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나해.황해의 최근 10개년간(1970~1979) 안강망에 의한 참조기.강달이 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어장의 경년변동과 저층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970~1976년간의 어획량은 수온보다 2~3년 늦은 위상(Time lag)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1970~1973년은 감소, 1974년 초~1975년 말은 급격한 증가, 그리고 그 후 1976년 말까지는 평형상태이었다. 그러나 1976년 이후에는 어획노력량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위상을 가지는 경형은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수온이 평년 보다 낮았던 저수온 년인 1977년의 어장분포는 수온이 높았던 고수온 년인 1972년보다 남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국적의 유조선 35척의 외판 및 격벽의 부식도를 선령별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령 12년급의 외판의 평균부식도는 경흘수선 및 하부 만곡부선에서는 선수부가, 건현 및 상부만곡부선에서는 중앙부가, 양재흘수선에서는 선미부가 가장 높다. 2. 선령 20년급의 외판의 평균부식도는 경흘수선 및 상.하부만곡부선에서는 선수부가, 건현중앙선에서는 중앙부가, 만재 흘수선에서는 선미부가 가장 높다. 3. 측수조와 중앙유조의 횡격벽의 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에서나 정부선, 상부선, 중앙선에서는 측수조가 높고, 하부선과 저부선에서는 중앙유조가 높다. 4. 중앙유조와 양측 유조의 횡격벽부식도 어느 선령에서나 중앙유조의 횡격벽 쪽이 높다. 5. 중앙유조의 종.횡격벽의 부식도는 격벽의 중앙선상부에서는 어느 선령에서나 종벽부 쪽이 높다. 6. 내부수조 및 중앙유조의 횡격벽과 같은 높이에 있는 선각외판의 건현부의 평균부식도를 비교하면, 격벽상부의 부식도가 외판의 그것보다 크다.
색망지에 대한 어류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7가지 색망지를 2가지씩 조합하여, 이에 대한 말쥐치 Navodon modestus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쥐치의 개체분포는 대체로 중간구간에 많이 모였으며, 적색과 청색의 조합인 경우에만 양쪽 구간에 많이 모였다. 2. 두 망지쪽 구간에서의 평균 개체 분포차는 5.77%(0.27~12.13%)였다. 3. 말쥐치가 싫어하는 망지의 색채는 백색, 적색, 녹색, 흑색, 청색, 황색, 회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시간의 경과에 따른 두 망지쪽 구간에서의 분포율의 변화는 불안정하게 변동하였으며,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5. 한 색망지 쪽의 분포율이 계속 크거나 적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대체로 일어나지 않았다.
진해만은 여름철에 적조가 자주 발생하는 해역으로서 우리나라 남해안 중 해양 오염이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해역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오염된 마산만의 해수가 진해만으로 어떻게 유입, 희석되는가를 알아보고, 만외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확산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1981년 8월 17일)와 소조(1981년 9월 7일) 각 조석에 따라 네 번에 걸쳐 Rhodamine B (중량비 6%) 확산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 때 방출 90분 후의 썰물과 밀물 때의 확산계수는 각각 3.0×10 super(3) cm super(2) /sec, 2.8×10 super(3) cm super(2) /sec 이고 소조 때 방출 90분 후의 확산 계수는 밀물 때는 6.2×10 super(2) cm super(2) /sec, 썰물 때는 2.1×10 super(3) cm super(2) /sec로서 소조 때보다 대조 때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른 해역과 비교해 보면 수영만의 8.2×10 super(2) cm super(2) /sec, 1.12×10 super(3) cm super(2) /sec(Kim: 1981)와 그 값이 거의 비슷하나, 고리에서의 10 super(3) ~10 super(4) cm super(2) /sec(Ro: 1980)보다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진해만 및 마산만의 경우, 만 입구가 협소하고 남쪽으로 열려 있어서 여름철에 남풍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불면 썰물 때라도 표층수가 역류하여 만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특히 소조 때에는 오염물질의 분산이 잘 되지 않고 누적될 가능성이 크게 보인다.
