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9

        1241.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새로운 약용식물로 주목받고 있는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r sentico년 Max. )는 국내에서는 꽃이 피어 열매가 익어가다가 여름철 고온에 의해 거의 탈락되어 실생번식을 위한 종자채종이 안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종자가 채종되고 있는 일본 북해도 지역의 기상과 국내 각 지역의 기온과 일조시간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 나라에서의 가시오갈피 채종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가 채종되고 있는 북해도 지역은 8월에 개화되어 8월 하순~10월에 등숙이 이루어졌으며, 이 지역과 기온양상이 비슷한 곳은 대관령이다. 2. 가시오갈피의 맹아는 평균기온 7~8.5℃ 에 출현하였고, 꽃은 17℃ 이상에서 피었으며 개화기는 장수는 6월 중순경, 북해도는 8월 중순으로 2개월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3. 7~8월의 평균 최고기온은 북해도는 24.4℃ 대관령은 21.2℃ 로서 장수의 27.4℃ 보다 약 3~6℃ 정도 낮았으며, 특히 대관령은 6월~9월까지 평균 최고기온이 21℃ 전후로 계속 지속되므로 가시오갈피의 개화 및 등숙에 유리하여 채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4. 가시오갈피 등숙기간중 유효적산온도(5℃ 이상)는 장수 1,524℃ , 북해도 807℃ , 대관령 964℃ (추정치)로 등숙에 알맞는 유효적산온도는 1,000℃ 내외이다. 5. 가시오갈피의 작물기간(평균기온 15℃ 이상 출현일수)은 장수는 135일, 북해도는 79일, 대관령은 85일로 물질생산에는 장수가 유리하였으나 채종에는 불리하였다. 5. 가시오갈피의 개화 및 등숙 초기인 7~8월의 월 일조시간은 북해도는 83.5~85.4시간으로 장수의 174.6~177.2시간 보다 크게 적어 낙화 및 낙과를 줄여 채종하는데 유리하였으며, 대관령은 121.7~128시간이지만 고온기의 평균 최고기온이 낮아 채종 가능 지역으로 추정되었다.
        1242.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ntitative estimations of the stratification - destratification(SD) phenomena in Deukryang Bay, Korea have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of wind speed, heat flux through the sea surface and tidal current amplitude. To find out the main factors causing SD, we introduce the rate of energy balance of the surface heat flux, tidal and wind stirring proposed by Simpson and Hunter(1974). The calculated potential energy of three terms are compared, from which the energy of wind stirring effect was one order smaller than the heat flux and the tidal stirring. Using the results, we complement time integration of the potential energy with the several ε values of 0.010∼0.014 at interval 0.001 and with wind speeds of 1.5 and 2.0 times larger than observation values at land. It shows that the variation of SD phenomena in the bay mainly depended on tidal stirring and sea surface heating in summer if there is no exceptionally strong wind event like Typhoon. The stratification become to be formed from about 5 July although the stratification a little decreases during the second spring tidal period of middle of July.
        1244.
        199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주요 생육기별 관수처리시간에 따른 생육양상과 감수요인을 구명하고자 콩의 생육기 V3(6월16일),V6(6월29일),R2(7월3일),R4(7월29일) 시기에 관수시간을 6.12.24시간씩 명명 유지하여 비가림하우수내에서 pot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무처리 대비 V3~cdotV6 생육기 관수처리에서 1일정도 지연되었다. 2. 성숙기는 무처리 대비 V6 시기 6~12시간 관수처리시 2~3일 조숙되었으나, V6 시기 24 시간과 R2~cdotR4 시기의 관수처리는 2~8일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V6와R2 시기의 24시간 관수처리는 생장점이 고사하였으며 경장과 주경절수는 관수처리 시기가 빠르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내수는 처리시기가 늦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V6 시기 24시간과 R2 6~24시간 R4 시기 6시간 관수처리는 16~26%, R4 시기 12시간 관수처리는 40%, R4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60%씩 명명 감소되었다. 5. 수량은 관수시기가 늦고 관수시간이 길수록 감수되는 경향으로 무처리 대비 V3 시기 전처리와 V6 시기 6.12시간 처리까지 유의차가 없었으나 V6 시기 24시간, R2 시기 6.12 시간 및 R2 시기 6시간 관수처리는 27~36%, R2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43%, R4 시기 12시간 관수처리는 53%, R4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66%씩 명명 감수되었다. 6. 콩 생육기별 관수피해 정도는 R4>R2>V6>V3 시기순으로 감수폭이 컸다.
