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2

        58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 si wo le” and “W si wo suanle” are two constructions commonly used in modern Chinese spoken language, and they all have a high degree of meaning. The two constructions can sometimes be used interchangeably, there will be some subtle differences in semantics after the switchover; but in some cases, the two are not interchangeable. According to the corpus survey, we found that “W si wo le” is much more commonly used than“W si wo suanle” . “W si wo suanle” as a new construction is used only in a specific context in spoken Chinese, “suanle”as an extremely important component of the construction “W si wo suanle” must affect the choice of the variable W, the meaning of this construction and the syntactic features of this construction. This paper intent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 si wo le” and “W si wo suanle” on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W, the construction meaning and the syntactic features ,we also try to analyze and explain the causes of these differences.
        4,600원
        58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dialects are slipping away. People are gradually ignoring and forgetting local dialects and traditional culture. The loss of dialects will surely lead to the loss of traditional culture. As a language and culture research enthusiast, I hope to make people know more about their own language by studying and comparing more dialects. As the mother tongue, dialect will directly affect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language when we learn the second language, which not only ha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but also has a negative role in hindering, which requires us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wo languages and a comprehensive comparative study. Suzhou and Hefei belong to the wu-speaking area and the jianghuai guanhua area respectively. Although they are two dialects, the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from the geographical pos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must be som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alects.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languages of Suzhou and Hefei, the author chooses to present the modern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ancient pronunciation of rusheng characters in the two places, and analyzes and explai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vowels of the dialects respectively, so 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alects.
        7,700원
        58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왕리 王力(1900-1986)의 『漢語詩律學』과 쿠카이 空海(774-835)의 『文鏡秘府論』을 근간으로 하여 五言律詩의 詩句 중 첫 번째 음절과 세 번째 음절의 운율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그 예로 왕웨이 王維(699-761)의 시 열한 수를 들어 설명을 보태었다. 그러나 왕웨이의 詩 중에서도 平起式의 오언율시로 범위를 제한하여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먼저 서론에 이어, 왕리의 주장에 따른 율시의 기본과 격식을 소개하였고, 소위 중국시율학에서 과거 묵인되어 왔던 口訣인 ‘一三五不論, 二四六分明’을 통해 홀수 음절의 평측을 첫 번째와 세 번째 음절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결의 의미는 매구의 첫 번째 글자, 세 번째 글자 및 다섯 번째 글자는 평측의 구애 없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두 번째 글자, 네 번째 글자 및 여섯 번째 글자는 평측을 구분하여 격식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것으로 평성과 측성의 자기자리를 바꾸어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칠언시 뿐 아니라 오언시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지므로 구결을 오언시의 경우 ‘一三不論, 二四分明’이라 해도 무방하다. 이 구결은 출처는 불확실하지만 중국시율학에서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이나, 전반부인 ‘一三不論’은 잘못된 것으로, 唐代의 詩作에도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이 왕리의 주장이다. 이에 왕리와 쿠카이의 주장과 함께 平仄의 格式, 四聲, 八病, 拗救, 孤平, 換頭, 護腰, 相承 等을 살펴보았고, ‘一三不論’이라는 口訣은 합당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聲韻을 조화롭게 하는 주요 기술은 換頭와 護腰 따위로 주로 홀수 음절에서 사용된다는 것과, 구결의 내용과는 달리 홀수 음절 곧 첫 번째와 세 번째 글자(음절)의 평측 사용은 결코 자유롭지만 않으며, 특히 가운데 세 번째 음절의 경우 평측 교환으로 완전히 변해버릴 수 있으므로 선택적이어야지 임의적이어서는 안 됨을 확인하였다.
