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6

        16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에서 1978년부터 1992년까지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 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5 계통을 집단 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이 수행되었고, 2009년부터2011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성 시험으로 천안, 평창, 진주 및 제주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2011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28호를 신품종 “온누리”로 명명하였다. 온누리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누리의 월동 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담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중간이며, 상부절간장이 길고 풍엽성이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16일로 표준품종인 암바 보다 5일이 빨랐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0 cm로서 암바 보다 5cm 길었다. 내습성과 내병성은 온누리가 암바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온누리가 암바 보다 강한 편 이었다. 온누리의 ha당 건물수량은 14,775 kg으로 암바 보다18% 많았고, 특히 제주지역에서 증수하였다. 온누리의 사료가치는 암바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온누리는 다수성인 중생종 계통으로, 특히 습해 및 내병성에강하고, 건물 생산성이 많은 품종으로 초지 및 양질 조사료 생산을 위한 우수한 품종이다.
        3,000원
        16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oduce Hongkuk-ju,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ongkuk (Monascus red koji) by Monascus anka KCTC 6121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cultur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enzyme (α-amylase and glucoamylase) and pigment (yellow and red) from this strain on solid culture (steamed rice)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of α-amylase and glucoamylase reached the highest for 9 days and 8 days, respectively. Since then, the productions decreased slightly. The production of yellow and red pigments reached the highest for 8 days, decreasing slightly soon after. The optimal content of the initial moisture equally presented 30% in the enzyme and pigment production. After that, the enzyme production decreased slowly, whereas pigment production decreased sharply. The optimal temperature of the culture also showed 30℃ in the production of enzyme and pigment.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inoculum size in enzyme and pigment production was 10% and 20%, respectively.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the production of monacolin K and citrinin was 74.35 ㎎/㎏ and 5 ㎎/㎏ for 12 days, respectively.
        4,000원
        17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 시험포장 (해발 200 m)에서 2007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영년생 화본과 목초인버뮤다그라스 “Common”, “제주 자생형 (Ecotype)”품종과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품종을 2007년 4월 22일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일은 5월 8일로 파종 후 16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기는 버뮤다그라스 Common은 5월 28일, 바이하그라스 Tifton 9은 7월 4일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3년간 평균 건물수량은Common이 16,749 kg/ha으로 Ecotype 보다 다소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에 있어서는Tifton 9이 23,695 kg/ha으로 Argentine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Ecotype이 1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27.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 (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5.48%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vitro 건물소화율은 각각 70.90%, 70.44%로 두초종이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하여 여름철조사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어 말의 제상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방목용 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study the structure of the Daegyupyo (大圭表, Large Gnomon)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 Gyupyo (圭表, Gnomon that is Guibiao as pronounced in Chinese) is composed of a Pyo (表, Biao as pronounced in Chinese) making a shadow and a Gyu (圭, Gui as pronounced in Chinese) measuring its length. It is known that the Daegyupyo with the 40-feet height was constructed between the sixteenth to seventeenth year of the King Sejong reign (1444 - 1445) on the basis of the record of Yuanshi (元史,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By analyzing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Joseonwangjosillok (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uanshi, and Jegaryeoksangjip (諸家曆象集, a work written by Sunji Lee), we found a possibility that the Ji (池, a pond) on the Gyu was located in the north side of the Pyo. This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at in previous studies, but is in a good agreement with that of the 40-feet Guibiao remaining in Dengfeng (登封) of China. Regarding to the Hoengyang (橫梁, cross-bar), we suggest that it was set up by double 5-feet supporting arms apart from the north tip of the Pyo in the radial direction. The 3:4:5 ratio in a rectangular triangle was used to place the Heongyang on the top of the Pyo at a distance of 4-feet (3-feet) in the vertical (horizontal) direction. We also discuss the structural problem when the Hoengyang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top of the Pyo by supporting arms.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restoring the Daegyupyo of the Joseon dynas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