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 장려품종과 지방수집재래종 도입종 등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최저 17.9%에서 최고 28.1%까지 10.2%의 변이폭을 보여 주었고 평균 함량은 23.6%였으며 대부분 21-25% 범위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은 남지종, 산동종, 은진종 등 7품종을 선발하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유래별로는 전남지역에서 수집된 품종이 가장 높았고 숙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종파색은 은회색이, 1,000립중은 무거운 대립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단백질 함량과 임실율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과 기름함량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과 1,000 립중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 Micro-kjeldahl법과 비교한 NIR법의 단백질 calibration 정밀도는 0.27%였다. 5. 들깨 95품종을 대상으로 micro-kjeldahl법과 NIR 분석법에 의한 단백질 함량 차이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표준편차 차이는 0.34%를 보여 주었고, 분석방법간에 고도의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6. 엽실들깨등 4품종의 아미노산 조성은 FAO권장량보다 높아 그 우수성이 인정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서 총량은 품종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lysine과 methionine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7. 들깨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아었다.
추월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 자원식물을 채집 분류하여 이용체계 확립의 수단으로 삼고자 이 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월산에 분포되어 있는 약용자원 식물은 113 과, 304 속, 428 종이었다. 2. 분포수종중 초본류는 73 과, 223 속, 317 종, 목본류는 49 과, 85 속, 111 종이었다. 3. 초본류는 주로 전초 또는 근을, 목본류는 수피, 과실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이었다.
It was indicated that natural fiber crops Ln Korea have been major crops, such as cotton, flax, ramie and Kenaf. The major varieties andagronomic characteric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tton variety, Mokpo 6 is long fiber length and, is high lint yield, flax variety, Wiera is hiTh amount of dry stem and grains weiTht. On the other hand, kenaf variety, Suweon 2 is high dry fiber weight and fiher ratio.
입암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식물을 채집 분류하여 이용체계 확립의 수단으로 삼고자, 이 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입암산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은 100 과, 252 속, 337 종이었다. 2. 분석수종중 초본류는 59 과, 169 속, 220 종, 목본류는 50 과, 85 속, 117 종이었다. 3. 초본류는 주으로 전초를 사용하며 수본류는 기, 수피 및 과실을 주로 약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많았다.
Recently, researches on oil crops Ln Korea were breeding on edible oil crops such as rapeseed sesame, peanut , periLla.Numerous varieties were released as a result of ective breedingworks on edible oil crops, that is 7 rape varieties including Yu-dal, Mokpo-11, Yongdang, Nozeogchae, Naehan, Yeongsanyuchae and Ch-eongpungyuchae (hybrid),5 varieties sesame including Suweon-5,9,21,Kwangsan99ae and Dabaekggae, 5 peanut varieties including Seodun-tangkonT,Yeonghotangkong, 01tankong , ShinpungtanTkong and SaedI-tanGkong, 3 periLLa varietLes including Daegu, Suweon8 and 10,res-pectively. This varietLes showed a good oil quality with high o-Leic and LinoLeic acids content, but periLLa oil seemed to be un-suitable for a edible use, since about 53 Percent of Its fatty a-cids was in the from of unsaturated LinoLenic acid
The plants medicinal resourees of Mt. Joghe were investigeted 10 times from January, 1988 to October, 1988.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Joghemountain area, herb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Herb plants of Joghe moun-tain consisted of 102 families, 265 specie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drugs were Gramineae, Cyperaceae Oleaceae, Araceae, Polygonaceae, Caryophyllaceae,Ranunculaceae, Theaceae, Cruciferae, Liliaceae, Rosaceae, Geranjaceae, Violaceae,Vitaceae, Umbelliferae, Labiatae, Solanaceae, Campanulaceae, Rutaceae, Compositae,Dioscoreaceae, Fagaeeae, Moraceae, Anacardiaceae, Legum inosae, Cupressaceae, andJuelandaceae. The herb dru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 in other mountains inour country.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basal media and the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for germination of seeds and growth of plantlet from Dendrobium monil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Germination was similar in light and dark condition, but the growth of plantlet after germination was better under dark than under light condition in several media. Germination was best in Hyponex and Kyoto solution medium among the 9 media tested. The number of roots/shoot was most in the Hyponex medium containing 0,1ppm NAA and 1.Oppm BA.
전남지역의 명산중의 하나인 백운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백운산에 분포되어 잇는 약용자원은 60과 250종으로 분류되었다. 2. 분포수종중 과본류는 161 종 목본류 89종이 분포되어 있었다. 3.과본류는 사삼, 도라지, 쑥, 엉겅퀴,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둥글레, 참마, 칡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목본류로는 굴피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후피향나무, 모란, 이팝나무, 쥐똥나무, 누리장나무, 고로쇠나무, 비자나무, 삼나모, 때죽나무, 모과나무 등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전남지역에서 3대 명산중의 하나인 모후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모후산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은 58과 230종으로 분류되었다. ⦁ 분류수종중 초본류는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우엉, 사삼,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산삼, 도라지, 둥글레, 참마, 칡, 대계등 17종과 대본류는 인동초, 참으아리, 방기, 목퉁, 엄나무, 구기자, 산수유, 밤나무, 매화, 인진호, 희첨, 지유, 초오등 13종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This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heritability, genotypic, ph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 in four edible oil crops.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plant height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rape were high.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plant hight and ear length, number of pods per ear and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and plant hight, The number of seed per pod showed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ering or maturing date as well a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of 1, 000 grains and plant height or ear length inrapeseed, respectively. Heritabilities of maturing date, length of stem with eapsule and number of seed per capsule were high, in sesam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length of stem with capsule, length of stem with capsule and number of capsule per plant, number of capsule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weight of 1, 000 grains and yield were highy positive in sesame.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length of main stem, weight of 100 grains and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in peanut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main stem and yield, number of shells per quare meter and matured seed ratio,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and yield, 100 grains weight and yiel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Heritabilities of days to flowering,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perila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etc, between number of internodes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lant as well, respectively. Whil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weight of 1, 000 grains, between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