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oughout Yeats's life, his occultism absorbed much of his time and energy. Yeats's occultism supported and enriched his poetry and plays, providing him with themes, the symbols, a philosophy that affirmed recurring self-renewal. Through the development of Yeats's occult thinking, from the Golden Dawn, through Per Amica Silentia Lunae, to A Vision, a continuous, coherent direction can be traced. Books II and III of A Vision, deal with the nature of the human soul, its different principles, and its progression after death. In "The Completed Symbol," Yeats elaborates on the Four Principles of the soul ― the Husk, the Passionate Body, the Spirit, and the Celestial Body. The Principles find their Unity in the Celestial Body, man's archetype in Heaven. In "The Soul in Judgement", examining the six after-death states, death, in general, is also presented as a transfer of consciousness from the physical plane to a higher one. During the first three states, or until Beatitude, the Spirit passes each time into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after Beatitude, following the circular pattern of "The Great Wheel," the Spirit lapses slowly into relative unconsciousness. These six states, like the twenty-eight phases, affect each other, and in each one the Spirit has to act under certain laws. The soul has to pass through all of these states in order to progress and to prepare for its reentry into the physical world. This belief in the six after-death states stems from the occult sources mainly Theosophy which also teaches that the soul passes through six planes of consciousness after death -- the divine, the monadic, the spiritual, the intuitional, the mental, and the astral plane or plane of passions and emotions. Yeats uses the lunar cycle to explain the soul's journey between lives. The concept of the Thirteenth Sphere is important because in the occult traditions, the number thirteen is also symbolic of unity and perfection. In A Vision the Thirteenth Sphere represents Unity since in it all antinomies are resolved. Yeats's view of the soul is directly related to his belief in a universal duality ― the existence of opposite but equal forces that dominate a cycle alternately.
        6,100원
        2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일생에 걸쳐 그의 문학과 그의 신비주의적 관심을 함께 연결시키려고 노력해왔으며 이는 사후의 세계와 우주의 섭리, 천국과 지옥의 실체 등 인간이 인식하지 못하는 것들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며 창조적 탐구의 과정이었다. 이런 신비한 것에 대한 관심의 직접적인 접촉은 물론 블레이크적인 접근이었지만 그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크게 몇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는 철학적 접근, 밀교적 접근, 아일랜드의 신화전설, 낭만주의적 접근, 신학적 접근, 그리고 이 논문에서 언급된 고대 기독교적 접근 등이 그것이다. 기독교적 접근이라고 분류되는 것은 성경에 기초한 교조적인 해석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신비주의적으로 기독교의 전통에 따라 보이지 않는 것들, 즉 사후의 영적 경험과 천국과 지옥의 존재의 증명 시도를 의미한다. 예이츠의 기독교 신비주의에 영향을 끼친 두 신학자는 스웨덴보리와 보엠이 있다. 예이츠는 스웨덴보리로부터 주로 사후의 세계에 대해 영향을 받고 있다. 비록 스웨덴보리가 기독교의 교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사후세계의 존재인식과 인간과 신, 혹은 우주가 통신한다는 개념들은 예이츠의 인간영혼의 불멸성과 거대기억의 이론에 직접적인 근거가 된다. 그의 중심사상은 자연계와 영계의 통신이며 이는 우주와 개인, 신과 인간, 사후의 세계와 현세, 귀신과 사람간의 연결이며 합일이다. 영적인 세계는 천당이나 지옥이 아니라 그 중간의 세계이며 죽은 영혼들이 윤회로 다시 태어나거나, 혹은 최종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 잠시 머무는 임시영역이다. 예이츠는 이 영역에서 아니마 문디가 정화되고 거대기억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영적인 세계에서는 우주와 인간의 영혼이 서로 통신하며 실제로 교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엠은 좀 더 인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의 인간과 신의 합일사상이 블레이크의 신성인간이며 예이츠의 황금새벽의 이상형이다.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강조한 보엠은 예이츠에게 시적 상상력이 신성과 같은 단계이며 시인은 마치 영매처럼 우주와 영혼, 즉 인간의 세계와 신의 세계를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견자(seer)이며 연결할 수 있는 통신자(correspondences)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5,800원
        23.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일랜드의 신화와 전설에 대한 예이츠의 관심은 민족문학에 대한 보존과 기록의 단순한 물리적 의무감에 머물지 않고 그의 평생에 걸친 관심이며 시정신의 기초가 되는 세계령의 사상으로 승화하고 있다. 아일랜드 지방에서 그가 수집한 신화와 전설들이 지역적인 한계에서 벗어나 유럽문화의 기본이 되는 그리스와 로마의 사상을 대치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으며 세계의 큰기억에 융합되어 역사의 흐름을 조관하는 에너지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이츠의 초기 소설들은 직접적으로는 신화와 전설에 그 이야기의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 작가의 신앙, 역사, 그리고 특히 그의 신비종교적인 관심에 비추어 현실에서 벗어나 미지와 신비의 가치를 추구하지만 결국 인간적인 한계로 인해 실패하고야 만다는 이야기를 주로 다룬다. 장미, 여명, 십자가 등 풍부한 예술적, 종교적 상징의 사용과 함께 인간과 (보통의 인간이 아니라 예지의 능력이 있거나 영웅적인 인간들) 귀신(ghost)과 정령들(spirit)이 함께 어울려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에 대한 구분이 확실하지 않은 배경에서 진행되는 이 작품들은 기독교와 신비종교, 물질의 세계와 영적 세계, 고유성과 전체성 등의 대립을 통해 발생한 에너지를 바탕으로 천상의 빛을 찾으려는 시도로 보인다. 신화의 세계를 경험한 노인들의 경험담이라는 형식을 통해 예이츠는 사라져 가는 아일랜드의 신화를 저장하여 큰기억으로 만들려고 하였으며, 동시에 그가 신봉하였던 영적인 세계를 표현하려고 시도했다.