        5,100원
        58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학을 위해서 언어학이 지향할 역할과 연구 대상에 대해 시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로서의 중국학은 중국에 관한 학문 정도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유래와 지역 및 연구 대상의 상이함에 따라 중국학은 Sinology와 Chinese Studies란 명칭으로 각기 다르게 불려왔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의 중국학은 Chinese Studies로 범칭되는데, 학문 체계상 상위 학문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중국학은 여러 하위 학문 분과의 단순 병합이 아닌 공동의 연구 주제를 갖는 하위 학문 분과 간 유기적인 총체이어야 한다. 그 속에서 언어학은 향후, 중국의 제(諸)현상을 좀 더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등 기타 연구 분과들과 통섭을 도모하며 주제와 사고를 확장해 나가야할 것이다. 예견되는 글로벌언어로서의 중국어가 현 글로벌언어로서의 영어와 위세 상 어떤 지위 관계를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중국학을, 중국에 국한한 중국학이 아닌, 일본, 한국, 인도, 필리핀 등 기타 국가학과의 관계를 고려한 아시아학의 하나로 위치시킬 때 이해 가능 할 것이다.
        5,500원
        58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점시험 7급에 배정된 한자 150자를 漢字構形學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50자 안에는 層次조합의 글자가 14자가 포함되어 있고, 6개 構形모델이 존재한다. 이 構形모델 안에는 構形理據가 희박한 3, 4등급의 記號字가 23자 포함되어 있다. 이는 난이도가 높은 한자가 초급단계에 배정되어 초급자의 한자학습을 어렵게 한다는 의미이다. 150자를 直接構件과 基礎構件으로 귀납하면 直接構件 총 수량은 149개이고, 基礎構件의 총수량은 141개이다. 이외에 基礎構件에는 12개의 變體構件이 존재하는데 이를 합치면 153개의 構件이 150자를 구성하고 있는 셈이다. 모든 한자의 基礎構件이 400여 개임을 감안하면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7급 150자의 基礎構件 141개는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너무 높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41개의 基礎構件 안에는 構件 하나로 글자를 만들 수 없는 非字構件이 28개이다. 이는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7급 한자의 배정이 자형 난이도에 따른 과학적인 분석에 근거되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배정은 초급자의 한자학습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4,500원
        58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most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Korea, Korea's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was originally revised from the Large Chinese-Korean Dictionary(1964) and retained Chinese characters from ancient times to around 1950. Since the initial edition of 1973, the dictionary has been reprinted several times and has not been revised. In view of the deletion of some worthwhile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on the basis of the Large Chinese-Korean Dictionary, or the inappropriate deletion of some entries, and the many imperfections in the compilation style, such as the lack of illustrations, Chinese phonetic notes and Chinese annotations, etc., this paper holds that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should be revised and properly included and deleted. In addition to the valuable Chinese characters, and improve the compilation style, so that it is more detailed, more convenient for readers to us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 dictionary, expand its capacity, update entries in time, and make it easy for readers to carry, it is necessary to launch the Internet dictionary of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4,800원
        58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ndem learning is a learning model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language partners, it is possible not only to learn independently and improve the level of target language, but also to conduct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 foreign cultures.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wo types of Tandem learning methods: Tandem learning through classroom management;The other is the out-of-class language partner learning activities organized by learners in both countries.This research is the second type of Tandem learning, in which teachers help to make connections between Chinese students in the accounting department and Korean students in the Chinese language department, and combine idioms to make mutual learning outside the normal classroom learning.Due to the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and constraints, as well as the low level of target language of both partners, some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tivities.How to solve these problems so that the language partner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effectively, this study explored several solutions,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olutions through the end-of-term questionnaire survey.It is hoped that such a shallow stud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more teachers and researchers to explore the out-of-class Tandem learning model so that more foreign language learners can benefit from Tandem learning.
        4,900원
        58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찬자경』은 『일체경음의』·『옥편』·『절운』·『정명요록』·『간록자서』 등 중국에서 전래된 한문 문헌을 저본으로 하여 편찬된 일본의 辭書인데, 다양한 이체자와 속자 자료가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어서 자양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신찬자경』의 이체자는 일반적인 이체자와 비슷한 형성원인을 보이므로, 그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할 수 있다. 한자의 이체자는 크게 글자 구성 원리의 변화, 簡略化, 增繁化, 交替, 異化, 同化, 類化, 記號化, 訛混, 同音借用, 構件轉位, 合文 등의 요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필자는 상호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이체자 유형들끼리 모아서『신찬자경』이체자와 일반 이체자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탐구하려 한다. 그 첫 번째 단계로 본 논문에서는 간략화와 증번화 유형 이체자를 정리하고 분석하였으며,『신찬자경』이체자의 보편성과 고유성도 함께 고찰하였다.
