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

        8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infamous ant species, red imported fire ant (RIFA, Solenopsis invicta) and tropical fire ant (TFA, S. geminata), originated from South America are invading and harming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mong them, RIFA, known as one of the 100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as been discovered in South Korea; in Busan (Gamman CT) in 2017, and subsequently in Busan (Hutchison CT), Pyongtaek, Incheon and Daegu in 2018. With these relentless introduction of RIFA, South Korea is not safe no more from these ants and faces a risk of settlement. Our research goal is tracing the country origin of invasive populations of RIFA and TFA based on molecular epidemiological approach. We are conducting both microsatellite and genome-wide SNP analyses in order to derive a complementary interpretation. These two methodologies are expected to result in improved resolution in population genetics analysis. Nevertheless, this work needs collaboration of many countries belonging to the range of origin and invasion of RIFA and TFA. We will briefly introduce our research project and progress of collaboration research.
        8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responses of Phalaenopsis Queen Beer ‘Mantefon’ orchid were determined in plants exposed to variabl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s at 2-, 24-, and 36-weeks age (i.e., corresponding to juvenile, young, and mature vegetative growth stages, respectively). Plants were grown at 400 (control), 800, or 1,600 μmol・mol-1 CO2 for 6 hours during the nighttime for 32 weeks. Phalaenopsis ‘Mantefon’ in 2- and 24-week-old plants grown at 1,600 μmol・mol-1 CO2 had increased leaf number and net CO2 uptake compared with the plants grown at 400 μmol・mol-1 CO2. In 36-week-old of Phalaenopsis ‘Mantefon’, leaf number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plant grown at 800 and 1,600 μmol・mol-1 conditions compared with plants grown at 400 μmol・mol-1 CO2. Leaves that emerged after the start of the CO2 treatment were initially longer in the plants grown at 1,600 μmol・mol-1 CO2 than at 400 μmol·mol-1 C O2, but the final leaf length was shortest in the plants grown at 1,600 μmol・mol-1 CO2 condition. Plants showed crassulancean acid metabolism characteristic of nighttime CO2 uptake regardless plant growth stages. We found that growers may be able to promote leaf growth with increasing leaf number and reducing time to leaf initiation in the 36-week-old (i.e., mature stage) plants with 800 – 1,600 μmol·mol-1 CO2 and 2- and 24-week-old (i.e., juvenile and young stages) plants with 1,600 μmol·mol-1 C O2 for Phalaenopsis ‘Mantefon’.
        4,000원
        8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balance and muscle strength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 in adults. Thirty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ominant hands of the target. The subject's muscle strength of legs was measured with Nicholas MMT, and the balance was measured with BIO-Rescue. We compared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 indicated no statistical difference 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etting the effective treatment direction and treatment level, and in controlling posture, balance and motor function.
        4,000원
        8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ate, there are no protocols optimized to the effective separation of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from testicular cells derived from mouse testes, thus hindering studies based on mouse SSC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most efficient purification method for the isolation of SSCs from mouse testes among previously described techniques. Isolation of SSCs from testicular cells derived from mouse testes was conducted using four different techniques: differential plating (DP), 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 (MACS) post-DP, MACS, and positive and negative selection double MACS. DP was performed for 1, 2, 4, 8, or 16 h, and MACS was performed using EpCAM (MACSEpCAM), Thy1 (MACSThy1), or GFR α1 (MACSGFRα1) antibodie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each method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cells that stained positively for alkaline phosphatase. DP for 8 h, MACSThy1 post-DP for 8 h, MACSGFRα1, positive selection double MACSGFRα1/EpCAM, and negative selection double MACSGFRα1/α-SMA were identified as the optimal protocols for isolation of SSCs from mouse testicular cells. Comparison of the purification efficiencies of the optimized isolation protocols showed that, numerically, the highest purification efficiency was obtained using MACSGFRα1. Overall, our results indicate that MACSGFRα1 is an appropriate purification technique for the isolation of SSCs from mouse testicular cells.
