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4

        602.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로 다른 씨클로펜타디엔 유도체가 π-결합된 최초의 비스무스 화합물인 η5-C5(CH3)5Bi(η5-C5H5)2이 디펜타메틸씨클로펜타디에닐 비스무스디메틸아미드 Cp*2BiNMe2[Cp*=C5(CH3)5]와 씨클로펜타디에닐 모노머와의 반응으로 합성되었다. 반응조건은 에테르 용매하에 -78℃ 반응온도 조건하에서 얻어졌다. 합성된 반응물을 노르말 헥산 용매에서 재결정시킨 결과, 검은색 결정이 60% 수율로 얻어졌다. 그리고 재결정시킨 반응물을 190K에서 X-선 단결정 구조 분석 방법에 의해 그 구조를 밝혔다. 그 결과 결정계의 격자계는 I2/a, a=1756.00 picometer, b=906.00 picometer, c=2211.00 picometer, β=104.04, Z=8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a, b, c는 결정?Ю? 상수이고, β는 결정격자 상수인 b와 c간의 각도이며, Z는 단위 결정 격자당 분자의 갯수이다.
        4,000원
        603.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오대산에서 한국 미기록과인 Blasticotomidae를 채집하였다. 이는 고사리줄기잎벌과 고사리줄기잎벌속 고사리줄기잎벌(신칭), Blasticotoma filiceti pacifica Malaise, 1931(Blasticotomidae)으로 동정되어 보고한다.
        3,000원
        60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랜덤한 축대칭 기하학적 초기결함을 갖는 원통이 축방향 충격하중을 받는 경우의 반경방향 변위가 임계기준치를 최초로 통과하는 확률론적 충격좌굴 파괴시간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랜덤한 기하학적 초기결함의 생성을 위해 초기결함의 평균함수 및 상관함수를 이용하여 확률장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실제적인 기하학적 초기결함이 갖는 불확실성을 취급하는데 적절하고 실용적이므로 이를 고려한 원통의 구조안전도해석에 이용할 수 있다.
        4,200원
        607.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08.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truction of the 'Two-degree Field' (2dF) instrument on the Anglo-Australian Telescope (AAT) is now virtually complete and commissioning is well underway. The key components are described. Several recent milestones are reported, including the first scientific results. Future prospects and plans are discussed.
        3,000원
        612.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s after first harvest (0, 30, 60, 90 and 120 kglha) during spring season on the gms growth, dry matter (DM) yield, nutritive value, and efficiency of DM product
        4,000원
        613.
        1995.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UBVRI CCD photometry of the Type Ie supernova SN 19941 in M51 which was discovered on April 2, 1994 (UT). UBVRI CCD photometry of SN 1994 I were obtained for the period of the first two months from April 4, 1994, us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60 cm telescope. The light curves of SN 19941 show several interesting features: (a) SN 19941 reaches the maximum brightness at B-band on April 8.23 (B = 13.68 mag), at V-band on April 9.10 (V = 12.89 mag), and at I-band on April 10.32 (I = 12.48 mag); (b) The light curves around the maximum brightness are much narrower than those of other types of supernovae; (c) The light curves after the peak decline more steeply than those of other types of supernovae; and (d) The colors get redder from (V-R) ≈ 0.2 mag ((V - I) ≈ 0.3 mag, (B - V) ≈ 0.7 mag) on April 4 to (V-R)≈ 0.6 mag ((V-1) ≈0.9 mag, (B-V) ≈ 1.3 mag) on April 18. Afterwards (V - R) colors get bluer slightly (by ~0.005 mag/day), while (V-I) colors stay almost constant around (V-1) ≈ 1.0 mag. The color at the maximum brightness is (B-V)=0.9 mag, which is ~1 mag redder than the mean color of typical Type la supernovae at the maximum brightness. The light curves of SN 1994I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ype Ie supernova SN 1962L in NGC 1073. Adopting the distance modulus of (m-M)0 = 29.2 mag and the reddening of E(B - V) = 0.45 mag [Iwamoto et al. 1994, preprint for ApJ], we derive absolute magnitudes at the maximum brightness of SN 1994I, Mv(max) = -17.7 mag and MB(max) = -17.4 mag. This result shows that SN 1994I was ~2 mag fainter at the maximum brightness compared with typical Type Ia supernovae. A narrower peak and faster decline after the maximum in the light curve of SN 1994I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supernovae indicate that the progenitor of SN 1994I might be a lower mass star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types of supernovae.
        4,500원
        615.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irling기관(機關)의 성능(性能) 예측(豫測)을 위한 1차원해석방법(次元解析方法)으로서 지금까지는 온도(溫度)의 기준(基準)으로 팽창(膨脹) 및 압축공간(壓縮空間)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를 각각(各各) 가열기(加熱器)와 냉각기내(冷却器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와 동일(同一)하게 취급(取扱)하였으나 실제로는 등온팽창(等溫膨脹), 등온압축(等溫壓縮)의 변화(變化)를 수행시킬 수 없으므로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온도(溫度)는 가열기내(加熱器內)의 온도(溫度)보다 낮고,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온도(溫度)는 냉각기내(冷却器內)의 온도(溫度)보다 높기 때문에 실제(實際)와 부합(符合)되지 않는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팽창(膨脹) 및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대표온도(代表溫度)를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온도(溫度) 저하(低下)와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온도(溫度) 상승(上昇)을 고려하여 성능(性能)을 평가(評價)한 결과(結果),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 온도(溫度)를 가열기(加熱器)와 가열기(加熱器)부터 기관압축비(機關壓縮比) 에 상당하는 단열압축(斷熱壓縮)을 했을 때의 온도(溫度)와의 평균온도(平均溫度)로 하고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 온도(溫度)를 냉각기(冷却期)와 냉각기(冷却期)로부터 기관압축비(機關壓縮比) 에 상당하는 단열압축(斷熱壓縮)했을때의 온도(溫度)와의 평균온도(平均溫度)로 선정(選定)한 경우가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온도저하(溫度低下)만을 고려하고, 압축공간(壓縮空間)의 온도(溫度)는 냉각기내(冷却期內)의 온도(溫度)와 동일(同一)하게 취급(取扱)했을 경우, 그리고 팽창공간(膨脹空間)과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를 각각(各各) 가열기(加熱器)와 냉각기내(冷却器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와 동일(同一)하게 취급(取扱)하였을 경우보다 실측치(實測値)에 더 접근(接近)하였다.
        4,000원
        616.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혼파초지에서 봄철 1차 이용시기와 1차 이용후 재생기간에 따른 목초의 일당 건물생산량, 경엽분포비율, 일반성분함량 및 세포벽 구성물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차 이용시기(주구)를 영양생장기(초장 25-30cm), 절간신장기(초장 40~50cm) 및 출수기(초장 60~70cm)로 하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세구)을 20, 30 및 40일로 하여 1987년도와 1988년도 2개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이용시 일당생산량은 늦게 이용할수
        4,000원
        618.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로운 문제해충을 찾아내려면 작물별로 전국적인 survey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력과 경비면 그리고 수행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경작자나 그 지역의 농촌지도소를 통하여 문의.의뢰된 해충들을 살펴보면 그 해의 대체적인 해충발생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업기술연구소 곤충과에는 1988년 40건의 민원과 의뢰사항이 접수.처리되었다(표 1). 그중 해충동정 및 방제법에 대한 것이 31건, 현지발생행동조사 의뢰 3건, 해충관계자료에 대한 문의가 3건 등이었다. 접수된 민원중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각 해충의 발생상황을 작물별로 기술하여 기록을 남김으로서 금후 연구를 의한 기초 자료로 제공코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