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6

        164.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a Frequency Shift Keying (FSK) modulator and demodulator and the experimented underwater data ommunication equipment to transfer the analog echo signal in real-time from an underwater vehicle to the mother ship. The system consists of an echo signal transfer unit equipped to the vehicle and an ultrasonic receiver equipped on the ship. The former includes an ultrasonic transceiver unit of 180kHz for echo detection and a continuous wave transmitter of 50kHz with a FSK modulator for echo transmission to the ship. The latter includes an ultrasonic receiver of 50kHz and the FSK demodulator.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FSK modulating and demodulating circuits designed with the use of C-MOS IC 4046 was good and confirmed its usefulness in underwater data communication system.2. The prototype ultrasonic transceiver unit shows profitable driving power while the pulse duration was short less than 3 msec, but it was found that the driving power is not sufficient while the long pulse duration or continuous wave is used. The gain of the ultrasonic receiver was 80 dB and the receiving bandwidth 700Hz (at - 3 dB point).3.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designed by the author has some possibility to use in underwater echo transfer.4. At the FSK modulator, the widths of voltage and frequency which represent linearity were 3.5 V, 1600Hz, respectively, at the FSK demodulator 2.6 V, 700Hz, respectively.
        4,000원
        16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열쾌적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로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의 물리적 요인과 성별이나 체질 등 뿐만 아니라 온열환경에서 느끼는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도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온열 환경 중에서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의 제어에 따른 생체반응의 변화, 및 감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온열환경에 따른 인간의 온열쾌적감을 평가하기 위해 생리신호를 측정, 분석하였다. 인간에게 가장 쾌적함을 주는 최적의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제어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방법으로 MST(mean skin temperature)분석 및 HRV(heart rate variability) 분석과 EEG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내의 상하온도차는 23℃의 머리부위 온도에서 발 부위와의 온도차가 -3℃일 때 가장 쾌적한 조건으로 나타났고, 기류제어방식은 감성기류조건에서 가장 쾌적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에 대한 온열환경의 쾌적조건을 설정하였고, HRV 분석과 EEG의 주파수 분석이 주판신소설문평가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러한 생리신호의 분석이 인간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한 온열쾌적성을 펑가하는데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000원
        16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EG 생리신호의 분석은 국내에서도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계열을 이용한 분석법은 통계학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감성과학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Tool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EG 생리신호 분석을 위한 모형분석 시스템과 생리신호 분류를 위한 판별분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신호분석을 위한 그래프 작성, 자극 신호에 대한 모형식별 방법의 제시, 모형에 대한 추정 및 진단 기준에 따른 최적의 모형선정 방법 등을 지원한다. 또한 선정된 모형에 이해 모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계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쉽게 각 뇌파 신호들을 판별 분류할 수 있다.
        4,000원
        170.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inciples to attain improved accuracy in a new controller for large CCD and mosaics detectors with the application of 16- and 32-bit DSP are presented.
        171.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75.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리 원형 평판에서 힘의 세기가 1 dyne이고 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Heaviside계단 함수의 시간 의존성을 갖는 점 하중에 의한 진앙점에서 수직 변위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연필심 파괴시 방출되는 음향방출신호를 안정화회로가 부착된 Michelson 간섭계로 측정하여, 음향방출 발생원함수를 deconvolution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연필심 파괴시 방출되는 음향방출 발생원을 파 전면에 약 0.7μsec의 지속시간이 갖는 dip부분과 약 0.5μsec인 계단 상승시간과 약 4.5N의 힘의 크기를 갖는 계단함수의 형태였다.
        4,000원
        176.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PIV (Physical Inventory Verification), the IAEA has been inspecting the CANDU-Type spent fuels using an optical fiber-based scintillation detector. KINAC has developed a new verification instrument to deal with problems of the existing one such as low sensitivity, heavy and large dimension, and inconvenience-in-use. Our previous studies focused on how to develop the new instrument and had not included its performance tests.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recently at Wolsung unit 4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nd new instrumen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background noise produced in the optical fiber signal cable itself. The verification equipment for the CANDU-type Heavy Water Reactor spent fuels uses a scintillation detector to bond a scintillation material to the end of an optical signal cable. At this time, the radiation signal obtained by a data acquisition system is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cintillator (p-terphenyl organic scintillator) and the optical signal cable ; The signal produced in the optical cable itself is background noise to degrade the spent fuel verification equipment. To characterize the background radiation noise, the spent fuel bundles at Wolsung Unit 4 were measured using the optical fiber cable without the radiation scintillator. This signal is generated by reaction of the optical cable and the radiation emitted from the spent fuel. From experimental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background noise signal of the optical cable increased as the optical cable went down in the downward direction, because the cable length irradiated by the radiation increased with the optical cable area in the spent fuel storage pool.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noise signal was dependent on the loca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gnal of the new optical cable was up to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cable. While, the new cable has the cross-section area about 3.2 times larger than the old cable. Our past studies showed that total signal amplitude – sum of signals generated from the scintillator and optical fiber - of the new verification instrument was at least about 15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one. Considering the total signal and background noise signal, from this measur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intillator characteristics – in particular, light output and decay time – has a dominant impact on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newly developed instrument. More details will be discussed at the conference.
