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포천천의 부착규조 군집 분석과 DAIpo에 의한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7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8년 4, 6, 8, 10, 12월과 1999년 2월에 각각 1회씩 채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105 taxa의 규조가 출현했으며 이들은 2목, 3아목, 8과, 21속, 70종, 6변 종, 1품종 그리고 Nitzschia 속의 미동정종 1종으로 분류 되었다.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Navicula minima 및 Gomphonema pseudoaugur는 호오탁성 종으로서 본류의 정점 1, 2, 3, 4 및 5에서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Gomphonema parvulum은 혐오탁성종으로서, Achnanthes lanceolata, Cocconeis placentula와 Nitzschia fonticola는 광적응성종으로서 지류인 정점 a와 b에 서 우점종이였다. DAIpo의 값은 각 정점의 평균 11.6~ 46.5의 범위로서 정점 2가 가장 낮았으며 정점 b가 가장 높았다. DAIpo에 의한 포천천의 수질은 β-중부수성에서 강부수성으로 평가되었다.
전형적인 도시근교 하천(潮滿江)에서 수질의 오염양상을 93년 6월부터 94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연평균 BOD 농도는 9.3 mg O2/ l로 5급수였고, TN, TP 및 chl-a 는 각각 4.6 mg N/ l, 239 μg P/ l 및 104 μg/l로 과영양상 태였으며, alkalinity, DO, 투명도, TSS 등 다른 수질인자도 부영양화 특성이 잘 나타났다. 연평균 TN/TP의 비는 19로서 P가 조류의 생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평균 질소화합물 농도에서 무기질소가 66%, 유기질소는 34% 차지하였고 무기질소 중에서 암모니아가 63%, 질산염이 37%였다. 지류 중에서 해반천의 질소와 인부하량이 가장 컸으며 해반천의 NH4는 본류보다 3.5배 이상 높게, TP 농도는 본류보다 2.5배 높은 농도로 유입되었다.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해 반천에서 무기질소 또는 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담수조류는 여름에 남조류 Microcystis, 겨울에 규조류 Stephanodiscus가 번무하는 등 오염지표성 조류가 대발생하는 수계였다. Chl-a량은 계절에 따른 전형적인 변동을 찾아볼 수 없었고 봄∙가을보다 겨울에 현존량이 더 높았다.
국내 정수장.수도전.간이상수도등 2000여 곳의 수질을 환경부가 검사한 결과, 지역별로 세균.무기 이온등 몇몇 항목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한 것이 밝혀졌다. 이중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질산성 질소.암모니아성 질소.불소.염소등의 농도를 임의로 조작한 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가정용 정수기 모듈로 정수처리시켰을 때의 효과와 지역별로 문제시되는 항목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적당한 분리막을 선정하고자 측정 검토하였다. 정수처리하여 얻은 투과수를 일정 온도 하에서 보관하고, 일정 시간마다 세균수를 측정하여 세균수와 온도 및 시간과의 관계를 측정 조사함으로써 막 사용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끔 검토하였다.
1996년과 1997년도 2년동안 1월부터 12월까지의 영남지역의 5개소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조사한 지역은 낙동강 유로연장 521.1km중 57%에 해당하는 경상북도 유로구간 298.1km로서 상류지역 3개소(안동, 상주, 구미), 중류지역 2개소(왜관, 고령)로 총 5개소에 대해 실시하여 낙동강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고 낙동강 수질 개선 및 장례에 예상되는 수질악화에 대비한 물 관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낙동강의 조사지역 5개소의 pH는 공히 6.5~8.6 정도를 나타내었다. 2.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여름철에 낮아지고 겨울철에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3. 부유물질(SS)은 여름철에 급격히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4. 총인과 총질소는 조류가 번식하여 부영양화를 일으킬 만큼 높은 수준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당한 수준의 양이 관찰되었다. 5. -N와 -N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The in situ observations and the seawater analyses were conducted in July and Auguse, 1996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quality centered about eutrophication in Mokpo harbour. By applying the OECD standards of trophic classification to the parameters such as secchi depth, total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and chlorophyll-a, the trophic level of seawater in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in eutrophic state in summer. The estimation of pollution index by eutrophication showed th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to deteriorate and fall under the regular grades. The results of eutrophic index estimation showed the high otentiality of red tide occurrence in Mokpo harbour.
The in situ observations and the seawater analyses were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1996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pollution, dissolved oxygen distributions, and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Mokpo harbour. The vertical density distribution of water column was found to be in stable structure with higher water temperature and lower salinity on surface layer at ebb tide in summer. In July, dissolved oxygen was shown to be oversaturated on surface and bottom layers, while in August, which was shown to be oversaturated on surface layer, and to be unsaturated on bottom layer as 68∼93% of saturation percentage. Dissolved oxygen of bottom layer in August was evaluated to be under the regular grades, based on Korean standards of seawater quality. In view of COD, th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in summer was evaluated to be deteriorated due to organic wastes and graded to be the third class, and TSS of Mokpo harbour in summer was graded to be the second class, based on Korean standards of seawater quality. In particular, COD of surface layer in August was found to be under the regular grad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take measures for the control of pollution loads and the proper management of seawater quality in Mokpo harbou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DO, COD, VSS and Chlorophyll-a on surface layer along the downstream center line from inner harbour to harbour entrance were similar to one another at ebb tide in August.
the observations in situ and the seawater analyses were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1996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quality centered on eutrophication in Mokpo harbour. By applying the OECD standards of trophic classification to the parameters such as secchi depth, total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and chlorophyll-a, the trophic level of seawater in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in eutrophic state in summer. By the estimation of pollution index with relation to eutrophication, th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under the regular grades and this evalu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evaluation obtained by the environmental index of single parameter, chemical oxygen demand. By the estimation of eutrophication index, the seawaters of Mokpo harbour were shown to have the high potentiality of red tide occur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