        4,000원
        8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모바일 게임과 게임하기의 변화를 통합적으로 살피기 위해 모바일 게임의 시공간적 특성을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크로노토프(chronotope) 개념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에서 재현되는 시간과 공간 사이의 내적 연관을 지칭하는 개념인 크로노토프를 바탕으로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시공간 경험과 모바일 게임 텍스트의 재구성간의 내적 연관을 살펴보았 다. 모바일 게임은 플레이어라는 존재 기반의 혼종적 플랫폼을 통해 게임하기의 행위를 일상의 시 공간과 중첩시키면서 플레이어의 의지를 바탕으로 지금-여기의 세계를 구축한다. 플레이어를 플랫폼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의 크로노토프는 가상세계에 접속하는 것이 아닌, 지금-여기라는 현재의 공 간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모바일 게임의 크로노토프 재현 양상을 역할수행 게임과 위치기반 게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에서는 자동 전투 시스템을 중심으로 플레이어가 느슨한 거리감을 유지면서 서사적이고 관계적인 경험이 약화된 탈역사적 크로노 토프가 나타난다. 위치기반 게임에서는 가상세계와 실제세계의 중첩을 통해 유희적 의미를 발생시키는 플레이어가 주도하는 생성의 크로노토프가 나타난다.
        4,000원
        87.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croenvironments surrounded with various extracellular matrix (ECM) components can decide specifically the fate of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and integrin heterodimers recognizing directly ECM protei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nsporting ECM-derived signals into cytoplasm, resulting in inducing a variety of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cell attachment,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o date, studies on type of integrin heterodimers expressed functionally on the undifferentiated SSCs derived from mouse with hybrid strain remain unclear. Therefore, we tried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what kind of integrin heterodimers are expressed transcriptionally, translationally and functionally in the SSCs derived from testis of hybrid (B6CBAF1) mouse. For these, magnetic activated cell sorting (MACS) using Thy1 antibody was used for isolating SSCs from testis, and real-time PCR or fluorescence immunoassay was conducted for measuring transcriptional or translational level of integrin α and β subunits in the isolated SSCs. Subsequently, antibody inhibition assay was conducted for confirming functionality of presumed integrin heterodimers. As the results, transcriptional levels of genes encoding total 25 integrin subunits were quantified, 7 integrin α (α4, α6, α7, α9, αV, αL and αE) and 2 integrin β (β1 and β5) subunit gene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compared to the other integrin subunit genes. In contrast, integrin α3, α5, α10 and α11, and integrin β2, β3, β4 and β7 were weakly transcribed. When translational levels of the integrin α subunits showing high transcription level (α4, α6, α7, α9, αV, αL and αE) were measured, significantly strong translational up-regulation of integrin α6, α7, α9, αV and αL subunit genes were detected, whereas integrin α4 and αE subunit genes were weakly. In case of integrin β subunit, β1 evaluated more expression than β5. Based on these results, we speculated that the undifferentiated SSCs derived from B6CBAF1 mouse might express integrin α4β 1, α6β1, α7β1, α9β1, αVβ1 or αVβ5 on plasma membrane. Subsequently, the hybrid strain SSC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dhesion to fibronectin, laminin, tenascine-C and vitronectin and functional blocking of integrin α4β1, α6β1, α9β1, and αVβ1 or αVβ5 in SSCs significantly inhibited attachment to fibronectin, laminin, tenascin-C and vitronectin, respectively. Accordingly, we could identify that the hybrid (B6CBAF1) mouse-derived SSCs had integrin α4β1, α6β1, α9β1, αVβ1 or αVβ5 on plasma membrane. Moreover, this informa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constructing non-cellular niche supporting self-renewal of SSCs in the future.
        88.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s well known as a suppressor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 could be induced by a various extracellular signals including cytokines, hormones, DNA damage. Up to date, although the role of ATF3 have been studied, the function of ATF3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is still not clear yet. Our study showed that expression level of ATF3 could be incresed by tunicamycin which is ER stress inducer in preosteoblasts. BMPs, which are secreted by osteoblasts, can be important regulators in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e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ATF3 is a negative regulator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C3T3-E1 cells. In this study, we verified that BMP2-stimulat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could be inhibited by over-expressed ATF3 through regulating alkaline phosphatase (ALP) expression and activation.
