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7

        221.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폴리이미드는 높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용제에 대한 낮은 용해성으로 인해 막을 제조할 경우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으로 낮은 분자간 상호작 용 및 패킹을 가지는 지환족구조의 다이안하이라이드인 DOCDA 를 이용하여 용해성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다. FT-IR을 통해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고 용해성 평가를 통해 여러 가지 유기용매에 대한 향상된 용해성을 확인하였다. H2, CO2, CH4에 대한 투과특성평가 결과 상용화된 폴리이미드막 과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었고 특히, CO2/CH4, H2/CH4에 대해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222.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범세계적인 온실가스저감 노력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수송분야에서 친환경자동차 보급이라는 전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자동차 중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라는 신에너지를 활용하는 자동차로 친환경차 중 유일하게 전기를 생산히야 모터를 구동하는 자동차이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와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청정하다는 이로운 점도 있지만 아직은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 내 부품 중 전해질 막은 수소이온을 전달하고 생성된 물을 활용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불순물, 온도변화, 부하운전, 가습조건 등 다양한 자동차 환경에서 열화가 발생한다. 전해질 막 연구에 있어 자동차 운전환경에서 나타나는 열화 현상과 발생 가능성 및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22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전해질막은 전극 이외에 전기 화학 연료전지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고분자전해질막은 가스나 양성자 등의 작은 분자를 선택적으로 수송해야 한다. 고분자전해질막을 투과한 가스는 급속히 전기 화학적 환원을 발생시켜 음극 촉매의 열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수소 장벽으로 작동해야 하며 가능한 한 빨리 양성자를 이동시켜야 한다. 지금까지 고분자전해질막의 수소 기체 투과도를 측정하는데 한정된 방법(예 : Constant volume/variable pressure (Time-lag)법)을 사용 했다. 그러나 측정의 대부분은 고분자전해질막은 건조된 진공 하에서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얻어진 수소 투과도는 측정 오차가 커지는 원인이 되기 쉽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분자전해질막으로 사용되는 Nafion212의 수소 가스 투과 특성을 온도와 습도가 동시에 제어되는 in-situ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4,000원
        22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nalyzed performance assessment factors of odor sensors from 4 different manufacturers, including minimum detection limit, humidity stability and temperature stability. In the minimum detection limit assessment, only one electrochemical gas sensor was able to detect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t the concentration of 5 ppb. The standard deviation ratio was over 10%, and it increased as humidity rose. The range of temperatures in which the electrochemical and photoionization gas sensors could function well was between 25oC and 40oC, and the sensor output values were unstable at low temperatures. Regarding the temperature stability of the metal oxide semiconductor sensor for measuring complex odors, the sensor output values dropped considerably to 0~10oC, and were similar to the concentrations of odor gases generated at 25oC. The results of the test of odor sensor outputs after temperature and humidity pre-treatment revealed that the respective stable output values at 50% humidity and 25oC were similar to the concentrations of manufactured odors. In term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stability of the NH3, H2S and Complex odor sensors, all target substances had stable output values at 25~40oC and 50~65% relative humidity, and unstable values at low temperatures and high humidity. Therefore, implementing pretreatment systems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rrection (25~40oC, 50~65% RH) is necessary for the stable use of odor sensors.
        4,900원
        22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료전지는 화석연료, 특히 내연기관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전인 에너지 기술이다. 가장 중요한 핵심 재료 중 하나로서 연료기체의 장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소이온전달 역할을 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PEM)이 있다. PEM 내부에서 수화 채널은 수소이온의 전달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높은 함수율을 저가습 상태에서도 유지하여 우수한 수소이온 전달 능력을 보유할 수 있는 상분리현상을 통한 친수성 채널 형성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이 러한 낮은 가습조건에서도 높은 수소이온전도도를 갖는 술폰화 PEM들의 합성 전략에 대하여 논의 하여보고, 다른 연구자들 의 고성능 탄화수소계 PEM의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4,500원
        22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implemented an experiment in which hydrogen sulfide was removed by establishing a two-stage packed tower effector filled with nutritious medium and also filling a tower that was immobilized in ceramic media after isolating and identifying the sulfur oxidizing bacteria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As a result, strains isolat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were found to be similar, including Bacillus fusiformis, Bacillus anthracis sp., Paenibacillus sp., Serratia marcescens sp., Bacillus thuringiensis. The effector that immobilized isolated strains in the ceramic media achieved an approximately 90% removal rate of hydrogen sulfide, while the sterilized ceramic media not immobilized with isolated strains showed a removal rate of about 65%. In addition, the removal rate of hydrogen sulfide in the primary media packing effector immobilized with sulfur oxidizing bacteria was about 92%, while the secondary effector filled with medium had a hydrogen sulfide removal rate near 100%. In addition, 90% efficiency of removal was shown in conditions of EBCT 60s in the experiment that investigated removal rate of hydrogen sulfide according to residence-time, while the efficiency was rapidly reduced up to 45% in conditions of EBCT 30s. 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for an extended period time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injected hydrogen sulfide, the amount of sulfate was increased from 2 mg/L to 12.7 mg/L, and pH was rapidly reduced to 2.7.
