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1

        306.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단계적 변화론 모형을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적용하여,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 단계를 예측하고, 청소년의 운동행동의 변화 단계에 따른 의사결정 균형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규명하며, 운동행동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간의 관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노원구 소재 6개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671명의 학생들 (남: 425명, 여: 246명; 평균연령: 15.3세)이 청소년들의 운동행동단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인지적, 동기적 변인들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판 운동행동단계 질문지, 의사결정균형 설문지 그리고 자기효능감 질문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671명 청소년 중, 운동단계별로 계획전단계는 117명(17.5%), 계획단계 112명(16.6%), 준비단계 137명(20.4%), 행동단계 189명(28.3%), 그리고 유지단계 116명(17.2%)으로 나타났으며, 54.5%에 해당되는 청소년들이 현재 전혀 운동을 하고 있지 않거나 불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자청소년들은 여자청소년들에 비해 운동의 유지단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반면, 여자청소년들은 계획단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은 운동단계가 진보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그러한 자기효능감의 변이는 각 운동행동단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운동이득요인 및 운동장해요인도 운동행동의 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운동행동의 단계는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요인, 그리고 운동장해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선택한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요인 및 운동장해요인들은 청소년의 운동행동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이전에 얻지 못했던 한국 청소년들의 운동행동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교나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을 위한 더욱 더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운동행동 변화 전략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07.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을 위한 기상재해 경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중부지역 벼 주요 장려품종의 포장 도복저항성 정도를 질소 보비와 다비 조건에서 검토하여 도복발생 상 습지역이나 질소과비 우려지역에서 벼 재배시 내도복성 품종의 선택 기준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다비시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오봉벼, 대진벼, 내풍벼, 농안벼, 일품벼의 5품종, 중 정도인 품종은 대안벼 등 14품종, 약한 품종은 진부벼 등 11품종이었다. 2. 질소다비시 도복정도별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도복정도가 9로 심했던 품종은 간장과 중심고, 도복정도 5에서는 간장, 도복정도 3이하로 도복에 강했던 품종은 간장, 제3절간으로 나타났다. 3.쌀 수량은 질소보비에 대한 다비의 수량지수로 볼 때 조생종은 수량차가 5% 이내로 적었으나, 중생종 및 중만생종은 도복시기 및 도복저항성 정도에 따라 수량차가 크게 나타났다. 4. 이상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중부지역 적응 벼 주요 장려 품종 중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도복발생 상습지역이나 질소 과비 우려지역에 재배함으로서 도복발생을 경감하여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14.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ck-rice farming system is increasingly spread up throughout Korea since 1992. It is discussed the rice yield, rice quality, weed and pest management in the duck-rice weeding system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system. Moreover the optimizing duck population, system management and fertilizer application rate were reported. Energy input and output by duck-rice farming system were carefully compared with those of low input sustainable paddy field and conventional farming paddy field.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ly sound function of duck-rice system, the total nitrogen in paddy soil and paddy water, and nitrogen cycle in paddy rice cultivation system were analysed. Finally the input and output were calculated,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were determined in terms of nitrogen balance, labor input, animal input, renewable energy input, turnover of soil organic matter, energy loss, non-renewable indirect and direct energy input. It was concluded duck-rice weeding system could be recommended in terms of not only environmentally sound, but also farmer"s income. But there are still some research needs for successful adaption of duck-rice farming to investigate to determine the optimal population of duck in rice paddy field unit, release time of duckling, duck management after release, and strategy for duck marketing and duck processing.
        31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괴분석을 통한 종실 성분 함량 측정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근적외분광분석기(NIRS)를 사용하여 강낭콩 종실 및 분말상태로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1. 강낭콩의 100립중은 12.8-45.5g, 조단백 12.2-16.5%, 조지방 1.68-2.08%의 분포를 나타냈다. 2. 시험계통별 조단백 함량은 13.1-14.0% 13개(32.5%), 조지방 함량은 1.8-l.9% 18개(45%)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3. 검량선 작성시 종래의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치와 NIRS 분석치 와의 상관계수는 조단백의 경우 비파괴의 종실이 0.90,분말 0.97이고 조지방의 경우 종실 0.40, 분말 0.92로 종실보다는 분말시료가 검량식의 작성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고, 화학성분으로 볼 때 조지방 검량식 보다는 조단백의 검량식이 유용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작성된 검량식들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미지의 시료로 측정된 NIRS 분석치와 Validation과의 상관계수는 조단백의 경우 종실 0.86, 분말 0.84이었고 조지방은 종실 0.62, 분말 0.92를 나타내어 조단백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16.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was supposed that CSA could be one of the best way to promote the movement of organic agriculture since there is little reliability on the organically grown food by consumer. In the replies submitted to a questionnaire to farmer and consumer, both group responded that the need of development of cultivation technique for organic farming and the permitted substances for organic farming and production. Both of them also re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lectures or division/department for organic agriculture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1) Their response to CSA was so much positive that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the CSA farm as a active CSA farmers or consumers. Based on the evaluation of questionnaire survey, it was suggested to do the utmost efforts that farmer preferentially practice an organic farming, and consumer consciously buy an organic food to protect an ecosystem and environment pollution.
        317.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increasing global concern that intensively synthetic chemical based farming systems accelerated the decline in environmental quality, the sustainability of modern agriculture became the subject of great concern. It is well known that the movement of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CSA) has bee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in USA and Japan. It was supposed that CSA could be one of the best way to promote the movement of organic agriculture since there is little reliability on the organically grown food by consumer. In this paper it was focussed to study the movement of CSA in USA and Europe in order to provide an idea for establishment and movement of CSA in Korea to support the organic agriculture. In a CSA system, the farmer grows food for a group of shareholders who pledge to buy a portion of the farm"s crop that season. This arrangement gives growers up front cash to finance their operation and higher prices for produce, since the middleman has been eliminated. For most shareholder for CSA saving money is a secondary consideration, but fresh safe products and environmentally sound farming system. People become shareholder of CSA since they expect an organic farming which can;① protect the environment, minimize pollution, promote health, ② replenish and maintain long term soil fertility by providing optimal conditions for soil biological activity, ③ maintain diversity within the farming system and its surroundings and protect plant and wildlife habit, ④ recycle materials and resource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within the farm and its surrounding community, ⑤ maintain the integrity of organic food and processed products through each step of the process from planting to consumption, ⑥ develop and adopt new technologies with consideration for their long range social and ecological impact. In all CSAs, the farmer develops a crop plan and a budget, which details costs for a growing season, including fair wages for the farmers. Experienced Information on increasing shareholder retention, the future of CSA, and getting started such as ideas for ongoing marketing, printed materials that set realistic expectations, working members, production, pick up and delivery, setting prices, and receiving feedback were also briefly introduced.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