        9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rmal cracking (also called low-temperature cracking) is a serious stress for asphalt pavement, especially in eastern South Korea, the northern USA, and Canada. Thermal cracking occurs when the level of thermal stress exceeds the corresponding level of low temperature strength of the given asphalt materials. Therefore, computation of thermal stress is a key factor for understanding, quantifying, and evaluating the level of low-temperature cracking resistance of asphalt pavement. In this paper, two different approaches for computing thermal stress on asphalt binder were introduced: Hopkins and Hamming’s algorithm (1967) and the application of a simple power-law function. All the computed results were compared visually; then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METHODS: Thermal stress of the tested asphalt binder was computed based on the methodology introduced in previous literatures related to viscoelastic theory. To perform the numerical analysis, MATLABTM 2D matrix-correlation and Microsoft Excel visual basic code were developed and used for the function fitting and value-minimization processes, respectively. RESULTS : Different results from thermal stress were observed with application of different computation approaches. This variation of the data trends could be recognized not only visually but also statistically.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se two different computation approaches can successfully provide upper and lower limits (i.e. boundaries) for thermal stress prediction of a given asphalt binder. Based on these findings, more reliable and reasonable thermal stress results could be provided and finally, better pavement performance predictions could also be expected.
        4,000원
        9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cursions of red imported fire ant (RIFA), Solenopsis invicta into Korea have been increasing. After a first interception of a colony of S. invicta on Gamman pier, Pusan port while intensive surveillance by Animal &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in September 2017, three more RIFA colonies have been found in sea port piers of Pyeongtek, Incheon and Pusan cities. The social forms and mitochondrial DNA haplotypes of the intercepted RIFA colonies were analysed by allelic discrimination assay (peptide nucleic acid probe based RT-PCR) of Gp-9 gene and mt-DNA fragment of 768 bp, which is part of the Cytochrome oxidaseⅠ gene. The colony on Gamman pier, intercepted in Sep. 2017 was previously reported as a haplotype 5 (H5) of mitochondrial DNA and a social form of polygyne. The colony on Hutchison pier of Pusan port, intercepted in June 2018 were confirmed as a H22 haplotype and a monogyne. Those different social forms show different origins of each colonies. Those on piers of Pyeongtek and Incheon ports, also found in 2018 were confirmed samely as H22 and monogyne. However, it could be putatively assumed that those two colonies were differently introduced via different container cargoes, considering those colonies were found in container yards of distantly located different sea ports. More genetic variation analyses using diverse sets of molecular markers such as microsatellites, genome-wid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etc. in nuclear gens are being proceeded for more exact introduction routes (origins).
        9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드펠렛은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등으로 사용되며 특히 화력발전소에서 석탄 대용으로 수입량이 급증하여 연간 약 2,400만톤 가량 수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드펠렛 검역훈증제로 기존에는 메틸브로마이드(이하 MB)가 최근까지 사용되어져 왔으나, MB의 높은 흡착률과 우드펠렛의 과도한 수용비로 인해 최종가스농도 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재투약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해 문제가 되어져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는 올해 초 MB와 포스핀을 병행으로 처리하는 방식의 소독처리기준을 신설하였다. 새로운 소독처리기준이 설정됨에 따라 배기시 안전한 배기시간 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병행처리 후 수착과 탈착되는 가스농도를 조사하였다. 실내 훈증상에 우드펠렛을 채우고 약제 처리한 결과 각 훈증제의 TLV(Threshold Limit Value)-TWA(Time Weighted Average) 기준이하로 농도가 감소되는 배기시간은 25℃일 때 MB는 120시간, 포스핀은 6시간으로 측정되었고 15℃일 때 MB는 186시간, 포스핀은 19시간으로 측정되었다.
