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41.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여름철 해수욕장 이용의 다변화로 인해 매년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지만 안전관리 및 구조·구난에 지자체, 해경, 소방방재청, 경찰청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책임과 권한소재의 혼선으로 인한 안전관이의 공백이 우려됨과 동시에 안전관리 및 구조·구난의 주관 부서 선정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의 해상구조 자원봉사단체의 현황을 알아보고, 해 양 선진국의 사례와 조사·비교·분석하여 국내의 수난구호환경에 적합한 민간수난구호 조직(한국민간해양구조단)의 설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42.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유, 화학물 등 위험화물의 해상운송 증가로 인하여 해양오염사고의 개연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방제대책 수립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제적 대응태세의 강화를 목적으로 해양오염 대응태세를 종합 평가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평가모듈을 설계하였 다. 전략대응태세 평가와 현장대응태세 평가를 위한 공통평가지표와 개별지표를 설정하여 방제기관 및 방제지원·협력기관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43.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Hebei Spirit호 기름유출사고 사고 통해서 드러난 해안오염에 대한 방제방안 중 캐나다 SCAT 팀을 통해 소개된 해안오염평가는 미국, 캐나다, 유럽, 호주 등 해양선진국에 의하여 표준화된 평가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해안오염평가를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의 기름유출로 인한 해안 오염을 대비한 해양선진국들의 효율적인 해안방제를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해안에 적합한 방제요소를 제시하 고자 한다.
        4,000원
        44.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현행 방제장비 소요수량 산정방식과 선진해양국의 방식을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재난적 오염사고에 대 비한 해상기름회수용량의 장비별 소용수량을 산정하고 현재 보유량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연안역에서의 최대유출량은 DWT 30만톤 VLCC의 사고로 인한 45,000톤이며, 이 중 해상기름회수용량을 회수하기 위한 유회수기, 회수유저장탱크, 오일붐 소요수량은 각각 22,500톤, 15,000톤, 225,000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값과 현 보유량과 비교하면 유회수기는 약 2,000톤 초과 보유하고 있고, 회수유저장용 량은 약 3,000톤, 오일붐은 약 5,000m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4,000원
        45.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방제능력의 개념과 설정기준을 평가하고, 신개념의 방제능력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와 선진해양국(미국, 캐나다 및 일본)의 관련 시스템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함으로써 방제 효율을 높이기 위해 현행 국가방제능력 대신 새로운 개념인 “지역방제능력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름회수용량을 산정하고자 할 경우, 오일붐, 유회수기 및 회수유임시저장탱크는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고, 이 밖에 오염방제의 보조자재로써 유처리제와 유흡착재 의 최소 비축량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00원
        4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도 1996년 6월에 실시된 CREAMS 항해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Wasaka bay 연안역의 수온역전 현상을 조사하였다. 수온역전현상은 대부분 20m 이천의 상층부에 위치하였으며, 특히 쓰시마난류와 연안수와의 경계역 부분에 형성되었다. 쓰시마난류는 고온·고염분수의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고수온은 경계역 부분에서 수온역전 현상을 초래하여 밀도 역전현상을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반면, 고염분은 밀도를 증가시켜 주는 작용을 하여 수온역전에 따른 밀도역전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4,000원
        4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 6월에 실시된 CREAMS 항해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 해역의 해황을 분석하였다. 1996년은 1990년∼1999년 사이의 다른 해에 비해 동해 남부 해역에 저수온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일본 연안을 따라 이동하는 쓰시마난류의 지류가 더욱더 연안에 근접하여 이동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쓰시마난류의 분포는 수심 200m 이천의 대륙붕 위에 존재하는 core 형태의 고염분수 분포와 지형류의 분포로부터 확인된다. 해수의 안정도 계산결과로부터 고온 고염분수인 쓰시마 난류의 유입은 연안역의 연직 밀도 구조에 영향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수주의 불안정한 상태를 초래하는 요인 중 한가지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4,000원
        48.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ind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greater risk of oil spill at the coastal waters in Korea, some of risk factors were analyzed with historical data of oil spill and marine traffic. As a result, it is characterized that frequency of oil spill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greatest percentage of spill source is fishing boat. It is proposed that the ports of Ulsan, Yeosu, Incheon and Pusan will be designated as primary area of risk as they have a higher risk of oil spills and its response authority is required to maintain appropriate regional response capability for prompt and effective response to a future spill incident. In addition, the regional response equipments at Ulsan are examined under a assumption of a medium size spill and it is found that the use of chemical dispersant can be an alternative when mechanical containment and recovery is not feasible in this area, and the existing response equipments may be appropriate to address that size of spill. However, the response authority is required to maintain more numbers of stronger boom for unsheltered waters and more quantity of concentrate dispersant to disperse all spilled oils on the water, furthermore the response authority should be prepared for a possible future catastrophic spill with sufficient equipments.
