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6

        183.
        199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85.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urveyed by 319 male and 336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for food behavior and effect of Western food on food lif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of Korean folk food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students. 2. Eating type of college students appeared that they prefered to cooked rice at breakfast, lunch, and dinner because of a general food type of their family. 3. The favorite food items in college students showed fruits in female and meat in male. 4. Eating out type with family appeared mainly Korean food, because of their preference. 5. The 29% of college students visited fast food restaurants more than 1~2 times per week. 6. In compared to Western food, the Korean food were favored by college students but cooking process of food were complicated. 7.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 against Western food was mostly higher in male than female. 8. The standard of food choice were taste and convenience of food. 9. Main factor of food habit change appeared convenience of buying easily. 10.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food in our food behavior were easy to buying but not fit our preference. 11. Opinion of students in order to keep Korean food were follows; Various food development, enlargement of consumption market, correct education about Korean food and change of people consciousness through consumer campaign.
        4,000원
        188.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ight hundred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were surveyed for consumer behaviors and opinions about fast food restaurants at library, student center and class room from August 26 to 30, 1991.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70% of college students preferred to eat hamberger or chicken and 49% of them visited to fast food restaurants 1-3 times per month. The reasons given by students for patronizing fast food restaurants were the following, from most to least frequence: 'convenient', 'pleasant atmosphere', 'nice place to stay with friends', 'taste of food', 'speed of service', 'to be able to stay as long as I want', 'hygiene', 'variety of food price', 'nutritious food'. Majority of college students(71%) selected their food by preference, but 22% of them done by price. They were least satisfied with price and quantity of fast foo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domestic brand fast food restaurants to lower the price of fast food.
        4,000원
        189.
        199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90.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native foods in the future continuosly, and (2)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llowing college student's to correctly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by investigating those college students' prefer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native foods in Cheju-do.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use of questionaires for 344 residing in Cheju-do from 20th to 29th May, 1989.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performed by use of SAS program, whi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examined by 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was showed that college man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those native foods than college women. 2. The result relating to age indicated that the more the age,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3. The result by residing areas showed that the college students in the rural area showe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than students in the urban area. 4.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ose subjects' mothers, it was shown that those college students of mothers having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native foods. 5. Those college students having good understanding of native foods accounted for 63.4 percent, while students requiring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ose native foods for 91.0 percent. As a consequence, it is apparent that most subjects tended to show the positive responses to those native foods.
        4,600원
        194.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대학팀에 소속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노력과 보상, 절실함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 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484명의 대학 학생선수들의 자료를 수집한 후 기술통계,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선수들의 노력, 보상, 절실함 및 운동지속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력과 보상의 균형 및 불균형 에 따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노력과 보상은 절실함이 매개될 경우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수들의 운동에 대한 지속의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선수 자신의 노력하는 태도를 강조하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하여야 하며, 절실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동기유발 전략들이 요구된다.
        195.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스포츠 환경에서 학생선수 를 위한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국내와 해외에서 수행된 ‘청소 년의 긍정적 발달’ 관련 서적 및 논문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의 개념, 연구 동향, 주요 타자의 역할, 스포츠와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이 함의하는 4가지 특 성은 (a) 청소년 발달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b) 상대적 가소성, (c) 다차원적인 개념구조, 그리고 (d) 순환성이 다. 둘째, 청소년 긍정적 발달 관점에서의 연구 동향은 이론적 모델, 철학적 관점, 긍정적 청소년 발달을 위한 스 포츠 분위기(예: 코치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모의 관여 등),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의 효과 관련 주제로 정리 할 수 있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긍정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도자, 부모, 동료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히, 라이프스킬 프로그램과 같은 체계적인 중재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 결론: 스포츠에서의 PYD를 이해하고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긍정적인 사회심리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 여할 것이다.