        6,100원
        58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2017년 웨강아오 대만구 정책을 국책 사업으로 확정하고,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규획’ 공포를 앞두고 있다. 동 대만구는 광동성 9개시와 ‘일국양제’를 실시하고 있는 홍콩 및 마카오 특별행정구 간의 지역통합화 정책이며, 광동자유무역시범구 조성, 강주아오 대교 개통 등으로 동 대만구 조성에 필요한 제도 및 기초 인프라가 갖추어지고 있다. 본고는 동 대만구 조성과 정책화 과정을 살펴보고, 분석을 통해 동 대만구 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영향력을 전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동 대만구 정책은 행정 및 권역별로 다층적 과정을 거쳐 최종 정책으로 형성되었으며, 대만구 조성은 경제 외에도 사회·문화적 요인이 정 책화에 기여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 대만구는 ‘일국양제’의 실험장을 광동 9개시까지 확 대시켰으며, CEPA 효과 극대화를 위한 플랫폼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이질적 제도 하의 지역간 통합화, 광동성 내부의 격차 극복, 일대일로 정책과의 불협화음, 전례가 없는 협의체 구성과 운영이라는 어려움도 상존한다. 동정책은 인프라 건설, 광동자유무역시범구의 적극 활용, 도시별 차별화 진출 전략 필요라는 시사점을 우리 기업에게 제시하고 있다.
        7,700원
        59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중앙 1호 문건에서 지속적으로 농촌 진흥을 우선과제로 삼고 있다. 삼농문제는 지역불균형 문제의 원인으로 제시되며, 삼농문제의 해결은 샤오캉(小康) 사회를 추진하기 위한 핵심 사안으로 선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농업과 지역경제성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삼농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배포하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고 고정효과 모형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한다. 중국의 31개 성(省), 시(市)를 4대 지역으로 구분하고 지역별로 전체 생산량에서 농업 생산량의 비중 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4대 지역 모두 전체 생산량에서 농업 생산량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경제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농업에 낮은 생산성을 주요 문제로 착안하여 농업 생산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업의 생산성 개선에 따른 농촌의 소득이 증대 가 삼농문제의 해결 및 지역불균형 완화의 흐름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4,500원
        59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내부 간행물로 출판되어 1980년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발휘한 서구 모더니즘 문학의 수용과정과 그 영향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케루악과 샐린저가 1980년 대 중국작가들에게 끼친 막대한 영향을 왕쑤오와 쑤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구 모더니 즘 작가들이 중국 문학가들에게 끼친 영향은 그 이전 1960∼70년대 “내부 발행” 도서에서부터 시작되어 확장된 것이었다. 이 “내부 발행” 도서는 중국의 세계인식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표이다. 중국에서 비트 세대라는 기호는 21세기 초의 중국문학과 문화의 새로운 길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준다. 더욱 중요한 것은, 중국 사회주의시기 이후의 문학은 사회주의시기 문학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침잠하는 잠재성을 통해 연속되고 있음을 증명해주는 분명한 징표라는 점이다.
        5,800원
        59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첫째, 明末 전후의 진보적인 儒者는 ‘治生’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심지어 치생이 ‘財富의 분배(증여)’와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증여를 실천할 바탕이라고 인식했음을 밝힌다. 그리고 명말의 단편소설집『三言二拍』의 작가 ― 馮夢龍과 凌濛初는 그들의 저술 목적 이 敎化에 있고 通俗적 수단을 지향한다고 했는데, 이러한 의식 기저에는 ‘치생’ 욕구와 ‘증여’ 의식이 함께 교차함을 밝혔다. 둘째, 그러한 치생과 증여의 의식이 『삼언이박』에서 문학 적으로 형상화되어서 배려, 구원, 적선, 환원 등의 다양한 ‘증여’ 서사가 펼쳐짐을 밝힌다. 아울러 여러 ‘증여’ 서사를 지배하는 의식의 기저를 규명하여 재부의 축적과 재분배가 어떻게 문학적으로 담론되는지를 밝혔다.
