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행정자치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제결혼 건수는 2002년에는 15,900건, 2005년에는 43,000건에 이르렀다. 이는 결혼으로 국내에 이주한 여성의 수가 매우 급증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사실이다. 정부의 주도로 이들 가정에 대한 다문화 지원 시업을 추진하고 있고, 그 중에서 주요사업이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이다. 현재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은 여러 곳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기관은 교육의 전문기관이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학과 공공기관이 연계하여 결혼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을 실시하여 연계 전후를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 대학은 강사의 수당을 지급받아 좀 더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고, 공공기관에서는 교육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어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다소의 단점도 있었지만 독자적으로 시행할 때의 문제점을 많이 극복할 수 있어 지역사회와 공공기관 그리고 대학기관이 협력한다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우리나라 해기교육대학은 제3국 해기사의 국적선 승선, 국제경쟁력의 약화, 3D업종의 취업 및 이공계 기피현상 등과 같은 교육 환경 변화로 인하여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21세기 해양혁명의 시대에 필요한 우수한 해기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입학, 학업, 대학생활, 승선실습 및 진로선택의 5개 과정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변화된 의식구조 및 학교생활풍토를 파악하여 현 해기교육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향을 검토하였다.
This thesis had an aim to help university students act floriculture effectively, and investigated universities' preference of the flower color objectfying 149 students. The three cut flowers in our country were selected, and they are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his thesis inquired of thirty flower gardens about color selection through telephone, and selected the most favored colors of three cut flowers asking the customers. The colors were red, yellow, and pink. This thesis established six polling booths in the lecture room 6.3m wide and 7m long, and put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olor based on cut flower put in the polling booth 1,2, and 3, this thesis put the common color - red, pink, and yellow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ut flower based on color in the polling booth 4,5,6. Scrutinizing the flower color after experimental study based on cut flower,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the rose, the most objects(48 persons, p=0.064) of investigation preferred yellow.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the most objects(107 persons, p=0.0000) preferred pink. The rose and the chrysanthemu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Scrutinizing the preference of the cut flower based on the color, in the case of red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and in the case of yellow cut flower, the most objects(52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In the case of pink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3) preferred chrysanthemum.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scrutinizing the tendency based on sex and age,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flower color, the persons 19~22 years old preferred pink carnation, and the persons 23~29 years old preferred yellow carnation.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0.007) But the tendency based on sex or ag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