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8

        206.
        2019.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8-year-old castrated male Maltese dog (patient) was referred to our institute with refractory canine babesiosis. The patient had previously responded to conventional treatment with atovaquone and azithromycin; however, anemia had recurred at six weeks after treatment withdrawal. No effect was observed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same medication along with diminazene aceturate. On blood analysis, mild anemia was identified, with the absolute reticulocyte count indicating a markedly regenerative state. On Diff-Quik-stained peripheral blood film examination, the parasitic protozoan Babesia gibsoni was observed, and based on further laboratory examinations, a relapse of babesiosis was confirmed. Based on a previous study of drug-resistant variants of B. gibsoni and therapeutic trials, the treatment was then changed to a combination therapy of clindamycin, doxycycline, and metronidazole. Subsequently, the patient’s condition improved rapidly — B. gibsoni was not detected in the blood film and the PCR analysis for it was negative. This treatment was discontinued at six weeks after treatment initiation; however, at seven weeks after the treatment withdrawal, another relapse of babesiosis was confirmed and treatment was restarted with the same protocol. This treatment was effective again and lasted for 12 weeks. However, anemia recurred again at five weeks after withdrawal of the previous treatment and was corrected by restarting the same treatment protocol. This third treatment continued for 24 weeks and was finally stopped at the request of the client. The patient has reportedly been doing well with no manifestation of clinical signs and symptoms. This case report demonstrates that the clindamycin- doxycycline-metronidazole combination therapy against atovaquone and azithromycin-resistant B. gibsoni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symptoms of canine babesiosis and this therapy may be an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y.
        3,000원
        207.
        2019.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between the conventional capsule endoscope and a minimized capsule endoscope model in normal dogs to verify whether the minimization of capsule endoscope can help relief reten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especially in the pyloric passage. Three male beagles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 which the minimized capsule endoscope model was orally administered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ree beagle dogs for which the conventional capsule endoscope was orally administered. Nin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experiments for each dog in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astric transit time (GTT) by the minimization of the capsule endoscope between the two groups (control group: 123.3 ± 80 min, experimental group: 63.3 ± 40.9 min, p=0.019). In contrast, the difference in the small bowel transit time (SBTT) by the minimization of the capsule endoscope between the two groups (control group: 86.6 ± 58.9 min, experimental group: 80 ± 33.5 min, p=0.863) was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the capsule endoscopes reached the large intestine without retention in the small intestine in all subjec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TT between the control group using the conventional capsule endoscope and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minimized capsule endoscope model suggests that the smaller size of the capsule endoscope is helpful in resolving reten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us shorting the GTT.
        4,000원
        20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저온처리 기간과 일장이 자생 돌마타리의 휴면타파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노지에서 재배중인 돌마타리의 생물계절현상 반응(phenology) 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또한 저온처리 기간이 돌마타리 휴면타파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C 저온에 0, 3, 6, 9, 12주간 처리한 후 장일환경(16h), 25°C 온도조건에서 재배하면서 생육특성을 관찰하였다. 일장이 돌마타리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저온 처리된 돌마타리를 단일(9h), 중일(12h), 장일조건(16h)에서 재배하여 생육 특성을 관찰하였다. 야외에서 재배중인 돌마타리는 늦여름인 8월부터 9월까지 개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저온처리 기간에 따른 실험결과 9, 12주 저온처리를 받은 식물이 3, 6주간 저온처리 한 식물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돌마타리는 4°C 온도에서 9주 이상 처리시 33%의 개화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장에 따른 실험결과, 장일환경에서 재배된 돌마타리의 초장은 50.1cm였으나 단일 및 중일환경에서 재배된 식물의 초장은 각각 16.7, 16.1cm로 조사되었다. 돌마타리는 장일환경에서 16주간 재배 시 100% 개화하였으나 단일 및 중일 환경에서 재배 시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돌마타리 는 휴면타파 및 개화를 위해 저온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장일 환경조건에서만 개화하는 질적장일식물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20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use of Grammatical Metaphor (GM)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academic writing in the framework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 not many studies have explored its role in second or foreign language writers’ writing quality.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GM development and argumentative writing quality of advanced Korean EFL learners, while controlling for their overall language profici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unveiled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use of both premature and mature GM and also identified transcategorization as the specific GM that has relatively stronger predictability of writing quality. The results from current research yield meaningful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writing instruction in Korean EFL contexts.
