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8

        10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등 효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동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통영 바다목장 해역내 한국해양연구원 가두리 설치 지역에서 2004년 7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채집을 실시하였다. 점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시료 채집은 야간에 점등구간에서 또한 자연상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비교분석을 위하여 같은 시간에 인접 지역에서 점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를 선정하여 점등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종 수
        4,300원
        10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esh wasters from tannery create major environmental problems. Despite their considerable fat content, these waster do not find important usage. Their disposal is also troublesome and costly. We have investigated the possible use of this fat as the production of biodiesel(fatty acid methyl esters) by transesterification using with fossil fuels. The fat released the waste by boiling water under the optimal condition (i.e., temperature, 120℃; decompression, 200mbar) and used to dry without refining for the produc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e experimental value of biodiesel yield was about 96%. The result of the chemical and GC analysis showed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Evaluation of the product indicated that it was suitable for use as a biodiesel fuel. In result of this experiment oil extract from fleshing process can be transformed into an environmentally affination fuel, to provide economical and ecological profits.
        4,000원
        10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야담집 소재 동물 퇴치담을 고찰해보기 위해 『청구야담(靑邱野談)』, 『어우야담(於于野談)』, 『천예록(天倪錄)』, 『동야휘집(東野彙輯)』, 『계서야담(溪西野談)』, 『기문총화(記聞叢話)』, 『동패락송(東稗洛誦)』, 『청야담수(靑野談藪)』, 『금계필담(錦溪筆談)』등의 야담집에서 퇴치담 작품 45편을 선택하여 동물 퇴치담의 특징과 사회적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동물 퇴치담에서 주로 퇴치의 객체는 호랑이, 여우, 뱀, 수리, 멧돼지, 고양이가 등장한다. 퇴치의 주체나 방법 면에서 각각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동물 퇴치에 주로 이용되는 도구는 살촉없는 철적(鐵鏑), 주문, 불, 칼, 나무, 도술, 돌, 죽창(竹槍), 쇠뭉치 등이며, 주체는 주로 당시의 이름난 사람 또는 동물이다. 퇴치의 주체로 등장하는 인물은 정북창(鄭北窓), 정고옥(鄭古玉),서화담(徐花潭), 이복영(李復永), 이수기(李修己), 신현(申俔), 박명현(朴命賢), 이우(李堣), 박엽(朴曄), 이덕재(李德載), 강감찬(姜邯贊), 민창혁(閔昌爀) 등이며, 동물은 야학(野鶴), 맹수, 호랑이, 족제비, 뱀, 쥐, 해동청 등이다. 동물이 동물을 퇴치하는 경우는 일곱 작품이며, 38편은 사람에 의해 퇴치되는 경우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랑이를 퇴치하는 작품이 25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뱀 퇴치가 13편, 여우 퇴치가 4편, 멧돼지 퇴치가 1편, 수리 퇴치가 1편, 고양이 퇴치가 1 편이 있다. 각 퇴치담에서 퇴치 객체는 퇴치의 주체가 되는 인간이나 동물에게 해가 되는 존재이며, 퇴치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존재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로 호랑이 퇴치의 경우 호랑이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이다. 손자를 데려가거나, 처녀를 위협하거나, 아버지를 죽이는 존재가 호랑이 이다. 또한, 뱀은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해를 가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뱀은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서 익힌 알려진 동물이지만, 야담집에서 퇴치의 객체로 등장하는 뱀은 착취와 재앙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양어(養魚)를 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백성에게는 뱀이 착취의 대상이 되며, 사람의 아들로 변신한 뱀은 한 집안의 장래를 위협하는 재앙의 대상이 된다. 고도에 홀로 남겨진 사람에게 뱀의 존재는 단순한 위협의 대상뿐만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경쟁자이기도 한 것이다. 또한, 매의 새끼를 잡아먹는 뱀은 종족의 평안을 해치는 재앙의 존재이자 먹이사슬의 상위에 있는 존재이다. 여우를 퇴치하는 작품에서 퇴치의 객체가 되는 여우도 뱀과 유사하다. 온갖 신묘한 도술을 부리며 비범(非凡)한 사내의 정혈과 오장을 먹으며 생을 이어가는 구미호는 신(神)조차도 어찌할 수 없었던 존재로 재앙을 몰고 다니는 존재이다. 인간을 농락하기 위하여 화담의 집안에 인간으로 변신하여 인간을 농락한 여우는 천리(天理)를 어긴 존재로 역시 재앙의 존재인 것이다. 야담에 등장하는 퇴치 대상의 이러한 다양성은 악의 화신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하겠다. 악은 늘 퇴치의 대상이 되는 존재이며, 과거로부터 만인의 질시를 받는 대상이다. 야담에서도 이와 같은 악의 존재는 퇴치의 대상이 되며, 퇴치를 통해 백성들은 안녕을 추구하게 된다. 퇴치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는 작품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재앙을 퇴치한다는 측면에서 동일하다. 전통적으로 고전문학 작품들이 추구해 온 권선징악의 사고방식은 야담에도 적용된 듯하다. 동물 퇴치담의 작품들이 재앙의 상징인 호랑이와 뱀과 여우 등을 퇴치한다는 측면에서 권선징악과 일치한다고 여겨진다. 권선징악은 단순히 선을 권면하고 악을 징치하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사회 정의를 구현한다는 점과, 인간 존중 사상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백성들의 가난과 병고, 재앙을 퇴치해 줌으로써 감히 벗어날 수 없는 가난과 병고를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게 하는 것이 바로 퇴치이다. 호랑이·뱀·여우 등의 퇴치의 객체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재앙의 퇴치가 궁극적으로 백성들의 삶을 평안하고 부유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백성들은 삶의 하루 하루를 버티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힘들고 지쳤을 것이다. 곁에 재앙을 두고도 무기력하게 당해야만 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야담집 소재 동물 퇴치담을 보면서 백성들이 구제받고 있으며, 악은 반드시 징치된다는 명제에 간접적인 희열을 느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백성들 사이에서 구전되며 기록문학으로 정착된 야담은 이미 백성들에게 많은 희열과 희망을 가질 수 있게 했다. 야담집 소재 동물 퇴치담은 단순히 흥미만을 위한 작품은 아니었다. 당시의 사회상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며, 흥미롭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연구의 가치를 높여 준다. 학생의 재능과 흥미를 고려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돌아보건대, 야담집 소재 작품들은 학생들에게 충분히 흥미를 자극하고, 우리나라 고전문학의 우수성을 알리고, 건전한 가치관을 함양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11,300원