        9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붉은불개미는 세계 100대 침입외래 해충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관리 해충으로 1996년도에 지정되었다. 2017년 9월28일 부산항 감만 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발견된 후, 2018년에 부산항, 평택항 과 인천항에서 발견이 되었고, 9월18일에 대구의 아파트 공사장에서 내륙에서는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다. 대구에서 발견된 붉은불개미도 아파트 건설을 위하여 중국에서 수입한 석재에 혼합되어 수입된 토양과 식물체와 같이 혼입된 것으로 추측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붉은불개미가 번식을 하여 토착화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현재까지 붉은불개미에 대한 종 판명은 전문가에 의한 형태적인 분류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붉은불개미에 대한 확증을 위해서는 채집된 개체를 검역기관으로 이송하여 분자진단을 실시해야 하므로, 최소 이틀의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붉은불개미 진단 키트가 해외에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낮은 민감도로 최소 3~5개의 충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진단키트가 가지는 문제점은 이를 대신할 새로운 키트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신속한 붉은불개미의 검역현장에서 진단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우리는 붉은불개미의 복부에서 발현되는 유전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그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진행과 결과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 검역본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9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인구의 고령화 및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농업 생산 부분은 기계화 및 자동화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과수 재배 작물 중 하나인 사과는 연간 10회 이상의 병해충 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작업의 노력과 방제 비용, 작업자의 약제 노출 등을 줄이고 병해충 방제 효율을 높이는 방제 작업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과원 미세 분무 약제 살포 자동화 설비 구축을 위해 사과 과수원 내 미세 분무 살포 시스템을 설치하고 국·내외 산 노즐별 사과 잎의 농약 부착 정도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노즐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외 산 노즐별 사과 잎의 농약 부착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의 앞면 보다 뒷면의 농약 부착 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9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3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외래종인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은 2018년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양봉을 포기하는 농가가 속출할 정도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말벌류의 방제는 유인 포획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유인 포획기는 당 성분의 섭식 유인제에 1차 유인 포획된 말벌이 알람페로몬을 발산하면서 2차 유인을 여기하여 포획력을 극대화시키는 원리이다. 그러나 등검은말벌은 개체군 성장을 위해 단백질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당성분의 휘발성 물질에 의존하는 유인제를 탑재한 기존 포획기만으로는 충분한 등검은말벌 개체 수 감소 및 방제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등검은말벌 포획율을 향상시키고 말벌 피해로 인한 꿀벌 개체군 보호를 위하여 꿀벌통 일체형의 포획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꿀벌 사냥 후 말벌집으로 회귀하는 습성, 최초 꿀벌 포획에 성공한 양봉장으로 회귀 후 지속적으로 사냥하는 습성, 어두운 곳에 있을 때 밝은 쪽을 선호하는 습성 등 다양한 생태 특성을 반영하여 시스템을 고안되었다. 즉, 최초 사냥성공 시 등검은말벌을 포획함으로 동일 개체에 의한 반복적 피해를 방지하는 새로운 방식의 포획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포획시스템은 양봉 농가의 가장 큰 피해 요인인 말벌 사냥에 의한 꿀벌 개체수 감소를 방지함으로서 양봉 산업의 유지 및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9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메뚜기는 분류학적으로 메뚜기목(Orthoptera), 메뚜기과(Acrid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예로부터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채집하여 튀기거나 볶음요리 로 이용해 왔다. 벼메뚜기는 갈색거저리, 쌍별귀뚜라미 등과 함께 식품공전에 등록되어 있으나 1년 1세대로 가을철에 채집하여 이용하는 실정으로 공급확대에 한계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벼메뚜기를 사육하고자 하는 농가와 다양한 용도로 가공을 통해 이용하려는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연중사육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대량사육하는 농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벼메뚜기의 연중대량사육기술 뿐만 아니라 인공사료 및 자동화 사육시설 개발에 따른 생산비 절감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벼메뚜기의 먹이로는 여름작물로 옥수수, 수단그래스, 겨울작물로 밀, 보리 등의 볏과작물이 있으며 많은 양의 생엽과 발육에 적합한 작물의 선발 및 볏과작물의 통곡실 가루를 이용한 인공사료의 개발로 먹이공급 부족 시 15~20일 급여 가능하며, 벼메뚜기 사육시설로 단독형, 연결형, 절충형 등의 사육시설을 개발하여 연결형 사육시설의 수확량과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예취 급이 노동력이 단독형의 16% 소요되었다.
