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

        8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유 또는 주스 종이용기를 재활용하여 화장지를 생산하고 있는 제지회사에서 배출되는 제지폐수를 대상으로 주기적 질소 역세척이 가능한 세라믹 정밀여과 시스템을 운전하였다. 제지폐수 재활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 7개의 채널이 있는 2 종류의 알루미나 분리막이 사용되었다. 질소 역세척 시간을 40초, 막간압력차 1.0kgf/cm2, 역세척 압력 5.0kgf/cm2로 고정하였을 때 0.4mum의 평균기공 크기를 갖고 있는 HC04 알루미나 분리막의 최적 여과시간 간격은 4분으로 1.0mum의 평균기공인 HV10 분리막의 16분보다 짧았다. 여과시간 간격과 역세척 시간을 고정한 상태에서 막간압력차(TMP)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높은 TMP 조건에서는 쉽게 막표면에 케이크가 형성되고 막 내부 구조에도 막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낮은 TMP 조건이 막오염 제어에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TMP는 폐수처리 여과 시스템에서 구동력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TMP 조건에서 가장 많은 총여과부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다채널 세라믹 분리막을 사용한 정밀여과시스템에서 얻은 투과수는 탁도가 낮기 때문에 제지공정에서 재활용 될 수 있다.
        4,000원
        82.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ype 304 stainless steel 시편에 느슨하게 붙어있는 분말에 대한 초음파 제염 거동을 조사하였다. 매질을 물, PFC 및 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PFC 용액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제염계수는 20, 50 및 200으로 증가하였다. 제염계수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를 초음파 매질의 표면장력 및 양으로 하전된 산화물 표면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PFC 용액 내에서 분말로 오염된 평면 시편, 파이프 시편, 틈새 시편 및 용접 시편에 대한 초음파 제염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된 모든 시편에 대해, 대부분의 오염물이 완벽하게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길이가 6cm인 파이프 시편에 대해서는 오염물의 가 제거되었다.
        4,000원
        83.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라늄 변환시설의 라군 슬러지에 함유된 질산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물 첨가 용해를 실시한 뒤, 여과 케이크의 안정화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물 용해에 의해 대부분의 질산염은 고농도 질산염 용액으로 제거되었으므로, 여과 케이크의 열분해는 에서 하나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Muffle furnace를 이용하여 에서 5시간동안 여과 케이크의 열분해를 실시한 결과 라군 1 슬러지에 포함된 U은 의 열분해와 함께 의 형태로 안정화 되었다. 라군 2 열분해 잔류물의 경우에는 열분해 시 생성된 CaO가 냉각과정에서 수분과 반응하여 로 전환되는 것을 TG/DTA 분석과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지만, 처분장에서 대기중 노출이나 지하수의 침출 등에는 안정한 화합물로 알려져 있으므로, 특별한 첨가제의 첨가 없이 단순 열분해 후 처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4.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력연구시설의 핫셀 내 바닥이나 장치표면에 부착된 고방사능분진의 제거를 위해서 PFC제염기술을 적용한다. 고가인 PFC 용액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여과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고 제염종료 후 이차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PFC 제염폐액 내 방사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핫셀 내의 고방사능분진의 오염 특성을 조사했다. 여과 막을 이용한 입자의 제거효율 측면에서 보면 세라믹 , PVDF, PP 막 모두가 95 이상의 높은 여과 성능을 보였다. 기공 크기가 같은 동일 여과 막에서는 입자가 크거나 가하는 압력이 높을수록 좀더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고, 3psi이하에서는 PVDF의 제거효율이 다른 막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플럭스 성능은 PVDF 막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세라믹과 PP 막에서는 다소 낮은 성능을 보였다. PVDF 막은 낮은 압력과 짧은 여과시간으로 최대(한계)플럭스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세라믹 막은 모의입자의 제거 효율은 높지만 다소 낮은 Flux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막 자체의 비싼 가격과 쉽게 부서지는 성질의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무기화합물의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알파방사능 환경에서 H, 가스를 발생하는 고분자 막인 PVDF, PP 막과 비교하여 훨씬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이들 소수성 여과막들의 특성 비교를 바탕으로 세라믹 막을 적용한 PFC 실증 여과장치의 공정도를 살펴보았다.