        5,100원
        24.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love poets, Donne and Yeats have things in common: both, breaking from the conventional views of woman and love, search for the reconciliation and harmony between man and woman, as well as body and soul. They seem to be well aware it is not realistic to see the female image as “a complete beauty and perfect morality,” as is usually supported and reinforced by society and its literary conventions. The social demand for chaste, heavenly woman and its literary representation rob woman of her true, humane beauty and of her true virtue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y confine man to a role of chivalric, submissive, but hopeless suitor. Donne and Yeats believe that the distorted image of woman and her relationship with man hinder true love or communion between them. The two poets try to understand both sexes on the same condition, that is, the condition of human being. And this idea is magnificently realized not only in Donne’s The Songs and Sonnets but also in Yeats’s “Crazy Jane poems” and in some of his pieces in A Woman Young and Old. As for the matter of body and soul, both poets criticize the binary way of thinking in which human body is nothing but a mean, vulgar exterior while soul is a holy, ideal interior where we should reside for good. Donne and Yeats are wise enough to know that body and soul are interdependent, and that it is, therefore, impossible to exclude or disregard either of them. They agree that the two elements are indispensable for tru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To embody this perspective effectively, Donne and Yeats introduce some characteristic personae in their poetry: an unfaithful woman who betrays and dosen’t feel guilty, one who boldly follows her feelings and desire, and one who relishes the pleasure of body and values it as high as, or even higher than, her soul. Through these unconventional female personae, Donne and Yeats are able to disclose the futility of moral, spiritual values that do not have tru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ey subvert the false conception that soul is superior to body, and paint a new and true picture of human being: an inevitable dynamism, balance and harmony between body and soul.
        6,100원
        25.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영혼치유적 구제론과 구속론적 구제가 요한 크리소스톰에게서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탐구한다. 영혼치유적 구제는 고대 철학적 치유의 관점에서 가난한 자들에 대한 도움을 통한 영혼의 평화의 회복을 의미한다. 유대-기독교 전통에서 자선은 또한 죄 용서와 하나님의 영원한 심판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대립적으로 보이는 이 두 전통들이 모두 크리소스톰의 구제설교에서 등장한다. 학자들은 그의 사상에서 철학과 신학이 분리되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크리소스톰의 마태복음과 요한복음 설교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 두 전통들이 그의 구원론과 구속적 구제와 관련된 성경구절 해석을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이교 철학자들과 연설가들의 이상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독교적 치유론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크리소스톰에게 있어서 영혼의 병과 결과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이 기독 교적인 죄와 심판의 틀 속에서 흡수되어 변화되었다. 죄는 마음의 평화를 깨트리는 욕망의 무질서나 잘못된 생각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불순종으로 인한 그의 심판과 지옥의 형벌 아래에 있는 끔찍한 상태이다. 구제는 이러한 영혼의 모든 위기를 해결한다. 즉, 악덕을 제거하고 덕을 증진하여 영혼의 건강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 천국으로 향하게 한다. 크리소스톰은 그리스-로마의 철학적 치유 개념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 그의 목양적인 목적에 따라 그것의 목적과 범위와 내용을 변혁하여 기독교적 영혼치유 구제담론을 만들었다.
        2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MMORPG에 나타나는 서사 양식 전환과 그에 따른 사용자 정체성의 차이를 <블 레이드 앤 소울>과 <다크폴>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 앤 소울>과 <다크폴> 이 각각 이상적 서사를 중심으로 한 로망스 양식과 기반 서사가 부재하는 아이러니 양식을 지 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 양식의 전환은 사용자로 하여금 서사적 동기로 구성된 허구적 페르소나가 아닌 사용자의 사적 동기가 개입한 수행적 페르소나를 형성하도록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