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22

        64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심지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초화류의 일조부족에 따른 관상성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장 특성에 따라 수직형, 부채꼴형, 반구형 식물 6종을 대상으로 7개월간의 차광처리 후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후 각 생장 유형에 따라 형태, 밀도, 색상 등의 관상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차광처리 전, 후 식물 생육을 측정 한 후 산출식에 따라 관상가치를 평가한 결과 가우라는 자생 지 환경에서의 관상가치를 5점으로 하였을 때 50% 차광에서 0.66점 낮았고, 돌단풍은 80%에서 0.99점 부족한 관상성을 나타냈다.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식물들의 생장 패턴을 유형화하는 등의 지속적인 경관식물의 가치 정량화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도심지 녹지의 질을 높이는데 다양한 식물이 활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관상식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64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not been any scientific analysis on appropriate size of workforce and salary for civilian workers in military so far. Thus, this paper conducted analysis on propriety in employment size of military doctrine researchers using system dynamic methodology based on annual military doctrine workload. Vensim software was mainly used to measure complement of the research group based on data from job analysis. Second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an appropriate wage for researchers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working condition. The data from twenty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nd twenty eight job positions that are performing similar duty with military doctrine researchers was obtained and utilized to create a salary- estimation regression equation in the analysis. Finally, with cost-benefit analysis method this paper studied financial effectiveness of hiring military doctrine researchers.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ologies in cost-benefit analysis on intangible value, was utilized to measure benefit of hiring the researchers.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measur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military organization not only in military doctrine research area but also in several military functional area (military training, logistics, administration, combat development, and combat support).
        4,000원
        64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based on a representative body shape drawn from previous studies that classify adult male torso shapes. In this study, a design method is proposed by developing a tight-fit pattern that can be easily developed into various items and designs using the body surface development figure. This is obtained by converting the 3D body shape of the model representing the representative body shape. The specific design method was conducted as follows. Actual measurement values were used for waist back length, waist-to-hip length, shoulder length. The scye depth was determined as C/4–1.7 cm, and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was set at (1/2 × actual measurements)–0.2 cm. The front-back neck breadth was set to (1/5 × base neck circumference)–1.3 cm and (1/5 × base neck circumference) cm. The front-back neck depth was set to (1/5 × base neck circumference)–1.2 cm and 3.5 cm. Front chest circumference was C/4–1 (front-back difference)cm; (1/4 × back chest circumference) was C/4 + 1 (front-back difference) + 0.3 (dart amount) cm. Front waist circumference was W/4–0.2 (front-back difference) + 2.2 (dart amount) cm; back waist circumference was W/4 + 0.2 (front-back difference) + 2.5 (dartamount) cm; front hip circumference was H/4 + 0.2 (ease) + 0.2 (front-back difference) cm; and back hip circumference was H/4 + 0.2 (ease)–0.2 (front-back difference) cm; Front droop was 1.6 cm. The newly developed tight-fit pattern is expected to be of great use as a basis for garment construction.
        4,600원
        64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보육교사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선행논문과 심층면담을 통해 총 170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Q모집단 중에서 연구의 주제와 가장 관련성이 있고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33개의 진술문을 Q표본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P표본은 P시에 근무중인 어린이집 교사 23 명을 선정하여 좋은 보육교사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을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고 그 자료를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제 1 유형은 ‘인정형’, 제 2유형은 ‘소통형’, 제 3유형은 ‘민감형’으로 명명하여 제시하였다. 제 1유형은 아이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칭찬과 격려로 아이 존재 자체를 그대로 인정하며 안전하게 돌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 2유형은 밝고 유쾌함으로 아이들을 좋아하고 사랑하며 원장, 동료 교사와 협력적인 관계를 맺어야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3유형은 아이들을 사랑하고 아이들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안전하게 돌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에게 좋은 보육교사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밑거름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645.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butternut squash (Cucurbita moschat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chromaticity of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powders were evaluated,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se ethanolic extracts were analyzed by DPPH, ABTS, FRAP, reducing power activity,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s a result, Cucurbita moschata was revealed to have high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hile crude ash and crude fat contents were relatively low.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had lower L, a, and b values than the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Additio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s,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Also,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was revealed to have a higher polyphenol content, but slightly lower flavonoid content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Based on the data from this study, further experiments on Cucurbita moschata material are necessary.
        4,000원
        646.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β-glucan content of extracts extract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at 30, 55 and 80℃ after hot air drying or freeze drying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For the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mushroom, β-gluca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ABTS+․Nitrite assay were measured. Also,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freeze drying rather than hot air dry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However, the total pheno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hot air drying rather than freeze dryin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both mushrooms,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earson’s correlations betwee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r=0.719~0.753 (p<0.01). As a result,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during freeze drying and extraction at 80℃. An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obtained during hot air drying and extraction at 30℃.