Most existing theories on ship waves and wave resistance are based on the perturbation of the flow field by a small pararr.eter which specifies the slenderness of the ship hull. Since however, ship hulls in practice are neither so slender nor thin enough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linearized theory, the agreen:ent between the theoretical predic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not generally satisfactory. The author pointed out that the contribution by the non-linear term in the free surface condition can be represented by sorr.e source distribution over the still water plane. This paper leads to a forrr.ula for the wave resistance of not slender ships at low Froude nurr.bers. and deals with the asynptotic expression. As a nurr.erical example, the wave resistance of Wigley model is calculated,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values. It is concluded that the wave resistance coefficient varies in the rate of Fn6 at low speed limit in general. A comparison with the result derived from the linearized free surface condition shows that the non-linearity of the free surface is irr portant at low speed.
우리나라 남부해안기후의 특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안지방인 부산, 여수, 목포를 준표준 내륙지방으로 광주와 대구, 인근 해양의 가덕도, 소리도, 홍도의 수온을 선정하여 20년 간(1960~1979)의 관측자료로서 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지방(부산, 여수, 목포)은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대구, 광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의 기온보다 높고, 수온이 기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보다 낮다. 2) 수온과 기온의 차에 따라서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기온차가 결정되며(상관계수 0.9이상) 그 양적 예측도 상관관계식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3)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도 기온의 경우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목포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안지방과 다르게 나타났다. 4) 수온과 기온의 차이에 따라서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가 결정된다(상관계수 0.9이상, 목포제외), 그러므로 그 양적 해석도 가능하다. 5) 남해안지방의 강수량은 내륙지방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Si-Cr계 내열강 SUH3와 Cr-Ni계 stainless강 SUS 303 및 이들이 마찰용접재 SUH3-SUS303을 1,060℃에서 용체화처리하고 다시 700℃에서 10, 100시간 시효열처리한 각 시험편의 고온 피로강도에 대한 시효열처리의 효과를 알기 위하여 700℃에서 고온 회전굽힘 피로시험을 하고 파약거동을 미시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UH3재와 SUS303재의 최적마찰용접조건은 회전수 2420rpm, 마찰가압력 8kg/mm2, 전 upset량 7mm(마찰가압시간 3sec, upset시간 2sec)이었다. 2) 700℃ 고온에서 장시간 이루어지는 고온피로시험에 있어, 용체화처리재의 S-N 곡선 경사부의 기울기가 가장 급하게 나타났다. 3) SUH3-SUS303 마찰용접재는 1,060℃에서 1시간용체화 처리하고, 700℃에서 시효처리하는 경우 최적시효시간은 10시간이었다. 4) 10시간 시료재의 고온피로한도는 모재보다 SUH3은 75.4%, SUS303은 28.5% 높았으며, 용접재 SUH3-SUS303은 44.2% 정도 높았다. 100시간 시효재는 모재보다 SUH3은 64.91% SUS303은 30.4% 높았으며, SUH3-SUS303은 30.4% 높았으며, SUH3-SUS303은 36.6% 높았다. 5) 마찰용접재의 상온 및 고온의 피로파단은 모두 SUS303의 모재측에 발생하였으며, 용접면에서의 파단은 전혀 없었다. 6) SUS303재와 마찰용접재 SUH3-SUS303재의 크랙은 입내파양형이었으나 SUH3은 입계크랙의 전파로 파양한다.
