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아프리카, 중동, 이슬람 그리고 심지어 세계적인 수준보다 이집트의 전략적, 중추적인 중요성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은 시간이 지나면서 이집트 외교 정책이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아내 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집트-러시아 관계의 번영이 서구에서 동부로의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이집트와 러시아의 관계에 영향을 준 경험들, 게다가 왜 러시아는 1월 25일 혁명과 다른 아랍의 봄 혁명을 반대하면서 6월 30일 혁명을 지지했는지 그리고 왜 이집트는 반대편에서 러시아와의 관계를 더 발전시키도록 받아들였는지를 설명한다.
글로벌화된 시장환경과 급속한 기술 변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유연성, 혁신성과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에 따라 조직성과에 심리적 기초(micro-foundations)가 되고 있는 종업원들의 동기, 업무열의 및 조직몰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종업원들의 업무열의 형성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직무 요구-자원이론(JD-R model)에서 직무요구특성과 직무자원간 상호작용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아직까지 그에 관한 실증이 미흡한 상태다. 본 연구는 고용/인력개발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업상당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에서 감정규제와 업무과부하가 요구되는 직무특성과 개인자원으로서 자기효능감의 조합과 업무열의의 관계와 이에 대하여 서번트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을 가설화 및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비영리나 정부조직에 비해 민간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업상담을 하는 경우, 서울보다 수도권 및 지방 시·도 소재 고용/인력개발센터에서 근무하는 경우, 연령이 높은 상담사일수록, 그리고 미 혼보다 기혼인 직업상담사인 경우, 업무열의가 더 높게 검정되었다. 둘째, 감정규제에 대한 요구가 많고 업무과부하가 심한 직무특성을 가질수록 상담사의 업무열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자원으로 서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질수록 업무열의가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서번트리더십이 발 휘되는(등장한) 상담팀일수록 자기효능감과 업무열의의 정(+)적인 회귀관계의 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상담사들이 감정규제와 업무과부하를 극복하고 업무열의를 형성하기 위해 개인자원으로 자기효능감이 필요한데, 먼저 자기효능감 강화는 (자유시장 원리에 따른) 개인성과 기반의 MBO 제도(이론)가,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을 이용한 업무열의의 효율적인 레버리징은 공동체 구축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실천)이 요청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연구에서는 특정 직무상황에서 팀수준의 리더십과 조직 의 인사제도 묶음을 함께 다룸으로써, 업무열의 형성 프로세스에 영향 미치는 리더십(실천)과 인사관리 (제도 또는 이론)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여성 리더십과 조직문화, 보육 교직원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여성리더십의 형성으로 어린이집의 보육의 질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저출산의 정책적 대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 구리 지역의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회수한 324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의 원장의 어성리더십,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여성리더십은 다른 두 요인에 정(+)의 인과관계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연구결과는 세 가지 요인을 포함할 경우에는 여 성리더십은 조직문화를 매개변수로 하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직무만족도 가운데 ‘집단적 문화’요인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높은 인과관계를 가지는 반면, ‘위계적 문화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Recent two moderate earthquakes (2016 Mw=5.4 Gyeongju and 2017 Mw=5.5 Pohang) in Korea provided the unique chance of developing a set of relations to estimate instrumental seismic intensity in Korea by augmenting the time-history data from MMI seismic intensity regions above Ⅴ to the insufficient data previously accumulated from the MMI regions limited up to Ⅳ. The MMI intensity regions of Ⅴ and Ⅵ was identified by delineating the epicentral distance from the reference intensity statistics in distance derived by using the integrated MMI data obtained by combining the intensity survey results of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DYFI (Did You Feel It)’ MMIs of USGS. The time-histories of the seismic stations from the MMI intensity regions above Ⅴ were then preprocessed by apply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ite-correction filters to be converted to a site-equivalent condition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The average values of the ground-motion parameters for the three ground motion parameters of PGA, PGV and BSPGA (Bracketed Summation of PGA per second for 30 seconds) were calculated for the MMI=Ⅴ and Ⅵ and used to generate the dataset of the average values of the ground-motion parameters for the individual MMIs fromⅠ to Ⅵ. Based on this dataset,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relations with proposed valid ranges of MMI.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망이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효능감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 망이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노인들의 성향에 따라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성공적 노화 제고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먼저 문헌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국내외의 선행 연구결과와 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및 자료, 단행본 등을 수집・분석하였다. 아울러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방기공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의 재미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한방기공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의 인구통계학적인 내용에 따라 연령, 학력, 운동경력에 따른 두 변인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였고, 준거변인인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예언변인인 재미요인에 관계는 어떠한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한방기공운동의 재미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질적인 효과를 규명하였으며, 한방기공운동이 여성노인운동의 긍정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Introduction
This study examines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on students in dept. of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And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university students feel and perceive acceptance effect of concep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and how the types are classified. Examining opinions of concep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on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direction for research at the level of multiple discussion in which we can look at it from the center of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meaning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lated researches in the future. This paper purpo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ubsequent implication of acceptance type of acceptance effect about concep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on university students' self-consciousness and to suggest subsequent use value.
