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3

        101.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동온실내 작물의 생체정보와 실내외 환경요인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복합환경제어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원예연구소에 설치하여 작동이 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복합환경제어가 될 수 있도록 작물에 대한 온실의 환경 및 생체정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드웨어는 각 기능별로 완전한 독립구조로 된 모듈형태로 구성이 되며, 각 모듈이 슬롯형태로 제작되어 수리 및 수정이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2 PC에서 통신을 통하여 시스템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 입출력 단자의 기능 및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블록 사이에도 통신이 가능하여 유동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다. 3 환경제어 로직은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던 타이머를 이용한 작동기기별로의 제어가 아닌 온실전체의 온도와 습도를 위주로 하여 시퀀스 제어를 하도록 구성하였다.
        4,000원
        103.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의 유묘기 저온처리하에 나타나는 chlorosis현상의 유전양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 21 공시품종 유묘기 저온 ()처리에서 chlorosis가 나타나는 품종은 통일형인 "밀양23호"와 인디카형인 "IR 36", "Dular"로 3품종이었고, 모든 자포니카형 품종에서는 chlorosis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온처리하의 엽록소 함량 감소는 품종군과 재배종간에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Dular와 Toyohatamochi가 교배된 집단에서 저온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제 3엽의 chlorosis 현상에 대한 분리비는 정상 개체와 chlorosis 개체가 3 : 1의 이론적 분리비 적합하였다. 이결과로 벼의 유묘기 chlorosis의 유전은 단순열성 유전자에 의해 지배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12.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약(芍藥)의 약(葯)으로부터 분리된 화분소포자(花粉小胞子)를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 배양하였을때 직접 배(胚)발생 과정을 거쳐서 소포자 유래의 배(胚)가 형성되었고, 1mg/l의 PAA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화분소포자 유래의 캘러스가 형성 되었으며 이들 캘러스를 생장조절제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배양 7주 후에 배(胚)가 형성되었다.
        4,000원
        114.
        199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측으로 배향된 YBa2Cu3O7-δ 고온 초전도 박막을 LaAIO3(100)단결정 기판에 이중 타게트 off-axis rf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하였다. 박막은 기판온도(Ts)590˚C와 680˚C사이에서 단일공정으로 증착하는 one-step방법과, 590˚C의 저온에서 a-축으로 배향된 YBCO박막(두께-30nm)을 면저 만들어 틀로 작용시킨 후 그 틀위에 나머지 부분을 기판온도를 승온하면서 증착하는 방법인 two-step방법 등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증착시켰다. one-step방법에서는 Ts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00 ℓ)피크는 증가하였다. Two-step방법으로 증착한 박막은 증착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h00)피크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박막의 미세구조는 a-축, c- 축 배향성이 혼재하여 핀홀과 같은 결함들이 생성되었다. 모든 경우 Ts가 감소함에 따라 a-축 배향성은 우세하였으나 전기적 특성은 저하되었고, 긴 전이온도 폭을 가졌다.
        4,000원
        118.
        198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ll fescue의 밀도변화에 미치는 토양경화는 공극율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토양경화에 따라서 토양경도와 용적중은 증가되었다. (Table 1). 2. 10kg 처리구(토양경도 2.5kg/ cm3)의 밀도가 타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Table 2, Fig. 1). 3. 토양공성율과 밀도와는 상관계수가 0.9804로써 1%수준의 정상란이 인정되었다. 4. 경화된 토양에서는 공성율이 37.5% 이상일 때 높은 밀도
        3,000원
        119.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icroorganism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naged soil which applied rye (Secale cereal L.) as green manure for 25 years, were determin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soil showed high level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2O5, while the level of exchangeable cation was low. The analysis of dehydrogenase activity and carbon source utilization indicated that the values in on organic soi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t suggested that the microorganism community of organic soil had high microorganism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In addition, when the 16S rRNA genetargeted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lass of bacterial community, the class level of bacterial taxon composition on organic soil showed higher portion of Sphingobacteriia, Acidobacteriia, Gammaproteobacteria, Solibacteres and Planctomycetia. By base on the results of various reports in which organic managed soil had high portion of Acidobacteriia and Planctomycetia, the characteristic of taxon composition in organic soil, which showed the high percentages of Ktedonobacteria, Sphingobacteriia, Acidobacteriia and Gammaproteobacteria, was 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of rye as a green manure for the long term. However, further researches were needed because the crop effect wa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120.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3차원 영상분석과 지면반력산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다운스윙시 전후축, 좌우축, 수직축에 발생하는 발목, 무릎, 고관절의 하지 관절모멘트의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드라이버 스윙 시 하지관절의 효율적인 움직임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드라이버 스윙 동작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골프선수 3명을 대상으로 3D-모션캡쳐시스템 및 지면반력 장비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스윙 시 하지 관절모멘트를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후축(X축)기준으로, 왼발의 경우 꾸준히 발목의 내번모멘트가 작용하고, 클럽수평이후 부터는 무릎관절의 외전모멘트가 발현되며, 허벅지의 외측회전으로 인한 고관절의 회외모멘트가 발현되었다. 오른발의 경우 발목에는 클럽수평이전에는 외번모멘트가 작용하다 클럽수평이후에는 내번모멘트가 작용하였다. 클럽수직이후부터는 무릎관절의 내전모멘트가 발현되며, 고관절의 내 측회전모멘트가 발현되었다. 둘째, 좌우축(Y축)기준으로, 왼발의 경우 추진력을 얻기 위한 동작으로 발목의 저측굴곡모멘트가 작용하고, 임팩트이후부터는 무릎의 신전모멘트가 발현되며, 고관절의 신전모멘트는 클럽수평 이후에 발현되었다. 오른발의 경우 왼발과 함께 발목의 저측굴곡모멘트가 작용하고, 무릎관절과 고관절에서는 강력한 신전모멘트가 발현되어 임팩트를 완성하고, 팔로스루 단계에 들어서면 안정 된 피니쉬자세를 위한 굴곡모멘트가 발현되었다. 셋째, 수직축(Z축)기준으로, 왼발의 경우 클럽수평이후에 발목의 외전모멘트, 무릎의 회내모멘트, 고관절의 회외모멘트가 발현되었다. 오른발의 경우 발목은 외전모멘트, 무릎은 회내모멘트, 고관절은 회내모멘트가 발현되었으며, 이후 무릎은 임팩트이후에 회외모멘트, 고관절은 팔로스루수 평이후에 회외모멘트가 발현되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