일차원 부정류 해석의 수치해석모형을 만들기 위하여 Preissmann형의 Implicit법을 Saint venant식에 도입하였으며 모형의 안정성과 정도에 관하여 검토하였고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1. 보조관계식을 도입함으로써 Double Sweep알골이즘을 사용할 수 있었다. 2. 계산결과의 안정성과 정도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δt/δx 및 θ인 바 δt/δx은 1보다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를 피해야 하며 0.6〈θ〈1.0일 때 무조건 안정이다. 3. 마찰계수와 θ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실제흐름에서의 에너지 소멸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됨으로써 이 모형은 일차원 부정류흐름의 해석에 있어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앞으로 실측자료에 의한 보정과 더불어 지류와 합류가 있는 하천 수계에 대한 System해석모형 또는 해안에서의 장파에 대한 일차원 해석모형 등의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 남부해안기후의 특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안지방인 부산, 여수, 목포를 준표준 내륙지방으로 광주와 대구, 인근 해양의 가덕도, 소리도, 홍도의 수온을 선정하여 20년 간(1960~1979)의 관측자료로서 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지방(부산, 여수, 목포)은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대구, 광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의 기온보다 높고, 수온이 기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보다 낮다. 2) 수온과 기온의 차에 따라서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기온차가 결정되며(상관계수 0.9이상) 그 양적 예측도 상관관계식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3)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도 기온의 경우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목포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안지방과 다르게 나타났다. 4) 수온과 기온의 차이에 따라서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가 결정된다(상관계수 0.9이상, 목포제외), 그러므로 그 양적 해석도 가능하다. 5) 남해안지방의 강수량은 내륙지방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한국남해안에 있어서의 오메가신호의 지역적인 변화와 측정위치의 정도를 알기 위하여 제주(33˚31'.0N, 126˚31.9E)와 부산(35˚7'.9 N, 129˚6'. 3 E)에서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2월 28일까지 A-C pair 및 A-E pair에 대하여 동시 관측하여 오메가신호의 일변화, 두 지역 간의 실측PPC의 상관관계 및 차의 분포, 차등오메가 이용할 경우의 측위의 정도를 검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주와 부산 두 지역 간의 오메가전파의 위상차는 정의 상관관계의 평균치는 A-C pair는 0.7, A-E pair는 0.75이었다. 2. 「제주실측 PPC-부산실측 PPC」의 반달마다의 평균치의 범위는 A-C pair는 17.7~21.3 cels이었으며, A-E pair는 -2.9~2.0cels이었다. 3. 두 지역에서 차등오메가로 이용할 경우의 측정위치의 오차의 범위는 1.0~2.2 miles이었으며, 오차권의 평균치는 1.52mile, 표준편차는 0.21mile이었다.
제주도 북서해역에서의 해수의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0년 7월에 제주도에서 소흑산도에 이르는 7개 관측점에서 투명도, 수색, 태양광의 4가지색(Clear; 400~720nm, Red; 600~700nm, Green; 475~600nm, Blue; 400~475nm)에 대한 해수의 표면조도 및 수중조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해역의 평균투명도는 16.1m(11~19m)였고, 평균수색은 4.3(3~5)였다. 2. 해수의 평균흡수계수는 적색광이 0.135(0.106~0.184), 백색광이 0.106(0.084~0.152), 청색광이 0.097(0.073~0.136), 녹색광이 0.089(0.069~0.130)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3. 해수의 흡수계수 k와 투명도 D와의 관계는 적색광이 k=2.12/D, 백색광이 k=1.66/D, 청색광이 k=1.15/D, 녹색광이 k=1.38/D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4. 태양광선의 표면광에 대한 평균해중투과율은 녹색광(수심 5m층에서 62.29%, 15m층에서 26.43%, 30m층에서 7.74%, 50m층에서 1.56%), 청색광(수심 5m층에서 59.29%, 15m층에서 23.43%, 30m층에서 6.10%, 50m층에서 1.08%), 백색광(수심 5m층에서 56.57%, 15m층에서 20.54%, 30m층에서 4.60%, 50m층에서 0.68%), 적색광(수심 5m층에서 50.14%, 10m층에서 14.29%, 30m층에서 2.37%, 50m층에서 0.23%)의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5. 투명도층에서의 태양광의 평균해중투과율은 녹색광이 표면광의 24.3%(20~25.8%), 청색광이 21.21%(17.3~24%), 백색광이 18.29%(15.5~20%), 적색광이 12.4%(10.3~15%)의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More recently, unsteady flow in small-diameter pipes plays a major role in liquid propellantrocket systems, hydraulic and pneumatic control system, and elsewhere. And it has shown that line dynamics can have a marked effect on the hydraulic system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ransfer function of hydraulic lines with an accumulator and an outlet orifice i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from frequency response tests at various airvolume(V.) and the location of accumulator(ld1t), so that their performance may be correctly and easily predicted and the design of the systems incorporating them improve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ynamic response of hydraulic lines may be analyzed more accurately by use of the viscous term(22) in unsteady laminar flow. 2. There was good agreement between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nd hydraulic systems with liines included an accumulator can be analyzed more accurately by use of the pressure transfer function given by eq. (16). 3. For the mitigation of surge in hydraulic lines, 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location ofaccumulator is close to the pipe outlet side. 4. According to the gas volume of accumulator is increased(the sealing pressure is close tomean line pressure), the damping effect of pressure wave is improved.