        1245.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246.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생육시기별 산성비에 대한 내성과 피해양상을 알기 위하여 벼, 콩, 고추 3개 작물을 영양생장기-수확기 또는 생식생장기-수확기에 pH2.7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처리한 후 작물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작물의 피해양상, 식물체 중 엽록소, 질소, 황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에 대한 잎의 가시적 피해는 벼 < 고추 < 콩의 순으로 컸으며,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보다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피해가 더 심했다. 피해증상은 벼는 갈색반점, 콩은 황화현상과 갈색반점, 고추는 작은 갈색반점이나 구멍이 생겼다. 2. 생식생장기에 조사한 벼, 콩, 고추의 엽록소 함량은 모두 pH 2.7 인공산성비의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 <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 < 무처리 순으로 높았으나 광합성 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3. 질소 함량은 벼에서는 인공산성비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콩과 고추에서는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 혹은 무처리보다 질소 함량과 흡수량이 많았다. 4. 황 함량은 벼, 콩, 고추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으나 흡수량은 벼 와 콩에서는 인공산성비 처리 기간이 길수록 많았다. 5. 벼와 콩의 수량은 pH 2.7 인공산성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벼는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임실률, 등숙률, 1,000립중이 감소하였다. 고추는 주당 과실수와 과중의 감소로 수량은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 < 생식생장기-수확기처리 < 무처리 순으로 높았다. 6. 인공산성비를 개화기에 1회 처리할 때 벼는 pH2.3이하에서 영화에 갈색반점이 생기며, 콩과 고추는 각각 pH 1.7 및 2.0에서 꽃잎은 시드나 과실은 생장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2.6에서 1.7까지 낮아질 때 콩은 협당립수가 감소하였으나 벼의 임실률과 고추의 착과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으며 생육초기일수록 상관이 높았다. 6. F1 은 생육초기에 엽의 질소함량이 높아 단위동화율이 높을 뿐만아니라 질소의 군락내 상하간의 농도 구배가 크고 흡광계수가 낮아 군락의 광합성에 유리하고, 이에따른 영양 생장기 건물 생산성의 증대가 단위 면적당 영화수의 증대를 통해 수량의 증대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높았고 그 다음으로 운봉>화서>철원산미 순으로 낮았으며 강하점도는 철원산미가 가장 켰고 그 다음으로 화서>운봉>진부산미 순으로 저온하에서 등숙된 쌀일수록 낮았으며 치반점도는 이와 정반대의 경향이었다. 밥의 점성 /경도비율은 철원산미가 여타 지역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6. 식미관련 미질특성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 전정보의 약 60% 설명이 가능한 제1 및 제2 주성분치상의 5개 품종별 4개 산지미의 분포로 보아 대체로 진부산미와 여타 지역산미로 확연히 구분되었고 다시 진부산미는 2개군, 여타 지역산미는 3개군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으며 산지내 품종변이가 가장 작았던 것은 화서산미였고. 고냉지산미는 품종 간 변이가 켰다. 식미관련 종합적 미질특성면에서 가장 양호한 군에 속하는 것은 철원, 운봉 및 화서산 오대벼와 운봉산 소백벼였다.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저지대의 습윤한 충적대지환경으로 변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나타났다.ates in 1678, was th
        1251.
        199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individual number of the future has depended not only upon the present individual number but upon the present individual age, considering the stochastic process model of individual number when the life span of each individual number and the individual age as a set, this becomes a Markovia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individual is treated as invariable, without depending upon the whole record of each individual since its birth. As a result, suppose N(t), t〉0 be a counting process and also suppose Zn</Tex> denote the life span between the (n-1)st and the nth event of this process, (ngeq1〈/TEX〉) : that is, when the first individual is established at n=1(time, 0), the ZZn</Tex> at time nth individual breaks, down. Random walk Zn〈/Tex〉 is Zn=X1+X2+·s·s+XA, Z0=0</Tex> So, fixed time t, the stochastic model is made up as follows ; A) Recurrence (Regeneration)number between(0.t) Nt=maxn ; Zn≤t B) Forwardrecurrence time(Excess life) T-It=ZNt+1-t C) Backward recurrence time(Current life) T-t=t-ZNt
        1253.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ccessful performance in sports depdepends on the ability of how quickly one reacts to the signal or environmental stimuli. From the viewpoint, reaction time(RT) and movement time(M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not only in applied study emphasizing performance, but experimental settings. Though there has been several instruments in measuring RT, most of them are not generally utilized due to the high expenses as digital timer and the limitation in collecting data. Furthermore, there has been questions about the accuracy in measurement, because many researchers measured RT and MT without testing the accuracy of a program. The Multi-Purpose Reaction Timer was developed to measure RT and MT and to handled the collected data efficiently in various experimental situations by using the computer above the level of 16 bit AT. The Multi-Purpose Reaction Tim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to facilitate the experimental control by comparing the measured time with digital timer.