Theoretical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erceive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In addition, until now, the interests and researches of the related societies are most actively in progress however there is hardly analysis on the acceptance types of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on university students' self-consciousness found. So this study tries to discover a type of acceptance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themselves define and structuralize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through Q-methodology approach.
Research Design
In this study, Q-methodology will be applied to the sorting of statement cards to determine students’ reception type derived from the effect of a behaviors. As a source for statement cards, a Q-concourse was developed based on newspaper articles, specifically Korean articles on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related political items, advertisements, and interviews; from this data a Q-statement was written and a P-sample selected. Following this, sorting was done to determine the Q-sort,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a PC QUANL program(for Dos). The Q-sample for this research is composed from the statements of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in order to document their subjective opinions and values. At first, 34 Q-population (concourse) was selected based on the media related literature review described above, and interview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As the next step representative statements were chosen randomly and reduced in number to a final 16 statement sample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se statements include all opinion values and were written to have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balance. Since Q-methodology deals with intraindividual differences rather than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t is not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he P-sample. In addition, since the methodology of a Q-study does not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sample from the sample, selecting of the P-sample is likewise not governed probabilistic sampling methods. Finally, in this research, 34 people were selected as the P-sample.
Result and Conclusion
In order to see the subjectivity typ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acceptance effect of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Q-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ree factors were found. As the result of the using QUANL program, 12 students were in type 1, 12 students were in type 2, and 10 students were in type 3. Here, the number of students are meaningless and these three types explains about 40(0.4011)% of total variance. Since the people whose factor weight is higher than 1.0 is 6, 4, and 2 for each group, we can say that type 1 is the biggest factor. 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Eigen values are 5.4079, 4.6256, 3.6039 each. The study used Q methodologies in order to observe the subjective propens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bout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At 3 types of analyzed results, it’s not unfamiliar concepts compared to the past, the most of respondents shown the various opinions as a matter of the expanding and understanding successful advertising public-relations campaign strategy in 4th industry inno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본고는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변화궤적을 근대전환기, 중화민국시대, 마오쩌둥 치하 사회주의시대로 구분해서 추적함으로써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근대전환기는 전근대 중국의 도농관계를 특징지었던 사회문화적 연속체가 해체 되고 근대적 도농이분법과 도농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단초가 마련되는 시기였다. 