        4,600원
        4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위험·유해물질(HNS) 유출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산업 집중도를 지수화하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쓰이는 집중도지수를 활용하여 HNS 사고의 지역별 집중도를 확인하였다. 이는 HNS를 포함한 해양 유출사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HNS 사고 규모 집 중도지수와 HNS 사고 빈도 집중도지수를 수치화하여 하나의 값인 HNS 사고 집중도지수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도출된 지역별 HNS 사고집 중도 지수값를 바탕으로 울산을 HNS 대비 최우선 지역, 여수, 부산, 태안을 HNS 대비 우선지역, 군산, 목포, 완도, 인천, 통영, 평택, 포항을 HNS 대비 필요지역, 그 밖에 해양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동해, 보령, 부안, 서귀포, 속초, 제주, 창원을 HNS 대비 지원지역으로 그룹화하 여 대비측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50.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해양오염관리의 동태적 현상을 파악하고 해양오염 및 관리 유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해양오염 및 관리에 대한 하위 시스템을 분석하고 시스템 구성요소간의 피드백 루프 (Feedback loop)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오염관리의 전체적인 인과지도(Casual map)를 작성하였다. 이 논문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름유출시 초동방제 유인간 시간지연에 따른 피드백 루프 침체에 대한 장비 및 기술개발, 법률적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갈등으로 발생된 부식공동체 확산방지를 위한 협력체 구성 및 신사업 창출을 통한 생계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기름유출의 해양오염관 리를 단순히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방제뿐만 아니라 유출로 인한 지역사회 및 국가차원의 사회적 갈등까지 최소화시켜야할 책무도 포함되 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양오염관리 모델을 통해 기존 방제계획, 매뉴얼 및 대응 프로그램의 개선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시간지연 등의 숨은 유인(Hidden cause)을 확인하고, 광의의 방제활동이 더욱 중요해졌음을 인지하여,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51.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in Korea maritime domain were mentioned and analysed with the static data of crimes relating to maritime security. The counterterrorism and initiatives to reduce the security risk and to minimize the damage are introduced and evaluated. The maritime security strategy and the near term initiatives to enhance the non-military security at Korean sea and ports are proposed in order to response maritime security threats economically, efficiently and safely.
        52.
        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potential of oil spill accident in Busan area is growing with an increase of trade and marine traffic, it become important to provide a realistic and practical response plan to address spilled oil effectively. The authors make a most probable scenario of spill accident to investigate an seasonal applicable response techniqu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mechanical recovery and/or shoreline clean-up operation are required at the eastern shore of Taejongdae in spring and autumn. In summer, since spilled oil moves and contaminates a lot of sensitive areas in Suyeong Bay, a prompt action is required to mechanically contain and recover as much oil at sea surface as possible, at the same time shoreline counter-measures are commenced. In winter with off-shore wind, no action will be required because there is no risk of oil migration to shore. In addition to mechanical recovery and shoreline clean-up, the use of concentrate dispersant can be an primary option especially in spring and autumn as there is less possibilities to contaminate sensitive areas and sufficient deep waters. However, special care is taken to select response options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 at the time of spil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