        5,700원
        21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는잎말이나방족은 나비목 잎말이나방과의 잎말이나방아과에 속하는 그룹이다. 전세계적으로는 1,000여 종 (Brown, 2005)이 기록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41종(Byun et al, 2009)이 보고되어 있다.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구북구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이 알려져 있다. 가는잎말이나방족에 속하는 종들은 유충시기에 기주식물의 줄기나 뿌리에 식입하거나, 종자 또는 과실을 가해하는 습성으로 인해 일부 종들은 중요해충으로도 알려져 있다. 잘 알려진 해충으로는 포도와 인동덩굴 등을 가해하는 버찌가는잎말이나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의 가는 잎말이 나방족의 연구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류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21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추 비가림하우스에서 에어포그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방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에어포그 시스템과 동력분무기를 이용한 관행방제의 약제살포 시간은 동일한 약량으로 살포하였을 때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에어포그 시스템으로 1/2약량을 살포하였을 때는 관행방제 보다 살포시간이 약 50% 줄었다. 약제부착 능력을 감수지로 조사하였을 때, 고추 생육초기와 중기에는 모든 처리에서 약제 부착이 우수 하였지만, 생육후기에는 관행방제의 약제 부착이 에어포그 시스템보다 균일하지 않았다. 처리별 총채벌레 살충률은 관행살포 90.0%, 에어포그 시스템 90.8%, 에어포그 시스템 1/2약량이 83.5% 로 유사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에어포그 시스템은 고추 비가림하우스 내에서 노동시간과 약제 살포량을 줄이면서 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흰등멸구는 매년 해외로부터 비래, 정착한 후 2~3세대를 경과하며 벼의 생육 및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벼의 중요 해충 중 하나이며, 비래해충의 경우 비래 후 세대에 따른 변화 양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방제시기와 방제수단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공시충은 2018년 사육실에서(25±2 ℃, 60±5% RH, L:D=16:8) 누대사육하여 사용하였다. 흰등멸구가 국내에 비래 후 3세대까지 세대증식하면서 피해를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1세대와 3세대 간의 발육과 산란 등을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약충기간은 1세대와 3세대에서 각각 14.5일, 13.6일, 암컷 성충기간은 각각 17.2일, 11.8일로 나타났으며, 우화율은 98.3%, 85.0%로 조사되었 다. 산란기간은 각각 6.8일, 6.0일이었으며 산란수는 47.5마리, 122.6마리로 세대가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표 분석 결과, 순증가율, 내적자연증가율이 각각 5배,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북 영양지역 고추 비가림하우스 재배지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발생조사는 영양읍, 청기면, 일월면을 중심으로 임의 10개 포장을 선정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총채벌레류는 5월 중순, 6월 중순, 7월 상순∼중순, 9월 중순∼9월 하순에 걸쳐 총 4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꽃노랑총채벌레가 84.8%로 우점하였다. 총채벌레 피해과율은 조사연도에 따라 0.8~7.3%로 조사되었다. 담배나방 유충에 의한 과실피해 는 7월 상순, 8월 중순, 9월 중순~9월 하순에 많이 발생하였다. 진딧물류는 5월 중순~5월 하순, 7월 중순∼8월 하순에 걸쳐 연 2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가루이류는 8월 중순~8월 하순, 9월 하순~10월 상순에 걸쳐 연 2회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냈으며, 담배가루이가 98.1%, 온실가루이가 1.9%로 담배가루이가 우점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1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로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미나리총채벌레, 파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고사 리그물총채벌레(Hercinothrips femoralis)가 보고되었다.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와 국화줄기괴저바이러스(CSNV)를 매개, 확산시켜 국화 품질저하, 생산성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한편 고사리그 물총채벌레는 국화과, 장미과, 백합과, 사초과, 앵초과, 협죽도과, 후추과, 두릅나무과, 쐐기풀과, 천남성과, 꿀풀과, 선인장과 등 여러 식물을 가해하는 하는 것으로 국외에서는 이미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되고 있지 않다. 2018년 전북 완주군 이서면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국화 시험온실(무농약)에서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 채벌레가 발견되었다. 해충이 없는 국화에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채벌레를 각각 정착시켜 피해 증상을 비교한 결과, 2종의 총채벌레가 가해한 국화 잎에서 각각 다른 피해 양상이 나타났다.
        21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ilaparvata lugens, brown planthoppers, is one of important pests on rice. Korean N. lugens is migrated from China and causing severe damages on rice in early September in Korea. For identifying biotypes of these N. lugens based on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we completed mitochondrial genome of N. lugens captured in Hadong-gun, Gyoungsang-nam province in Korea. The circular mitogenome of N. lugens is 17,610 bp including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s, and a single large non-coding region of 2,424 bp. The base composition was AT-biased (89.5%). 112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59 insertions and deletions are identified by comparing with Chinese N. lugens. Based on phylogenetic trees together with those of N. lugens captured in China, no clear phylogenetic relationship along with five biotypes, requiring more researches to achieve biotype identification including detailed analysis of sequence variations on mitochondrial genomes and whole genome analysis of N. lugens in near future.
        21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Eugahania Mercet belongs to the family Encyrtidae (Hymenoptera: Chalcidoidea), containing 8 species in the world. They are mostly parasitoids on the nymphs of leafhoppers (Hemiptera). Until now, Eugahania have been barely studied in the world. In this study, the genus Eugahanu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including two new records. A key to the species, and diagnoses and photographs for each species are provided.
        21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eafhopper family Cicadellidae (Hemiptera: Auchenorrhyncha) is plant feeders, with mouthparts adapted for sucking. Almost of the them cause injuries of destruction to plants, including fruit trees and grain crops, and can be vectors of plant diseases. Therefor, Cicadell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in the world. However, their identifications are very difficult because of small size and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their exact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host plants, life cycle and distribution are not clear for most species. So, we provide and integrated biological database that present accurate diagnostic methods and ecological infromation.
        21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를 통해 Dactylioglypha tonica (Meyrick, 1909) 종을 기반으로 Dactylioglypha속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Dactylioglypha속은 잎말이나방과의 애기잎말이나방아과에 속해 있는 그룹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5종이 동구북 구, 동양구 및 호주구 등지에서 보고되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 다. 본 연구에서는 Dactylioglypha속에 대해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D. tonica (Meyrick, 1909)의 외부형태적 특징, 기주식물 및 분포적 특성 등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22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lant bug family Miridae is the largest group in Heteroptera,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groups economically in agriculture and in forestry, because it contains insect pests and predators. Among the subfamilies, Deraeocorinae represents the predatory group including some members which can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This group comprises a total of six tribes in whole regions with their own unique morphology. However, the monophylies and relationships of tribes and genera within this subfamily are not still explored phylogenetically. In this talk,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es of Deraeocorinae are presented based on total 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including monophylies and relationships of each tax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