        4,000원
        86.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active space objects are usually rotating and tumbling as a result of internal or external forces. KOREASAT 1 has been inactive since 2005, and its drift trajectory has been monitored with the optical wide-field patrol network (OWL-Net). However, a quantitative analysis of KOREASAT 1 in regard to the attitude evolution has never been performed. Here, two optical tracking systems were used to acquire raw measurements to analyze the rotation period of two inactive satellites. During the optical campaign in 2013, KOREASAT 1 was observed by a 0.6 m class optical telescope operated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The rotation period of KOREASAT 1 was analyzed with the light curves from the photometry results. The rotation periods of the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 ASTRO-H after break-up were detected by OWL-Net on April 7, 2016. We analyzed the magnitude variation of each satellite by differential photometry and made comparisons with the star catalog. The illumination effect caused by the phase angle between the Sun and the target satellite was corrected with the system tool kit (STK) and two line element (TLE) technique. Finally, we determined the rotation period of two inactive satellites on LEO and 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with light curves from the photometry. The main rotation periods were determined to be 5.2 sec for ASTRO-H and 74 sec for KOREASAT 1.
        87.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veral optical monitoring strategies by a ground-based telescope to protect a 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satellite from collisions with close approaching objects were investigated. Geostationary Transfer Orbit (GTO) objects, Inclined GeoSynchronous Orbit (IGSO) objects, and drifted GEO objects forced by natural perturbations are hazardous to operational GEO satellites regarding issues related to close approaches. The status of these object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ir orbital characteristics in Two-Line Element (TLE) data from the Joint Space Operation Center (JSpOC). We confirmed the conjunction probability with all catalogued objects for the domestic operational GEO satellit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using the Conjunction Analysis Tools by Analytical Graphics, Inc (AGI). The longitudinal drift rates of GeoSynchronous Orbit (GSO) objects were calculated, with an analytic method and they were confirmed using the Systems Tool Kit by AGI. The required monitoring area was determined from the expected drift duration and inclination of the simulated target. The optical monitoring strategy for the target area was analyzed through the orbit determination accuracy. For this purpose, the close approach of Russian satellite Raduga 1-7 to Korean COMS in 2011 was selected.
        88.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p-based cloning is a basic method for identifying the mutated gene in plants. We selected the gametophytic mutant, named as AP-26-09, in activation-tagging pool. Mutant plant showed various kinds of pollen phenotype, such as the different number of nucleus or abnormal shapes. For the map-based gene cloning, we conducted phenotypic analysis of F2 mapping population through the screening of DAPI-stained pollen using fluorescence microscopy. Genomic DNA of F2 plants is prepared from leaves of approximately 1000 plants. In order to define chromosomal region where mutation is located, we designed SSLP markers and performed PCR amplification.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gametophytic mutant and determined the chromosomal location using map-based approach.
        89.
        201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report on a unique case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of the cecum, which presented as a subepithelial tumor. A 62- year-old woman with abdominal pain underwent a colonoscopy, resulting in detection of a subepithelial tumor measuring 2 cm in the cecum. We performed a right hemicolectomy with diagnostic and curative intent;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resected tumor indicated a diagnosis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he patient achieved complete remission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90.
        2013.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AK2 V617F mutation is a common event in chronic myeloproliferative disorders. However, de novo acute myeloid leukemia with JAK2 V617F is rarely encountered. The authors report the case of a 74-year-old male with de novo acute myeloblastic leukemia without maturation (AML M1) and a JAk2 V617F heterozygotic mutation. Despite treatment with standard AML regimens, the patient died 2 months after a diagnosis of acute leukemia. This case of an AML patient with a JAK2 V617F mutation with a poor prognosis suggests that despite its rarity, a JAK2 V617F mutational study be considered for prognostic purposes in AML.
        10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ur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photosynthesis parameters and yield of soybean. To increase dry matter accumulation of seeds, some growth regulators were applied to field grown soybean cv. Sinpaldalkong #2 as determinate type and Muhankong as indeterminate type at dense planting condition. Choline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of stem length, but did not increase seed yield. The number of leaf and total leaf area wer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the treatments, but those increased tremendously in Muhankong treated with ethrel. CO2 assimil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of a single leaf were showed the highest as 17.2 molm-2s-1 and 9.3 μ mmol mol-1 treated with mepiquat in Sinpaldalkong, respectively. The Photosynthetic rate was closely related to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Mepiquat treatment mainly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pods, percent of pod setting, number of seeds per pod in two cultivars and also increased their seed yield as compared with control.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