        4,000원
        64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미생물 오염 수준과 그 발생원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확 단계에 사용된 작업자 장갑의 교체와 온도 관리 및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신선 고추에 대한 미생물 오염에 저감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작업자 장갑 미교체 시 3시간 기준으로 작업 전과 후의 일반세균 미생물 오염증가율이 약 190%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반해 교체한 작업자의 장갑의 미생물 오염증가율은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과정 중 보관 온도는 냉장 보관 보다 상온 보관일 때 미생물 오염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냉장 보관이 미생물 오염 예방 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소형 플라즈마를 이용하였을 때 초기 균 수 대비 5일차에서 일반세균 3.0 log CFU/g 감소, 대장균군, 효모/곰팡이는 불검출로 나타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 없는 경우 5일차에 대장균군이 2.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어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 치가 보관 및 유통과정 중의 미생물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발생원인 중 하나인 작업자의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가능한 냉장 유통 방법과 신선 고추의 수확 후 보관 및 유통 중에 소형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다면 고추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 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 이외에도 다른 신선농산물의 수확, 선별 단계나 유통단계에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 또는 저감화 하는데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4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heating methods (hot-air heating, roasting, and microwave radiation) and kernel characteristics on the expansion of whole grains from different botanical sources have been examined. Waxy brown rice which composed of hard endosperm with tightly adhering pericarps showed explosive expansion during heat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starch granules in hard endosperm expanded during heating, forming porous internal structure. Meanwhile those in soft endosperm remained intact since moisture vaporized into the void surrounding the granules. Whole wheat which expanded to the least extent during heating showed the formation of large fissures between pericarp and seed coat, indicating improper rigidity of pericarps as well as endosperm texture for puffing. The degree of expansion and microstructure of kernel varied depending on the heating methods applied due to their different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Hot-air heating resulted in the higher extent of expansion than roasting or microwave radiation. Whole grains heated by either roasting or microwave radiation showed not only similar extent of expansion but also internal microstructures, although roasting process created the formation of an agglomerated mass at the domain of endosperm due to the partial gelatinization of starches.
        4,000원
        649.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문코치의 코칭역량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코칭역량에 대한 Q모집단을 구성한 후, Q표본인 33문항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고 전문코치 22명을 P샘플로 선정하여 33개의 진술문을 Q분류를 통해 자료수집 후, QUANL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코칭역량에 대한 인식은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목표달성역량 추구형’으로 코칭을 통해 고객의 목표달성을 코칭 핵심역량으로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관계형성역량 추구형‘으로 코칭은 고객과의 신뢰, 성실, 진정성으로 맺어져야 하며 관계형성이 코칭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3 유형은 ‘원칙유지역량 추구형’으로 코치로서 코칭의 개념, 철학, 태도 등 기본에 충실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코치가 생각하는 코칭역량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코칭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및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본 연구를 통해 코치의 코칭역량 교육과 관련 양성교육기관에서의 코칭역량 인식 유형별 코칭 교육프로 그램의 개발 등의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5,700원
        650.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풍하중에 노출된 강재 및 CFRP로 구성된 비닐하우스에 대한 확률론적 성능비교를 하였다. 풍하중에 대한 취약성은 강풍에 노출된 온실의 파괴확률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단동 비닐하우스의 유한요소 모델링은 한국농촌 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한 설계도를 적용하였다. 해석결과를 구조물의 한계상태와 비교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파괴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풍속에 따른 파괴확률을 도출하기 위해 가상의 풍하중에 대하여 적용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전체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변형한계상태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강재 비닐하우스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수평 변형 한계상태가 하중조건에 대한 단동비닐하우스의 파괴원인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651.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ISO19030 - 선체 및 프로펠러 성능 모니터링 방법을 실선 178 k 벌크선박에 적용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실가 스 저감 규정 대응과 해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 저감 솔루션을 선박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량적으로 선박 성능을 분석하기 쉽지 않아 에너지 저감 솔루션의 평가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해운 산업의 요구에 따라 2016년 ISO19030이 표준화되어 선박 성능 분석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ISO19030에서 제안하는 환경 보정법은 각 날씨 영향을 고려한 보정이 아닌 정수(Calm Sea) 상태에서 운항한 데이터만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분석 방식은 선박의 운항 구간에 따라 데이터가 필터링 되는 편차가 심하고 정확한 환경 보정을 하지 않아 6개월 이하의 분석은 신뢰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ISO19030을 실제 3척 선박 3년 이상 장 기간 운항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를 토대로 ISO19030 효용성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ISO19030에서 제안하는 필터링 방식 대신 ISO15016의 파도 보정(STA-WAVE2)을 통해 성능 분석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4,000원