중화 민국시대에는 중국경제가 세계 자본주의 체제로 본격적으로 편입되고, 서구로부터 사회진화론의 개념적 프레임이 도입되면서 도농관계가 문화적으로 급격하게 재구성되는 시기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도시는 진보의 상징이자 모더니티의 소재지로, 농촌은 봉건적 낙후성과 무지 몽매의 장으로 정의되고 재현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시대 중국의 도농관계는 표면적으로 양립 불가능할 것 같은 이념적 양가성을 통해 구성되었고, 이는 문화혁명기에 절정에 이른 상산하향운동을 통해 극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조명한 중국 도농관계 변화의 역사적 궤적은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과 그것이 중국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지형에서 갖는 중층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적 발판을 제공해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일개 화장품 회사 판매직 근로자의 우울수준을 확인하고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화장품 회사 판매직 여성 근로자 189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 의사진단 질병, 우울,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우울증상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결과 화장품 판매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증상률은 32.3%이었다. 우울증상 고위험군에 대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복탄력성(OR : 3.84, CI : 1.68-8.77), 의사진단 질병(OR : 3.82, CI : 1.73-8.47), 감정부조화(OR : 2.51, CI : 1.06-5.96), 직무요구도(OR : 2.12, CI : 0.93-4.85)가 우울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감정노동 저위험군을 기준값으로 나이, 의사진단, 직무스트레스를 보정하여 회복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증상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이 높고 회복탄력성이 좋은 경우는 우울증상이 2.35배(CI : 0.73-7.53) 높았으며, 감정노동이 낮고 회복탄력성이 나쁜 경우는 우울증상이 3.74배(CI : 1.17-11.97), 감정노동이 높고 회복탄력성도 나쁜 경우에 우울증상이 10.39배(CI : 3.34-32.2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화장품 판매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증상 관리를 위해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 운영과 감정노동 관리를 통한 감정적 부조화를 줄이고 신체적 질병 관리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도록 하는 건강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착종(錯綜)이란 말은 당(唐)대의 공영달(孔穎達)이 맨 처음 사용하였고 래지덕(來知德)은 6개의 爻는 변한 후에도 여전히 錯綜과 中爻의 변화로 음양순환 (陰陽循環)의 이치를 체현하고 있다고 했다. 錯卦란 陰은 陽으로, 陽은 陰으로 치환(置換)시킨 경우를 말하며 綜卦란 卦를 거꾸로 뒤집어 도치(倒置)시킨 卦를 말한다. 錯綜卦란 錯이나 綜을 해도 같은 卦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互 互體重天乾과 互互體重地坤은 錯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互互體重天乾의 互體와 互互體重天乾의 互體역시 서로가 錯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互互體가 錯의 관계이면 互體역시 錯의 관계이며 그 互體에 속하는 本卦 들의 관계 역시 錯의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互互體水火旣濟와 互互體火水未濟는 서로가 錯綜의 관계를 이루고 있고 互互體水火旣濟의 互體와 互互體火水未濟의 互體사이에는 錯綜의 관계와 錯의 관계 그리고 綜 의 관계를 골고루 이루고 있다. 각 互體에 속하는 本卦들의 관계 역시 錯과 錯綜그리고 綜의 관계를 골고루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互互體水火旣濟와 互互體火水未濟는 錯綜의 관계로서 互體및 本卦내에는 錯綜⋅錯⋅綜의 관계가 골고루 함께 존재하므로 이어지는 관련성이 단순하게 錯의 관계를 이루는 乾⋅坤보다 훨씬 더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본 논고는 이들의 互互體⋅互 體및 本卦사이에 흐르는 錯⋅錯綜⋅綜의 관계로 이어지는 의미적 연관성을 『周易』의 「大象傳」 이나 「彖傳」의 보편적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錯의 관계에 속하는 互互體重天乾과 重地坤의 互體및 本卦는 陰陽⋅表裏⋅兩 面이란 配合의 관계를 이루며 그 의미로는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內面 으로서 서로 보완하고 채워주며 상대를 존중하는 관계라 말할 수 있다. 互互 體水火旣濟와 火水未濟의 互體중 火水未濟와 水火旣濟그리고 雷澤歸妹와 風山漸은 錯綜의 관계이고 雷水解와 風火家人그리고 火澤睽와 水山蹇은 錯의 관계이며 雷水解와 水山蹇그리고 火澤睽와 風火家人은 綜의 관계이다. 錯 綜의 관계는 陰陽을 바꾸나 자리를 뒤집으나 같은 卦가 되므로 吉凶이나 好 惡가 번갈아 나타나거나 吉속에 凶이, 凶속에 吉이, 好속에 惡가 惡속에 好가 잠재되어 있어 딱히 좋다 나쁘다를 결정지을 수 없는 것이 인생의 好事多魔 나 塞翁之馬등의 의미를 연상하게 한다. 綜괘는 자리를 뒤집어 생긴 卦이므로 互互體⋅互體가 같은 卦중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자리에 따른 적합한 역할이 벗어났을 때는 어렵게 될 수도 있고 어려운 가운데 爻位에 따른 역할을 제대로 찾는다면 吉한 상황을 회복할 수 있는 容易함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互互體⋅互體⋅本卦사이에 생겨나는 錯⋅錯綜⋅綜卦의 연구는 어떤 관계를 이루느냐에 따라 연관된 의미를 찾아 분석할 수 있어 문제의 원인을 찾아 해결책을 마련할 수도 있음을 示唆하고 있다.
