~6℃/RH 35~64%, 부산 운송단계에서는 17~22℃/RH 48~73%, 일본 배 운송단계에서는 5~11℃/RH 54~70%, 일본경매장 및 소매점단계에서는 13~28℃/RH 46~81%로 총 5단계로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었으며, 습도는 35%이상이었다. 각 단계별 평균 온・습도는 26.9℃/RH 41.6%, 2.3℃/RH 56.6%, 20. 3℃/RH 58.2%, 6.9℃/RH 65.6%, 23.9℃/RH 69.45%로,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었고 습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관행 수출방식(박스당 30송이, 절화 60cm) 절화에 물과 ClO2 5μL・L-1 약 800mL을 공선장 포장단계에서 보존용액 처리 후 소매점에서 절화수명실험을 한 결과, 절화수명은 물과 ClO2처리구에서 각각 12.6일, 11.6일로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장미는 수확 후 일본 수출 시 운송 3일 동안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습도는 운송시간이 경과 될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출보존용액으로 ClO2를 처리하였지만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수출 절화 장미의 보존용액 처리에 ClO2 적용을 위해서는 적정 농도를 찾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 guidelines의 보고 지침 체크리스트 항목을 바탕으로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CINAHLPychINFO, Embase, Cochran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Cochrane Risk of Bias Tool을 통하여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검색어에는 “MCI”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hysical activit*” OR “physical performance” OR “physical exercise*”, AND “executive function*”을 사용하여 최종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무작위대조군 연구 11편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재는 주로 그룹으로 진행 되었으며 복합적 중재보다는 단일 중재가 많았다. 중재를 진행한 전문가는 피트니스 전문가,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가 많았다. 실행기능을 측정한 도구로는 TMT-A(21.4%)와 TMT-B(17.9%)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로 사용된 신체적 활동으로는 유산소 운동과 (8편, 72.7%) 무산소 운동 (7편, 63.6%)이 많았다.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을 포함한 중재는 실행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여가 활동을 제공한 중재는 실행기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는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로 인지적 접근과 더불어 신체적 활동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