        1255.
        199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PRP) is the delay in the response to the second of two closely spaced stimuli. This study was exami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r-stimulus intervals and number of alternatives on PRP. Subjects were 5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 voluntarily. Experimental task was double-stimulus task which first task was button pressing and second task was target aiming. Results showed that inter-stimulus interval influences on PRP, and number of alternatives does influence on PRP.
        1256.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if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and qualitative knowledge of result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ask natures. As the experimental method, I execute a kind of linear positioning task adopting 36 college students as objects of this study. After measuring movement time and distant error using a touch pad adhered a circuit and a programmed personal computer system, I calculate the mean of distant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I come to get these results as followings to perform factorial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providing a basis for this computation. The task natures and forms of knowledge of results have not influences on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The performance effect according to task natures make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is students show high accuracy of motion when they have enough time to perform the task voluntarily tha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y have to do the task as soon as possible.
        1257.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movement velocity control on timing variability and temporal structure parameters (time to peak positive acceleration, duration of positive acceleration, peak positive acceleration) of acceleration-time function. Subjects were 6 male students, and task was arm flexion mo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movement distance increased with movement time fixed, timing variability was constant, also time to peak positive acceleration and duration of positive acceleration were constant, but peak positive acceleration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when movement time increased with movement distance fixed, timing variability increased, and time to peak positive acceleration, duration of positive acceleration increased, but peak positive acceleration decreased. The results suggest that each control types of movement velocity are different fundamentally, and movement velocity as a function of movement distance is achieved by the increase of peak positive acceleration with time to positive acceleration and duration of positive acceleration constant. Namely, this type of velocity is modulated by the change of force with phasing of generalized motor program, and movement velocity as a function of movement time is achieved by the extension of time to peak positive acceleration and duration of positive acceleration, Thus, this type of movement velocity is modulated by the change of phasing and relative force generalized motor program.
        1258.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have been increasing efforts to find the source of motor response error variability and to apply this information for the efficiency of human activity in re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f movement amplitude and movement time, and movement velocity on the space-timing variability. Subjects(6 male student) engaged in an angular timing task at four different movement times(150, 200, 250 and 300 msec) over four movement ranges, respectively, Movement velocity were 50, 120, 180, 240, 300, 400 deg/sec. The result indicated that first, spatial variability increased and timing variability decreased as amplitude increased in all movement times, but spatial variability decreased and timing variability increased as movement time increased in all movement amplitude. Spatial variability was changed linearly with increment of movement amplitudes and movement times, and timing variability was changed linearly with increment of movement amplitude. But timing variability was changed curvilinearly with increment of movement time. Second, spatial variability increased and timing variability decreased as movemnt velocity increased, and response variability changed curvilinearly with increment of velo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vement amplitude, movement time and movement velocity are parameters of response variability.
        1259.
        199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이후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도입되어 운영되어 왔으나 차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컨테이너 수송체계는 도시교통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으로써 전 컨테이너 수송화물의 90%이상을 처리하고 있고, 또한 수출입항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으나 낮은 도로율(12.45%)과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로 인해서 도심을 통과하는 컨테이너 수송차량은 많은 교통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 부산시에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에 이르는 주요 도로상에서 컨테이너 수송량의 신간별 분포에 따라 컨테이너의 운행시간대를 첨두 시간대, 비첨두 시간대 및 심야 시간대로 분류하여 각 시간대별 평균 수송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수송 지체수준을 확인하였고, 2)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부터 Off-Dock CY에 이르는 도시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도로상에서의 수송시간 및 수송 지체수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3)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수송체계를 위한 최적 수송시간대 및 도로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 컨테이너 수송시간 및 지체수준은 각 운행 시간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심야 시간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수송을 할 경우에는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50%정도의 수송시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도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간선도로에 비하여 30%정도의 수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교통체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야 시간대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 수송차량이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산재해 있는 Off-Dock CY를 몇개의 ODCY그룹이나 단지까지 컨테이너 전용 고속도로의 건설이 바람직하고 생각된다.
        1260.
        199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 of force and response time to peak force on the forcee variability. The subjects were six 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y pulled the immobale handle at the three change of force(30, 60, 90%) and three response time conditions(100, 300, 500ms) . A three by three(change of force by response time to peak force) factorial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used to dertermine whether or not the effect on the force variability was significant (P< .0l) .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ata analysis were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change of force in the force variability. Second, there wa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sponse time to peak force in the force variability. Third, there wa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elation change of force and response time to peak force variabiliyty.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