조직내 대인 신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내 대인 신뢰를 높이기 위한 선행요인과 효과성을 다룬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조직내 대인 신뢰의 선행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신중한 선발, 교육훈련, 성과관리, 고용 안정성, 퇴직관리)의 영향을 살펴보고, 결과변수로써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 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내 대인 신뢰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이 조절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전체 모형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조 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 재직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히 응답한 총 34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 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PROCESS macro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내 대인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째, 조직내 대인 신뢰는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몰 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조직내 대인 신뢰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넷째,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직내 대인 신뢰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내 대인 신뢰를 거쳐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서도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 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The rapid growth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systemized and large-scale engineering systems have resulted in complexity and uncertainty throughout the lifecycle activities of engineering systems. This complex and large-scale engineering system consists of numerous components, but system failure can be caused by failure of any one of a number of components. There is a real difficulty in managing such a complex and large-scale system as a part.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system and have high reliability, it is necessary to structure a system with a complex structure as a sub-system. Also, in the case of a system in which cause of failures exist at the same time, it is requir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the components lifetime and utilize it for the design policy or maintenance activities of the system. Competitive risk theory has been used as a theory based on this concept. In this study, we apply the competitive risk theory to the models with combined structure of series and parallel which is the basic structure of most complex engineering systems. We construct a competing risks model and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of net lifetime and crude lifetime for each cause of failure, assuming that the components consisting a parallel system are mutually dependent. In addition, based on the constructed model, the correlation of cause of failure is mathematically analyzed and the hazard function is derived by dividing into net lifetime and crude lifetime.
Foreign tourists inbound Japan have been over 24 millions in 2016. It was the result of the policy of “Tourism-oriented nation” which is pushed by Japanese Government. And the aim is increasing foreign tourists to 40 million by 2020 Olympic Game in Tokyo - “Inbound Japan” - the project of cooperation between state and people. It is not so surprised to the leading countries in tourism of the world, but that means foreign tourists will be over 6 times less than a decade from 2012 after the Great Eastern Japan Earthquake. It will boost GDP in macro economy extremely, but meanwhile, there are problems at the spots and local areas. We discuss the relations and gaps between foreig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as one of global issues and propose our solution for how to adjust both benefits, establish and keep a partnership relation for the mutual interest among respective parts concerned.
Introduction
Literally explosive is the growth of social media. The estimated number of monthly active Facebook users by the fourth quarter of 2016 is around 1.86 billion, almost a quarter of the world population, meaning that one in four people on the globe uses Facebook to read news, share gossips, communicate ideas,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United States alone, 72% of all Internet users are reported to use Facebook (Pew Research, 2015), and to many, Facebook is no longer a small part of the Internet, but rapidly becoming the Internet itself.
As peer-to-peer information sharing becomes a global mainstream, concerns about the credibility of information shared online is growing fast as well. With no gatekeeper in a traditional sense, rumors and fabricated information lacking reliable evidences (e.g., fake news) may spread wide and fast, and individuals are left alone to assess and judge which among them is likely to be true (Metzger, Flanagin, & Medders, 2010). Unfortunately, we know very little about how individuals assess information fed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and how such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differs from those in traditional media environment.
In social media like Facebook wher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teract through direct or indirect social relationships, what people can give and take is partly determined by with whom they have relationships and their locations in the entire network (Brands, 2014). For example, if one’s network consists mostly of college students, the network may be flooded with gossips, news, and information particularly appealing to them (e.g., how to pull an A from the hideous professor). If the network is made up of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meanwhile, the information shared therein will be as diverse as heterogeneous are the member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Network topology may, therefore, be a crucial factor that shapes not only what you encounter in your own network, but also the way you assess the information found therein (Sohn, 2014). An identical message may be construed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it has been encountered (e.g., who liked/shared in Facebook) as well as where it originates (e.g., who are the original source of the message). For instance, the new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medicine on curing cancer may be ass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it is shared by lay people with similar interest or medical experts, which subsequently affects one’s decision to share it.
