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3

        116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선하는데 반영하고자 2002년도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교육센터에서 운영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와 과학적 모형, 탐구 활동의 세 요소들은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각 요소들이 제시된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의 수준이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목표의 인지 영역 중에서 상위 사고력 영역에 해당하는 종합 영역, 과학적 모형 중에서 상위수준의 추상성과 복잡성 모형인 다 개념-과정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 중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이 과학 영재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항목임을 전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교육 목표는 상위사고력 영역과 하위사고력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 종합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과학적 모형은 다 개념-과정 모형보다는 단일 개념 모형이 많았으며 추상성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은 실제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고르게 다루지는 않았다. 특히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은 적게 다루고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합 영역의 교육 목표, 다 개념-과정 모형, 실험 설계의 인지 능력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4,000원
        117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엽활엽수림 개벌 후 벌채지에서 주연부 식생구조 발달과정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 내 백운산지 역 제26임반 벌채적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1994년에 두 개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1994년, 1997년, 1999년에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벌채 후 6년간 주연부식생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림주연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병꽃나무, 비목나무, 국수나무, 산초나무 등이었고, 산림주연부와 인접한 조사구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고추나무, 비목나무, 덜꿩나무 등이었으며,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병꽃나무, 비목나무, 생강나무등으로 나타났다. 두개의 모니터링 조사구에서 주연부 천이단 계상 우세종은 방위와 국지저 위치, 기존 우점수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벌채 후 경과년도에 따라 각 벌채지 산림 주연부에서 벌채지 산림내부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유사도지수도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종다양도지수, 종수, 개체수 및 수관피도는 벌채지 산림주연부에서 벌채지 산림내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4,300원
        1173.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knee valgus kinematics in college students when performing a vertical drop land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females would demonstrate greater knee valgus motion. These differences in knee valgus motion may be indicative of decreased dynamic knee joint control in females. This study compared the initial knee valgus angle and maximum knee valgus angle at the instant of impact on vertical drop landings between healthy men and women. In this study, 60 participants (30 males, 30 females) dropped from a height of 43 cm. A digital camera and two-dimensional video motion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kinematic dat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knee valgus angle at initial contact l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The range of knee valgus angle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maximal angle of knee valgus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females landed with a larger range of knee valgus motion than the males and this might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 knee injury. The absence of dynamic knee joint stability may be responsible for increased rates of knee injury in females. No method for accurate and practic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thletes at increased risk of ACL injury is currently available to target those individuals that would benefit from neuromuscular training before sports participation.
        4,000원
        117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ng, Minpyo. 2004. A Contrastive Analysis of Selections of and Responses to Conversation Topics at the First Meeting: A Case Study of Korean, Japanese, Chinese, and Australian University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2). This paper conducts a contrastive analysis of dialogue topics and responses to the topics at the first meeting based on the data produced by Koreans, Japanese, Chinese, and Australians. The main research interest of this study lies in variation observed across nationality and gender. When the conversation topic at the first meeting was about entertainers, less than 20% of the respondents of the four countries reported uneasiness. More than 20% of the respondents showed discomfort regarding the topics of ideal opposite-sex type, one's phone number, or one's boy- or girl-friends. Concerning drinking capacity, most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respondents reported uneasiness. Women of all countries felt discomfort about the topic of one's height.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verwhelmingly felt uneasy about topics of personality or future goals, but Chinese did not. Only Chinese showed discomfort about the topic of the residence place. Looking at gender variation, remark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Japanese and Australian data,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from Koreans or Chinese. When people were asked what they wanted to know at the first meeting with a person of the opposite-sex, people from all countries preferred to know his/her name. People from Korea and China wanted to know his/her age; Japanese wanted to know where s/he was from; Australians wanted to know his/her hobbies. Koreans also liked to know his/her place of residence, but Chinese and Japanese also wanted to know about his/her hobbies.