        110.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산 야생화초지(Native wildflower p pasture: NWP, turf grass 6종 + 국산야생화 11종) 및 외국산 야생화초지(Introduced wildflower pasture; IWP, turf grass 6종 + 외국산야생화 9종)를 조성하여 계절별 개화시간, 개화지속 정도, 꽃의 색깔, 식생변화 및 초지에서의 동물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야생화초지의 개발에 필요한 초종 선발 및 구성, 혼파조합 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4,600원
        11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6월부터 1996년 6월까지 한강 하류 7개 정점에서 6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하여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70분류군 (taxa)으로 원생동물 3종, 윤충류 25종, 지각류 18종, 요각류 13종, 다모류 1종 등 60종이 종준위까지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1995년 6월에 전정점에서 10~27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한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 발생 직후인 1995년 7월에 가장 빈약하게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상류에서 하류보다 많은 종류가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최대출현량은 입방미터당 44,317 개체(1996년 6월, 정점 7)를 기록하였으나 같은 정점에서 1995년 7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계절별로는 1995, 1996년 모두 6월에 높은 출현량을 기록하였으며 7월과 1월에 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우점종으로는 지각류인 Daphnia galeata와 D. pulex 및 Bosmina longirostris와 요각류인 Canthocamptus carinatus, Cyclops vicinus, Thermocyclops hyalinus 및 요각류 유생이 출현하였다. 단일종으로 D. galeata가 최대 입방미터당 16,964개체의(1996년 6월, 정점 2) 농밀한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D. pulex, B. longirostris, T. hyalinus, C. vicinus도 각각 입방미터당 9,375 개체, 7,250개체, 6,714개체 및 5,772개체의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동물플랑크톤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996년 5, 6월을 제외하고는 상류역인 정점 1~4에서 하류역인 5~7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15.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제주도의 산굼부리에서 채집된 날개응애 4 신종을 기재하였다. 신종은 산굼부리소매응애(Brasilobates sangumburiensis sp. nov.), 털보곰보응애(Xenillus multisetosus sp. nov.), 탐라공검둥이응애(Nippobodes tamlaensis sp. nov.), 제주공검둥이응애(Nippobodes chejuensis sp. nov.)이다.
        4,000원
        119.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rge scale production of cloned embryos requires the technology of multiple generation nuclear transplantation(NT) using NT embryos as the subsequent donor nucle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producing the second generation cloned rabbit embryos, and also to determine the electrofusion rate and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comparatively in the cloned embryos of the first and second NT generation. The embryos of 16-cell stage were collected from the mated does by flushing oviducts with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FCS) at 47 hours after hCG injection In the first generation NT, the nuclear donor embryos were synchronized in the phase of Gi /S transition of 32-cell stage. The first generation NT embryos which were developed to 8-cell were synchronized in Gi /S transition phase of the following 16-cell stage and used as donor nuclei for second generation Synchronization of the cell cycle of blastomeres was induced, first, using an inhibitor of microtuble polymerization, colcemid for 10 hours to arrest blastomeres in M phase, and secondly, using a DNA synthesis inhibitor, aphidicolin for 1.5 to 2 hours to arrest them in Gi /S transition boundary. The recipient cytoplasms were obtained by removing the nucleus and the first polar body from the oocytes collected at 14 hours after hCG injection. The separated donor blastomeres were injected into the enucleated recipient oocytes by micromanipulation and were electrofus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ree pulses for 60 sec at 1.25 kV /cm in 0.28 M rnannitol solution The fused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a monolayer of rabbit oviductal epithelial cells in M-199 solution containing 10% FCS for 120 hours at 39 in a 5% incubator. Following in vitro culture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cloned embryos to blastocyst stage, they were stained with Hoechst 33342 dye for counting the number of blastomer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lectrofusion rate was found to be similar as 79.4 and 91.5% i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NT rabbit embryos, respectively. 2. The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to blastocyst stage of the second generation NT embryos (23.3%) was found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generation NT embryos (56.8%). 3. The mean blastomeres counts of embryos developed to blastosyst stage following in vitro culture for 120 hours and also their daily cell cycles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o 104.3 cells and 1.33 cylces in the second NT generation, compoared with 210.4 cells and 1.54 cycles in the first NT generation, respectively.
        20,0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