        196.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중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의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운동선수 221명(남자=155명, 여자=66명)으로 평균 15.94세였다. 측정 도구로는 케어링 분위기 척도(CCS), 라이프스킬 전이 척도(KLSTS), 그리고 삶의 만족도 척도(SWLS)가 사용되었 으며, 수집된 자료는 Stata 9.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케어링 분 위기는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킬 전이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케어링 분위기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를 포 함한 팀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는 스포츠에서 개발된 라이프스킬을 다양한 환경으로 전 이하는 데 보탬이 된다. 나아가 전이된 라이프스킬은 삶에 대한 선수들의 전반적인 만족감을 높이므로 지도자는 스포츠 환경 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197.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체육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지닌 경쟁 성향과 불링 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중고등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경쟁 성향(협 력적 경쟁 성향과 대립적 경쟁 성향)과 불링 행동(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 계, 신뢰도, 타당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가적으로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차이 검증을 진행하였 다. 결과: 분석결과, 성별에서의 경쟁 성향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불링의 가해 경험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급에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대립적 경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링의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도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인 경쟁 성향은 아니지만, 대 립적인 경쟁 성향은 불링의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학생 들이 협력적 경쟁 성향이 아닌 대립적 경쟁 성향을 지닐수록 불링 행동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서 불링 경험(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쟁 성향이 불링 행 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불링 행동을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해서 대립적 경쟁 성향이 아닌 협력적 경쟁 성향을 추구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지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가 체육 수업과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경쟁 성향과 불링 행동을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198.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 시합에 정상적으로 참여했을 때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장 기간 시합에 참여하지 못했을 때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 변화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 상은 코로나19 확산 전 대부분의 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여자탁구선수 65명과 실업탁구선수 35명 이었다. 설문지를 활용하여 선수 정체성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test. 반복측 정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코로나 19로 인한 장기간 시합 미참가는 학생 탁구선수 와 실업 탁구선수의 선수 정체성을 감소시켰는데, 학생선수에 비해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이 더 현저하게 위축 되었다. 또한, 경기력 수준(상비군 경험 유무)에 따라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 났다. 선수 정체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의 경우 상비군 경험이 있는 학생선수들이 상비군 경험이 없는 선 수들에 비해 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장기간 시합 미참가는 학생과 실업 여자 탁구선수의 선수 정체성이 위축되는데 학생보다 실업 선수가 더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선수 정체성의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무관중 경 기 등으로라도 시합 참가 기회가 꾸준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199.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교육을 예측하며, 학습자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고교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학생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자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프로젝트 실행 기법(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경기도의 아홉 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이라는 주제로 ‘미래교육 제안 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고교교육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첫째, 배움의 목적과 학교의 의미, 둘째, 배움의 내용과 과정, 셋째, 배움의 방식과 평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넷째, 꿈과 진로, 그리고 미래, 다섯째 학교에서의 삶과 학생의 목소리의 총 다섯 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을 고민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200.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a) 스포츠인성 모형을 검증하고 (b) 스포츠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12개 종목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선수 350명(남자 =295명, 여자=55명)이었고, 측정도구는 스포츠인성 질문지, 동기분위기 질문지, 케어링 분위기 질문지, 그리고 목표성향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스포츠인성의 네 단계 기본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정성 요인은 반사회적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퍼슨십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반사회적 태도는 일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기본모형에 대한 모델 적합도 지수들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CFI=.916, TLI=.881, RMSEA=.087, SRMR=.056). 둘째, 스포츠인성 모델과 각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사회심리적 분위기와 목표성향을 추가하여 조건 모델을 검증하였다. 조건 모델에서 숙달 분위기는 스포츠 퍼슨십에, 수행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케어링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 을 미쳤지만, 스포츠퍼슨십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한편, 목표성향의 두 가지 요인(과제성향과 자기성향) 모두 스포츠인성 요소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조건 모델은 좋은 적합도 지수를 보였다(CFI=.918, TLI=.898, RMSEA=.072, SRMR=.053) 결론: 이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스포츠인성 발달 단계와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상 황적⋅개인적 요인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국내 학생선수들의 스포츠인성 발달에 대 한 유용한 정보와 스포츠인성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