Whereas it is already well-founded that the original source qu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Visser & Cooper, 2007),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unveiling the role of intermediate social environment lying between the original source and the final recipients.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ystematically the role of social relations in individuals’ assessment of and decision to share information encountered in social media. More specifically, the focus will be on testing in an experimental setting how social relationship properties, reflecting psychological distance, shape individuals’ assessment of risk/benefit associated with the information received.
Psychological Distance and Decision under Risk
We are routinely exposed to a myriad of information from our immediate social circles including close friends and acquaintances as well as mass media. Some of them could be about the opportunities for earning extra profits (e.g., stock or real estate investment opportunities), while others about how to maintain better health (e.g., avoiding harmful chemical-intake). Whether it is about money, health or others, the decision to take an action on the information is a function of how to assess the risks involved.
According to the prospect theory (Kahneman & Tversky, 1979), people have an inherent tendency of being more sensitive to the loss than benefit of anything, making them prefer avoiding loss to having an equivalent amount of gain. This loss-aversive tendency also implies that people prefer the possible to sure loss, even if the former is greater than the latter. In other words, people become risk-seeking to avoid any loss with certainty. Suppose, for example, you are given a choice between losing $750 for sure and doing a gamble such that you lose $1000 with 75% chance or lose nothing with 25% chance. Despite the identical expected value ($1000 x .75 + $1000 x 0 = $750), people tend to lean over to the gamble rather than the sure loss. This may work in the opposite way for benefit – you may prefer the sure to possible gain, meaning that you become risk-aversive when benefit is at stake.
An interesting question is whether such a risk-seeking or aversion tendency is malleable (Tversky & Simonson, 1993). It is widely known that a message with identical contents can be constru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it is stated or framed in terms of benefit or loss (Slovic, 1995). Then, we might ask whether people construe messages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y are from – whether they are from close-knit groups, distant acquaintances or some anonymous others. Prior studies have seldom considered such social contextual influence, which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Sohn, 2014).
Suppose you are considering taking an alternative medicine for treating a chronic illness of yours, which will surely get worse with no treatment (i.e., loss with certainty). The alternative medicine’s effectiveness is largely unknown and has never been under rigorous scientific tests. You post your thought about adopting it and have just got replies from two different sources in your Facebook network – a close friend and a mere acquaintance. Your friend says that using the alternative approach can be detrimental to your health (i.e., loss frame), while the acquaintance mentions that s/he trusts the medicine’s benefits (i.e., benefit frame). What would be your choice given the comments? Would your choice be reversed if your friend says its benefit, while the acquaintance warns its side effects?
It is posited in construal-level theory that “people use increasingly higher levels of construal to represent an object as the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object increases” (Trope & Liberman, 2010, p. 441). When there are pros and cons with respect to a course of action, people perceive cons (i.e., losses) psychologically closer than pros (i.e., benefits), which provides an explanation of why loss aversion occur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pros become more salient than cons as temporal distance to the action increases (e.g., buying a computer a year later; Eyal, Liberman, Trope, & Walther, 2004). Taken together, it may be inferred that the cons are salient when the action of interest is thought psychologically proximal, but the pros become more salient as it gets more psychologically distant. This inference can be applied to other distance dimensions including social distance as well.
Combining benefit-loss frames and social distance perceptions, we can come up with the following four different conditions as summarized in Table 1. With all other things held equal, people tend to feel loss psychologically closer than benefit. However, the salience of either benefit or loss in a person’s mind may also depend on how the information is presented -- whether a message with the information comes from a proximal or distant source. For example, if a message with emphases on an alternative medicine’s benefit came from a proximal source (BP), further decrease in psychological distance might make salient its potential side effects, and thus lessen the benefit’s influence on decision. Similar inferences can be made to the case when a message with emphases on loss came from a distant source (LD). Due to the increase in psychological distance, it might become difficult to think of the negative aspects of the target (Herzog, Hansen & Wanke, 2007).