Accuracy of the position fix obtained by navigation with Omega in the capacity of worldwide navigation depends on the predicted propagation correction. The authors observe continuously the phase differences of the A-C pair and the A-E pair from April 17 to October 14, 1980, at Busan(35\ulcorner07'. 9N, 129\ulcorner06'. 3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daily vari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etical PPC and the measu red PPC to study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fi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fourier's analysis for the theoretical PPC and the measured PPC are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oefficients ao, a2, a3 with A-C pair and in the coefficients aO-a3 with A-E pair, and those PPC are apparent to daily periodicity during all measured time. The initial phase is around to 280\ulcorner with A-C pair and 1800 with A-E pair. 2. Daily variatons of the phase difference tend to decrease and the time width to narrow from April toward July, but these variations are opposed to those from July toward October. 3. Mean value of total errors of the position fix by theoretical PPC is 2.67 miles and its standard deviationis O.90miles. 4. Mean value of total errors of the position fix by the measured PPC is 0.63 miles and its standard deviation is 0.217 miles.
한국국적을 가진 일반화물선 30척과 원목운반선 15척의 외판부식도를 선령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화물선 1) 전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경흘수선부가 가장 크다. 2) 선수미방향의 전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선수부가 중앙부나 선미부보다 크나, 큰 차이는 없다. 3) 깊이 방향의 부식도는 선령 16년 이하에서 건현부, 만재흘수선부, 하부만곡부, 경흘수선부의 순으로 크다. 또 35년에 있어 부식도는 경흘수선부와 만재흘수선부는 건현중앙부에 약 3배, 상부만곡부는 그것의 약 2배 되어 수선부가 가장 부식이 심함을 나타낸다. 2. 원목운반선 1) 전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상부만곡부가 가장 크다. 2) 선수미방향의 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선수부가 가장 크나, 큰 차이는 없다. 3) 깊이 방향의 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건현부가 가장 작고, 상부만곡부가 가장 커서 그 부식도는 건현부의 약 2배가 된다. 3. 일반화물선과 원목운반선. 원목운반선의 부식도의 전평균은 일반화물선의 그것의 약 3배나 된다.
The author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ing patterns of filefish, Stepha nolepis cirrhifer (Temminck et Schlegel) to the color lights. The experimental tank (360LX50WX55H cm) was set up in a dark room. Six Longitudinal sections each being 60 em intervals are marked in the tank to observe the location of the fish. Water depth in the tank was kept 50 em level. Light bulbs of 20W were placed at the both ends of the tank to be projected the light horizontally into the tank. Two different colored filters were selected in combination from four' colors-red, blue, yellow, and white, and were placed in front of the light bulbs to make\ulcorner different light of color. Light intensity were controlled by use of auxiliary filters intercepted between the bulb and the filter. The fish were acclimatized in the dark for 40 minutes prior to employ in the experiment. Upon turning on the light,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in every 30 seconds, and the mean of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given as the gathering rate of the fish.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olor of light, to which the fish gathered abundantly was found in the named order of blue, white, green, and red. 2. The differences of gathering rate upon arbitary combined two color lights were shown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s increased remarkably in accordance with the lapse of illuminating period.
The selective response of the sea bass, Lateolabrax japonieus and the gray rock cod, Sebastes inermis to the colored twines was studied in a white tiled aquarium C400LX60WX70H em), by use of Y -maze made of gray plastic plate. Anyone of the different colored twines, white, black, blue, yellow and red, was strung crosswise on a rectangular frame which was mounted to one of the two outlet ends of Y -maze, and another colored twine was used to the other end of the Y -maze. In each trial, a fish was guided toward the inlet of the Y -maze to let the fish select either one of the two different colored twin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Sea bass preferably selected the colored twines in a order of white, blue, yellow, black and r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2. Gray rock cod showed little difference in selecting colored twines even though the fish selected white one a little more frequ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