        5,400원
        59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 신종때는 왕안석 신법 주창으로 정치 불안이 야기되었고, 수많은 문인들은 신법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아 폄적되는 문학적 암흑기를 거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핍박 속에서도 송나라는 서양의 작품세계와는 차별화된 중국 고유의 문인화, 산수화를 꽃피우기에 이른다. 이 독특한 동양의 작품세계는 시와 그림이 지향하는 작품적 심미주의를 하나의 작품 속에 통합하고, 작품이라는 프레임 속에 문인들의 사상과 철학이 암시적으로 숨겨진다. 이러한 작품세계는 사실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분석하려는 서양의 작품세계와는 차별화된 함축적 비유나 은유적 함의가 시와 그림 속에 그대로 녹여져 있다. 특히, 산수화나 문인화의 은유적 함의는 문자옥(文字狱)과 같은 박해를 피하기 위해 선비들이 언행을 삼가고, 마음을 그림 속에 투영하게 되면서, 작품 속에 숨겨진 은유적 의미들을 서로 공유하는 시대풍조의 산물이 되었다. 그림과 시라는 서로 다른 공간의 예술 활동이 중국 특유의 제화시라는 작품으로 서로 다른 공간들이 하나의 공간에서 그 예술적 가치를 더없이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제화시하면 떠오르는 송대 대표적인 산수화 연강첩장도(烟江疊嶂圖) 에 덧붙여진 왕선과 소식의 제화시 연구를 통해 제화시의 가치와 문학사적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5,800원
        59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寒山’ 혹은 ‘寒山子’라고 알려진 인물의 詩集인 『寒山詩』에는 유가와 도가의 경향도 일부 나타나지만, 전체를 불교적 색채가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한산이 시를 창작하기 위해 사용한 이미지를 긍정과 부정의 두 가지 방향에서 살펴보았다. 그의 시에서 긍정적 이미지로 사용된 대표적인 예는 ‘흰 구름[白雲]’과 ‘한산[寒山]’이다. ‘흰 구름’에는 첩첩 산중에 홀로 은거하며 거친 자연의 변화 속에서 화자의 벗이 됨과 동시에 세상을 자유로이 살아가고자 시인의 내면세계가 투영되어 있다. ‘한산[寒山]’은 시인이 은거하며 생활하던 장소로서의 한산과 인간으로서의 한산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시인이 이상향을 위해 정진하던 때의 한산이라는 배경은 고난과 역경의 도량으로 나타나지만, 깨달 음에 도달하고 난 이후 한산이라는 배경은 이상적이고 청정한 아름다운 도량의 긍정적 이미지로 다가왔다. 부정적 이미지로 사용된 대표적인 예는 ‘動物’과 ‘酒肉’이다. 동물 중에서는 특히 ‘돼지’와 ‘개’의 이미지가 부정의 이미지로 동원되었다. 돼지는 탐욕과 거짓의 이미지, 개는 성냄과 애욕의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술은 일시적인 쾌락을 위한 인간의 부정적인 욕망의 이미지, 고기는 탐욕스런 인간의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인간 한산의 수양을 통한 변화하는 이미지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이미지는 한산의 시를 입체적 공간으로 서의 의미가 확장되어 시적 의미를 보다 구체화 시켜주는데 일조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400원
        59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중국어 전공자들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관광서비스 분야 교과목 개발 모색을 목표로 하였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와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중국어 필요성의 요구는 관광서비스 분야의 교과목 도출로 이어지며 나아가 맞춤형 인재양성의 교육목표에도 부합된다. NCS기반 관광서비스 분야 교과목 개발 첫 단계에서는 관광산업전망 동향과 부산 지역 대학교의 교과목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NCS 분류에서 관련된 직무와 능력단위를 도출하여 부산 지역적 특성을 고 려한 맞춤형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NCS 능력단위요소에 따른 수행준거 및 지식, 기술, 태도를 바탕으로 각각의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6,000원
        59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wide application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blended learning, as a new learning model,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 in the field of Chinese education. Blended learning is an organic integration of classroom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and it is a student-centered and teacher-led teaching model. Blended learning is a blending of on-line learning and off-line learning in the form of learning, but the deeper level is a blending of four aspects. That is, the blending of learning theories, the blending of learning resources, the blending of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blending of learning methods. This paper introduces some basic concepts of blended learning and related research status, investigates and analyses the steps and methods of Applying Blended Learning in Chinese teaching in China and Korea, and expounds the problems of blended learning in Chinese teaching practice. Blended learning seems to provide us with unlimited possibilities, but we must avoid blind application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We must blend all kinds of teaching elements flexibly and reasonably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of Chinese teaching scene.