        9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sticide application in agriculture provides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protection from disease, prevention of harmful insects, and increased crop yields. However, accurate toxicological tests and risk assessm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many related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pesticide use. In this review, we discuss and analyze residual pesticides contained in livestock feed in Korea. A pesticide residue tolerance standard for livestock feed has not been precisely established; so, risk assessments are required to ensure safety. Standards and approaches for animal criteria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residual pesticides are discussed and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related to animal product safety in Korea. The safety of livestock feed containing pesticides is assessed to establish maximum residue limits relative to pesticides.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in milk, muscle, brain, and fat was performed with a livestock residue test and safety evaluation of the detected pesticide was performed. Efficacy of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lean-up of feed was verified, and suit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to establish if they are effective, rapid, and safe. This review discussed extensively how pesticide residue tolerance in livestock feed and hazard evaluation may be applied in future studies.
        4,000원
        9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에 재배된 바 없었던 암대극을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하고자, 절화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7년 3월과 4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암대극을 채취한 후, 수분흡수, 절화수명, 노화 과정 등 절화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sucrose 농도, 절화길이, pH 농도, 저장온도에 따른 절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Phyto-garden system(12h photoperiod, 25℃, 70% RH)과 실온(23℃, 44% RH)에서 수행하였고 2~3일 간격으로 수분흡수량, 생체중, 절화수명을 측정하였다. 실험 환경에 따른 연구에서 실온(14.4일) 보다 phyto-garden system(42.4일)의 절화 수명이 약 3배 더 길었고, 절화길이에 따른 연구에서는 절화수명이 20cm, 15.2일, 40cm, 17.4일로 나타났다. Sucrose 농도에 따른 연구에서는 처리에 따른 절화수명 증진 효과는 없었고, pH에 따른 연구의 절화수명은 pH 5, 15.6일, pH 6, 13.4일, pH 7, 13.1일, 증류수, 14.8일이었다. 저장온도에 따른 실험에서, 절화수명은 4℃, 83일, 10℃, 41.2일, 15℃, 35.5 일, 20℃, 17.4일, 실온, 14.4일이었는데, 온도가 감소할수록 절화수명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암대극은 비교적 광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과 절화길이가 길고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수명이 오래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은 우리나라 제주도 및 남부 해안가 암석지에서 자생하는 대극과(Euphorbiaceae)의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등잔모양꽃차례가 황록색으로 3월부터 5월까지 긴 기간 동안 개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암대극을 재배화하고자 우선적으로 제주도의 자생지 환경과 개체군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전역의 해안을 따라서 암대극 개체의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40여 지점에 걸쳐 약 14,817개체가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제주도 본섬의 동쪽에 위치한 우도에 1,075개체(전체의 7.3%), 북서쪽에 위치한 비양도에 952개체(6.4%), 남쪽에 위치한 가파도에 589개체(4.0%)가 조사되었다. 암대극은 주로 제주도 본섬 남동부 해안가 암석지대에 집중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파도, 우도, 비양도의 경우에도 섬 동쪽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었다. 암대극의 생육은 자생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장, 줄기 길이, 줄기 직경은 꽃 크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든 지역에서 꽃이 피는 시기는 3월 말로 비슷하게 개화가 시작되었고, 6월 초에는 대부분의 꽃에서 종자가 성숙하여 탈리되었다. 암대극의 주변 식생은 갯개미자리, 돌가시나무, 순비기나무, 갯강활 등 30여 종이 분포되어 있었고, 초본이 80%를 차지하는 데에 반해, 목본은 20%로서 초본식물이 주를 이루었다. 토양의 pH는 8.3~9.4의 범위에 있었으며, 염분 농도는 0.003~0.017%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은 중문에서 1.9%, 가파도에서 1.4%, 표선면에서 1.0%로 나타났고, CEC는 가파도에서 10.7cmol+/kg, 표선면에서 5.6cmol+/kg, 중문 지역에서 1.3cmol+/kg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중문, 가파도, 표선면에서 각각 0.47dS/m, 0.19dS/m, 0.16dS/m으로 나타났고, Cl-은 57.45mg/kg, 63.01mg/kg, 8.12mg/kg으로 나타났다. 중문에서 유효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