        4,000원
        22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implemented an experiment in which hydrogen sulfide was removed by establishing a two-stage packed tower effector filled with nutritious medium and also filling a tower that was immobilized in ceramic media after isolating and identifying the sulfur oxidizing bacteria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As a result, strains isolat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were found to be similar, including Bacillus fusiformis, Bacillus anthracis sp., Paenibacillus sp., Serratia marcescens sp., Bacillus thuringiensis. The effector that immobilized isolated strains in the ceramic media achieved an approximately 90% removal rate of hydrogen sulfide, while the sterilized ceramic media not immobilized with isolated strains showed a removal rate of about 65%. In addition, the removal rate of hydrogen sulfide in the primary media packing effector immobilized with sulfur oxidizing bacteria was about 92%, while the secondary effector filled with medium had a hydrogen sulfide removal rate near 100%. In addition, 90% efficiency of removal was shown in conditions of EBCT 60s in the experiment that investigated removal rate of hydrogen sulfide according to residence-time, while the efficiency was rapidly reduced up to 45% in conditions of EBCT 30s. 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for an extended period time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injected hydrogen sulfide, the amount of sulfate was increased from 2 mg/L to 12.7 mg/L, and pH was rapidly reduced to 2.7.
        4,000원
        229.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SPAES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렌드막을 이용하여 연료전지용 전해질 막으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은 상용화된 PES,PVdF를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소수성 고분자가 첨가되어 메탄올 투과도가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물리적 강도가 증가됨으로써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0.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2/CO2selectivity across ZIF-7 membrane prepared by in-situ growth method at 105°C synthesis temperature for 2 h, was the highest at 15.98, nearly 4 times higher than H2/CO2 Knudsens E.q. factor of 4.7. ZIF-7 membranes prepared from in-situ growth method also surprisingly performed better than ZIF-7 membranes prepared by other innovative techniques such as electro-spray deposition and secondary growth methods. (selectivity : 9.59 and 4.7, respectively) Despite lower selectivity performance than the numerically predicted results, the micro-porous ZIF-7 membrane prepared in this work demonstrated higher H2 permeability of 3770 barrer.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various inorganic membranes, including ZIF-7 & ZIF-8 membranes, was made and a new upper boundary for inorganic membranes was also constructed and reported.
        231.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PFSA) ionomers have been widely used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cluding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PEFCs), owing to their excellent resistance to harsh chemicals and good ion-transport properties. PFSA materials experience critical chemical decomposition to radical attacks, and fast hydrogen crossover leading to fairly redu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when they are used as membrane materials. Similar chemical degradation also occurs in PEFC electrodes containing PFSA ionomer binders used as both mechanical supporters and proton conductors and shortens PEFC lifetime. In this study, several approaches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rearrangement to overcome these economical and technical issues are proposed. They include pore-filling membrane formation, nanodispersion, and their combination.
        232.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발표에서는, 팔라듐계 수소분리막의 구성과 원리, 응용분야, 국내외 연구기관별 연구현황 및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진행한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다공성지지체의 표면에 치밀질 팔라듐계 합금을 코팅하여, 수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막의 특성, 모듈구성, 이를 이용한 CCS 공정에 적용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1. 분리막 제조부분에서는, 평판형 다공성 니켈지지체 표면에 컬럼형태의 세라믹을 일차적으로 코팅하고, 이의 표면에 팔라듐을 코팅해서 치밀화는 공정을 설명한다. 2. 모듈 부분에서는, 모듈형태에 따른 수소플럭스와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3. 개발한 분리막/모듈을 이용한 응용공정 소개를 통하여 이의 활용성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