        5,700원
        1176.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서의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160명(평균 나이 20.6세)을 대상으로 Push-up method(push-up 방법)와 NPC 검 사(폭주 근점 검사)로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하였다. 평균 폭주 근점은 8.63cm (:t 2.98) 이고 정상적인 폭주 근점을 보인 경우는 77.5% 였다. 평균 조절력은 9.87D (:t 3.58) 이고 나이에 따른 정상적인 조절력을 보인 경우는 67.5% 였다. 폭주와 조절 모 두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경우는 51.9% 였고, 폭주는 정상이나 조절 부족은 25%, 조절 은 정상이나 폭주 부족은 15.6%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7.5% 였다. 성별 비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더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에 대한 빈도 가 높았고 나이와의 상관성은 없었다. 폭주 부족보다 조절 부족이 더 많았고 다른 연 구 결과에 비해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학생들의 조절력과 폭주 근점 측정은 기본검사에 포함시킬 펼요가 있으며 문진을 포함한 다양 한 검사를 통하여 조절과 양안시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17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거리 작엽이 많이 요구되는 대학생 집단에서 비노안성 조절이상과 비사시성 양 안시 기능이상의 유병률과 그 분포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1985년과 1986년에 출생 한 48명을 대상으로 조절기능검사와 폭주기능검사를 실시한 후 양안시 기능이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43.7%(n = 2 1)가 조절 또는 양안시 기능이상이었는데 이중에서 양안시 기능이상이 35.4%(n = 17) 조절이상이 8.3%(n = 4) 로 나타났다. 양안시 기능이상 중에 서 는 폭주부족 (14.5% , n 느 7), 기 본외 사위 (12.5%, n = 6), 폭주과다 (6.3% , n = 3), 개 산과 다 (2.1% , n = 1) 의 순으로 유명률이 나타났다.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폭주부족은 6.2%(n = 3) 가 폭주부족, 6.2%(n = 3) 가 조절과다가 동반된 폭주부족 (CI+AE) , 2.1% (n =1)가 조절부족이 동반된 폭주부족 (CI+AD 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주과다에서는 4.2% (m = 2) 가 폭주과다, 2.1%(n = 1) 가 조절부족이 동반된 폭주과다로 나타났다. 조절이상 에 서 는 6.2%(n = 3) 가 조절과다 2.1%(n 二1)가 조절부족 (AD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절 또는 양안시 기능이상의 유병률은 외국의 관련 연구 결과와 비 교하였을 때,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분포에서도 션행 연구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대학생과 같이 근거리 작엽이 많이 요구되는 대상을 검 사할 때는 일반적인 굴절검사뿐만 아니라, 양안시 가능이상음 검출하기 위한 조절 및 폭주기능검사가 반드시 함께 수행되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117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Shanghai perception for Korean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 questionaire was examined on male 139(49.5%) and female 142(50.5%) college students of residing in Shanghai. Nationality of Kimchi answered Korea 75% of ail the participants, and have eaten Kimchi was 60.9%. Male purchsed commercial Kimchi 42.2% and female restaurant 46.3a(p< .01). The first answered 'it was taste' 51.6% when commercial Kimchi purchsed, and packing size of commercial Kimchi was 200g 56.9%. Among the intake experience have eaten Kimchi was the highest Baechu Kimchi 77.8%, Mu Kimchi 58.5% and Oi Kimchi 35.7%, also preference of Kimchi was Baechu Kimchi 49.7%, Mu Kimchi 26.9% and Oi Kimchi 13.8% in order. After have eaten Kimchi answered good 54.5%(p< .01), Kimchi liked reason were the highest 'refreshing taste' 39.7%, unliked were odor(of garlic, ginger and anchovy juice, etc) and too spicy in order Improvement on consumption extention of Kimchi answered 'not too hot' 30.4%, 'not too salty' 28.6% and 'not over-riped' 21.7%. Perception for Kimchi answered the highest mean 3.51'Kimchi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p< .05) and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4,000원
        117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and the living habits of 606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Chonnam area. The subjects included 290 freshmen (47.9%) and 316 undergraduate students (52.1%).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ost students (73.9%) skipped breakfast because of lack of time (65.8%) of the cases. Self-reported eating habits problems were eating irregular meal (52.8%), overeating (21.1%), unbalance diet (13.0%) and skipping meal (7.3%). The type of favorite snack was biscuit (31.8%) and cup Ramyon(31.8%). The weight control was higher in freshmen compared to undergraduate. The rates of smoking in freshmen and undergraduate were 21.0% and 26.6% respectively. The coffee intake and alcohol drinking frequency was higher in undergraduate compared to freshmen. The living habit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ndesirable.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nutritional program to improve their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for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4,000원
        1180.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the basic elements of social life and provided initial information to be of help to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program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and at the same time, by using sports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