If the message emphasizing either benefit or loss is aligned respectively with a distal (BD) or proximal source (LP), in contrast, they will become more salient in the person’s mind, which would exert a disproportionate influence on decision. Given the discussion, the following hypotheses can be proposed:
H1a. People perceive the benefit more salient, and thus are more likely to make a risky choice when it is supported by socially distant others than when no information of the social distance to the source is given (i.e., control condition).
H1b. People perceive the benefit less salient, and thus are less likely to make a risky choice when the benefit is supported by socially close others than when no information of the social distance to the source is given (i.e., control condition).
H2a. People perceive the loss more salient, and thus make a risky choice less when the loss is warned by socially close others than when when no information of the social distance to the source is given.
H2b. People perceive the loss less salient when the loss is warned by socially distant others than when no information of the social distance to the source is given.
Experimental Design
A 2 (message frames) x 3 (social distance) between-subjects online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as follows. Subjects will be given multiple hypothetical risky choice situations with respect to such issues as making an investment, adopting a new medical treatment, purchasing a product. After being exposed to the choice scenarios, they will be asked a series of questions for measuring their issue-involvement levels, attitudes to the issue presented, thoughts related to benefits and losses, and final choices, along with relevant 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No communication ever occurs in a social vacuum. Just as our everyday behaviors are shaped and often constrained by the physical places in which they are performed (e.g., rooms, streets, buildings), we communicate in a social setting consisting of direct and/or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people (Gifford, 2013). The knowledge of one’s social surroundings becomes more important in social media due to the manifest location dependency—meaning one’s position in a relationship network basically defines what can be seen and done. No matter whether information originally came from a newspaper, television program, or blog, the information is eventually transmitted via one of the network member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patterns and qualities in communication processes. That is, in any socially-networked environment, people rely not only on inferences about the original source quality (e.g., authority, expertise), but also on the social contexts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hared. Most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the former (i.e., source quality) while overlooking both the latter (i.e., social contexts) and any possibl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Metzger, Flanagin, & Medders, 2010). The current study is believed to bridge the gap so that communication processes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could be understood in a more systematic fashion.
본 연구는 국내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중소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해외 및 국내에서 IR 활동을 실시한 것이 주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는 바,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IR 실시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주가를 한 단계 레벨업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기적으로는 국 내 IR이 해외 IR보다 주가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지분율이 매우 낮은 코 스닥기업의 경우에는 효율성 측면에서 해외 IR보다는 국내 IR에 보다 집중하는 것이 나았다. 넷째, 개별기업이 주관하여 IR을 실시하는 것이 한국거래소(KRX) 주관 IR보다 주가에 훨씬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외국인지분율이 높은 코스닥기업일수록 IR 실시에 따른 긍정적인 주가 반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부분적으로 외국인투자자와 경영자 간의 정보비대칭성이 덜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여섯째, 수익성이 높은 기업 일수록 IR 활동이 주가에 더욱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코스닥 중소기업들은 수익성이 뒷받침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IR을 실시하여 기업가치를 높여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일곱째, 동일 분기 내에 IR을 여러번 실시하 는 경우 주가에는 오히려 덜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규모가 큰 코스닥기업은 해외 IR을 실시함으로써 주가 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중소기업의 국내외 IR 활동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국내주식시장의 개방과 국제자본시장의 통합 진전으로 인해 국내 IR과 해외 IR의 주 가영향력에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R 활동 자체는 기업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여전히 존재 하므로 향후 국내 코스닥 중소기업들도 더욱 적극적으로 IR 활동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핵심 통상전략은 미국과의 협력을 전제로 중국과 경제관계를 강화함과 동시에 중 국을 견제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최근 20년 동안 중국이 빠른 경제성장을 통해서 G2로 부상 하면서 일본의 이러한 통상전략은 변화를 맞고 있다. 특히 오늘날 동아시아를 무대로 중국의 메가 FTA 확산 및 일대일로 구상이 구체화되면서 일본은 자국 중심의 세력 구축을 통해서 중국을 견제하려는 전략을 강화해 왔다. 하지만 최근 출범한 미국의 트럼프 정권 하에서는 이러한 일본의 대(對)중국 통상전략이 또 한번 큰 전환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지난 20년 동안의 일본의 대중국 통상구조 및 전략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향후의 중일 통상 관계에 대해 예측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