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3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is a very useful tool widely used for expression of foreign proteins. To use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a recombinant baculovirus must be prepared. The development of the Bac to Bac system has reduced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produce recombinant baculovirus. But, it will take at least two weeks. Further, it takes more time to measure the activity of recombinant baculovir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virus inducible expression system is being studied recently. Although baculovirus is able to rapidly express foreign proteins, it still has a low expression level. Thus,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struct a novel baculovirus inducible expression vector that not only shortens the production time of protein but also can express at a high level. The novel baculovirus inducible expression vector has been evaluated using EGFP and is expected to be a very useful tool for production of various proteins.
        3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irus-like particles (VLPs) are similar to pathogenic viruses, but because they have no nucleic acid, they have excellent safety and immunogenicity and are used as a good vaccine material. However, in the selection of various structural proteins of pathogenic viruses to form VLPs, all expression systems consume a lot of time in common. Among them,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causes additional time consumption to construct the recombinant baculoviru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rapidly determine the structural proteins required for effective VLP production. This study aims at solving this problem by constructing a BmNPV inducible expression platform through the construction of vectors induced by BmNPV. The platform was evaluated for overexpression using EGFP. We also confirmed the formation of virus-like particles through overexpression of canine parvovirus structural proteins.
        3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무나무 묘목은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재식용 묘목류 중에서 수입건수가 상위에 속하는 식물로 지난 10년 동안 수입식물검역 실적은 총 2,993건 이었다. 수입동향 분석 결과 2008년도 수입(434 건)이 가장 많았으며, 수입 실적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2,723 건)이었다. 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 검출건수는 2012년 이후 점차 증가하여 2017년 가장 많은 검출건(165건)을 기록하였다. Succinea sp., Pseudococcus longispinus 등 달팽이류와 깍지벌레류가 자주 검출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운영하는 병해충정보시스템(PIS)을 활용하여 병해충 유입위험이 높은 고무나무 묘목의 최근 10년간 수입동향과 수입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3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드라세나 묘목은 주요 수입 관상용 묘목 중 하나로 지난 10년간 총 4,026건 수입되어 수입 묘목류 중 건수 기준으로 가장 많이 수입된 품목이다. 드라세나의 규제·잠정규제병해충(묘목의 수입식물검역 과정에서 검출되면 처분을 받는 병해충) 검출률은 20.8%로 전체 묘목류의 검출률 7.2% 보다 약 3배 높았다. Pseudococcus longispinus, Lepidosaphes laterochitinosa 등 깍지벌레류 해충이 자주 검출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운영하는 병해충정보시스템(PIS)을 활용하여 병해충 유입위험이 높은 드라세나 묘목의 최근 10년간 수입동향과 수입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3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1996년 WTO/SPS(동식물검역협정)에 따라 검역병해충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해외병해충의 위험으로부 터 자국내 생물자원과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을 분석한 결과 병해충 검출건수는 수입량이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00년 6,233건 → 17년 12,749건). 하지만 식물의 수입 유형에 따라 곡류, 사료류 등 비재식용 식물의 경우 병해충 검출률은 07년 이후 감소하고 있으며(07년 9.8% → 17년 3.3%), 묘목류, 종자류 등 재식용 식물의 경우 11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11년 7.9% → 17년 22.0%) 재식용 식물을 통한 해외 병해충의 유입 위험도가 가증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는 검역본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체 전산시스템인 병해충정보시스템(PIS)을 이용하여 2000년 이후 식물검역과 정에서 발견된 병해충 검출동향과 수입 유형에 따른 검출동향을 비교분석하고, 2016년 대비 2017년 병해충 검출동향을 파악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