        652.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옥신계 식물 생장조절제인, IBA의 처리방법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는 2019년 4월 12일에 코이어 배지가 충진된 화분(150×135×90mm)에 정식 하였다. IBA는 0, 50, 100, 150, 200mg·L-1농도로 각각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로 식물체당 50mL씩 처리하였다. IBA 처리는 2019년 4월 29일에 시작하였다. IBA의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2주 간격으로 9주간 처리하였다. 처리 9주 후, 모주의 엽병장은 대조구에서 가장 짧았다. 자묘의 수는 엽면살포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아의 수는 IBA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살포 100mg·L-1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1차 묘와 2차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차 묘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지관주 100mg·L-1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그러므로, 3차 묘의 생육과 측아 발생 억제를 고려하였을 때, 배지관주 100mg·L-1처리가 IBA를 딸기에 처리함에 있어, 3차 묘의 생육과 자묘 생산에 적절한 처리방법 및 농도인 것으로 보이며 위 결과는 딸기 육묘기에 노동력 절감 및 묘소질 향상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53.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락 광합성 모델의 도출을 위하여 생육 챔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광합성의 효율적인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생육 챔버를 이용하여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변수를 갖는 로메인 상추(Lactuca sativa L.)의 군락 광합성 곡선을 도출하는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상추는 식물공장 모듈에서 재배되었으며, 군락 광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크릴로 제작된 생육 챔버(1.0x0.8x0.5m)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로, 다음의 두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된 군락 광합성 속도를 통해 각 방법의 시정수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즉, 1) CO2 농도를 고정(1,000μmol·mol-1) 하고 광도를 변화(340, 270, 200, and 130μmol·m-2·s-1) 시키거나, 2) 광도를 고정(200μmol·m-2·s-1)하고 CO2 농도를 변화(600, 1,000, 1,400, and 1,800μmol·mol-1) 시켰다. 두 번째로, 1)과 2)의 방식을 적용하여 군락 광합성을 측정했을 때, 특정 광도(200μmol·m-2·s-1)와 특정 CO2 농도(1,000μmol·mol-1)에서 측정된 군락 광합성 속도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CO2 농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의 시정수는 광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에 비해 3.2배 큰 값을 나타내었다. 광도를 변화시키며 측정할 때 군락 광합성 속도는 1분 이내에 안정되었고, CO2 농도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6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광도를 변화시키는 측정 방식이 생육 챔버를 이용하여 작물의 군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때 적합한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65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algorithm for control of SPD(Suspended Particles Display) on Smart Skin was proposed. The office with SPD located in Jeonju, Jeollabuk-do was modeled and simulated using TRNSYS18. Through simulation, the energy and lighting consumption of building were analyzed The two kinds of control algorithm(SPD and dimming control method for cool energy and lighting energy saving(CASE 1) and improved control method(CASE 2)) were compared. For this research, Two models(with and without SPD and dimming control)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cooling energy and the light energy consumption was reduced 15.1%, and the lightind energy consumption was reduced by 39.2% more than the model without SPD and dimming control. But, at the improved control method(CASE 2) the cooling energy consumption was reduced of more 2.5% and lighting energy consumptions was reduced of more 18.3% than CASE 1. When using SPD and dimming control, lighting energy consumptions showed more sensitive to solar radiation than cooling energy consumptions. As the improved control method(CASE 2) showed more advantageous saving tate than SPD and dimming control metrhod for cool energy and lighting energy saving(CASE 1),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d control method (CASE 2) must be utilized in practice for SPD and dimming control.
        4,000원
        66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운항선의 운항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머신러닝 기법의 선박 마력 예측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신조선에는 ISO15016법을 이용하여 외부환경 요인에 대하여 수식을 통해 저항을 예측하나 관련 계산식이 복잡하고 요구하는 입력변수들이 많아 운항하는 실선 적 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예측, 인식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우수한 성능의 선박 출력 예측이 가능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예측 모델은 실선 운항 빅데이터만 확보된다면 ISO15016법 대비 우수한 성능의 예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78K 벌크캐리어의 운항 DATA를 활용하여 ISO15016 기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 하는 SVM 알고리즘 기반의 마력해석법을 비교하여 ISO15016의 단점인 선박 모델 데이터 준비 부분을 줄이고 부정확한 마력 예측 성능을 개선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