        177.
        202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monitor the long-term condition of structures in nuclear waste disposal system and evaluate the degree of damage, it is necessary to secure quantitative monitoring, diagnosis, and prediction technology. However, at present, only simple monitoring or deterioration evaluation of the structure is being performed. Recently, there is a trend to develop monitoring syst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to introduc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ailure diagnosis technology in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was applied to distinguish the noise signal and the destructive signal collected in the field. This can minimize false alarms in the monitoring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ustrial sites only by learning through laboratory data. Therefore, a database of noise signals and destructive signals was constructed through laboratory data, and signals effective for quantitative soundness determination of structures were separated and learned. In addition, an adap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was developed to enable additional learning and adaptive learning using field data, and its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178.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 송나라 서긍이 작성한 선화봉사 고려도경은 고려의 서해상을 항해한 가장 생생한 기록이다. 선박을 이용하여 고려를 방문한 서긍은 도서지역의 봉수를 이용하여 흑산도에서 벽란도까지 항해하였다. 고려가 도서지역에 설치한 봉수는 당시의 통항로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였고, 항해자가 24시간 식별할 수 있도록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로 위치를 표시하였다. 또한 산 정상에 설치하여 항해자가 원거리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려 봉수는 현대 항로표지 기본요건을 만족하며, 광달거리(시인성)는 약 29-39mile로 추정되고, 봉수의 광도 는 약 9,105-168,610cd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려의 봉수는 현대의 항로표지와 같이 항해자에게 쉽게 이용되고, 국가가 운영한 만큼 신뢰성이 높아 안전항해에 필수적인 항로표지 기능을 수행하였다.
        179.
        201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utomated signal-acquisition method for the NASA’s space geodesy satellite laser ranging (SGSLR) system is described as a selection of two system parameters with specified probabilities. These parameters are the correlation parameter: the minimum received pulse number for a signal-acquisition and the frame time: the minimum time for the correlation parameter. The probabilities specified are the signal-detection and false-acquisition probabilities to distinguish signals from background noise. The steps of parameter selection are finding the minimum set of values by fitting a curve and performing a graphdomain approximation. However, this selection method is inefficient, not only because of repetition of the entire process if any performance values change, such as the signal and noise count rate, but also because this method is dependent upon system specific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oreover, computation is complicated and graph-domain approximation can introduce inaccuracy. In this study, a new method is proposed to select the parameters via a conditional equation derived from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detection and false-acquisition probabi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yields better efficiency and robustness against changing performance values with simplicity and accuracy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satellite laser ranging (SLR) systems.
        180.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농도의 산소를 흡입하는 경우에 자기공명영상의 FLAIR(fluid 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영상 에서 뇌척수액에서 신호가 억제되지 않고 고신호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가 젤로 고정한 팬텀을 제작하여 산소를 주입한 생리식염수와 조영제를 희석한 생리식염수의 신호를 FLAIR 기법의 반전시간(TI : inversion time)을 변화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하였다. 부산 P병원의 Philips Achieva MR 3.0T를 이용한 결과에서 자기공명영상의 FLAIR 기법에서 산소가 주입된 생리식염수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는 산소가 주입되지 않은 생리식염수 보다 증가되었다. 하지만 희석된 조영제보다는 높지 않았다. 반전시간 1,800ms에서는 산소에 의한 신호 증강이 없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산소가 주입된 생리식염수와 조영제의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에서도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반전시간 2,800ms보다 1,800ms에서 높게 증가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가 자기공명영상의 FLAIR 기법에서 산소 주입에 따른 뇌척수액의 신호 변화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