        4,300원
        59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summarizes the author's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the first class session of the Chinese language class-from the design of classroom mode to the implementation of this activity by students. After the activ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author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f “one-day teacher” activit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veral perspectives, including satisfaction, learning effect, self attitude towards this “one-day teacher” activity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The results were, to say the least, encouraging. From all aspects of the good evaluation. We can judg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is “one-day teacher” activity in the Chinese language class is completely feasible. Although the feasibility of “one-day teacher” activity has been proved, how to better apply it in Chinese class is the next problem that needs to be improved and further studi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Chinese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in the lower grade. How to carry out this activity for learners at different Chinese level? A series of problems will be further studied and discussed.
        5,500원
        59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시중 A1 등급 교재 4종에 사용된 어휘의 등급별 분포와 어휘 반복 횟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중 A1 등급 교재 4종을 선택하여 ‘새단어’를 중심으로 어휘 등급 분포와 어휘 반복 횟수를 살펴보았다. 교재 4종 모두 1등급 이외의 어휘가 54%-68%로 너무 많았다. 등급 외 어휘들도 대단히 많았다. 교재 4종 모두 26-35%가 등급 외 어휘였다. 교재 4종의 1등급 반복 횟수 4회 이상의 어휘가 47-74%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하지만 2등급은 반복 횟수 4회 이상의 어휘가 13-25%, 3등급의 경우 5-33%, 4-6등급은 0%, 등급 외 어휘들은 6-8%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어휘 반복 횟수가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어휘 빈도수와 어휘 반복 횟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나선형 혹은 순환형 주제 배열 교재와 기능 분리형 교재가 더욱 많아져야 한다.
        5,100원
        59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현대중국어 공손표현의 변천 양상을 개괄하여 그 특징을 명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 4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공손표현의 사용 양상을 조사하고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인칭대명사 존칭, 친족에 대한 존칭(尊称)과 겸칭 (谦称), 노인에 대한 존칭, 서술성 경어와 겸양어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또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그 특징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공손한 표현은 시대적 변화에 민감하다. 그 시대에 맞지 않는 공손 언어는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공손한 표현이 사용된다. 경어와 겸양어의 사용은 약화되고, ‘사교성 인사말, 사양하는 표현’인 ‘客套语’ 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현대인의 공손표현이 되었다.
        4,500원
        60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동일한 통사적 양상으로 실현되는 RVC구문이 서로 다른 의미구조를 표상하고 있 음을 밝히고, 이들의 의미적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현대중국어에서 능격동사, 비대격동사로 분류되는 RVC는 논항구조와 의미역에 따라 ‘자동’과 ‘타동’, ‘사동’이라는 서로 다른 의미구조 를 형성한다. 특히 타동문과 사동문은 통사적으로도 동일한 결합가를 가지기 때문에 그 의미 적 차이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RVC 타동구조는 <AGENT, THEME>의 논항구조를 통해 단 일 사건 내에서 동작의 행위자와 대상의 역학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의미구조이다. 반면, RVC 사동구조는 <CAUSER, CAUSEE>라는 두 논항을 취하여 복합사건 내에서 원인을 유 발하는 사동주와 이로 인해 결과사건을 필연적으로 발생시키는 피사동주의 작용 관계를 중심 으로 의미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구문의 논항관계와 의미역, 사건구조를 통해 RVC 타동문과 사동문의 의미적 구분 문제와 RVC 사동문의 의미적 특징을 조명하였다.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