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民主主義의 핵심은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기록들을 살펴보면, 古代 中 國의 태평성대에는 백성이 지도자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았고, 지도자는 또 백성의 마 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다름 아닌 현대 정치에 있어서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지도자와 백성간의 진정한 소통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 다. 그런데 지도자와 백성이 서로 소통하는 국면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연 누가 먼저 나서야 할 것인가? 민주주의의 핵심은 나라의 주인인 백성이라는 뜻이고, 민주주의의 이념을 이행하 기 위해서는 누구보다도 지도자가 그러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동양 전통의 사상들 이 이구동성으로 率先垂範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孔子는 지도자의 솔선수 범 이외에 또 하나의 덕목을 요구하고 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常의 변치 않고 初志一貫하 는 태도이다. 그 이유는 비록 지도자가 솔선수범하여 태평성대를 이루더라도, 초지일관의 태 도를 지니지 못하면, 그 태평성대의 국면은 오래갈 수 없기 때문이다.
        4,300원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修辭(수사)의 사전적 의미는 修辭가 文彩(문채: figure)의 분류 기준이 됨을 뜻하므로, 사실 상 修辭의 범위를 문법학적으로 제한함을 뜻한다. 그런데 孔子(공자)는 修辭에 대해서 대단히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고 나아가 언어적인 측면보다 실천의 측면을 더욱 강조했으므로, 사전 적 의미로서의 修辭 개념에 전면적으로 대치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左傳(좌전)에서 공 자는 오히려 말을 하지 않으면 그 뜻을 드러내지 못한다고 강조하며, 언어표현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修辭學(수사학)에 있어서 ‘修辭’는 “修辭立其誠(수사입기성)”이란 구절에 기 인하고, 이는 “말을 닦음에 그 성실함을 세운다.”는 것이니, 이는 그간 인지되어온 修辭의 사 전적 의미와는 상당한 괴리감이 있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修辭의 어원과 그 의미 나아가 修辭가 활용된 空間(공간)의 유형에 대해서까지 섭렵하기로 한다.
        4,800원
        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품과 본인의 뜻이 완전하게 부합되는 경우는 引詩 본연의 존재의의이자 주된 목적이라 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引詩의 목적이 자신의 말에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논리적 인 측면이나 이해도 측면에서도 모두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論語』에서 孔子와 그의 제자들은 자신의 뜻을 보다 명확하게 피력하기 위하여, 다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도 있지 만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응용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전혀 맥락이 상통하지 않는 즉 앞뒤가 서로 통하지 않는 斷章取義나 牽强附會의 방법까지도 쓰고 있다. 여기에 더욱 더 이해할 수 없는 것은 ,공자는 그러한 제자의 모습을 보고 극찬을 아끼 지 않는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論語』의 引詩 용례들을 먼 저 살펴보고, 그 본연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나아가 引詩 용례와 중국 고대의 수사학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4,900원
        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笔者在曾经写过的一篇文章「用以修辞法接近于道德经圣人之定义」,得出了一些结论:所谓的圣人主要指大同社会的领导者-三皇五帝。孔子在论语中谈到作为领导人该具有些什么样的形象时,经常提到了君子:孔子在论语里提到君子一共有107次。因此,在这里我们有必要探讨一些问题:一,对孔子来说君子有着什么样的含义?二,孔子所追求的是什么样的社会,何必那么强调了君子?三,圣人与君子之间有何差别?笔者着眼于这几点,以论语的与君子有关的句子为主,要进行分析并试图得出些比较具体的结论。
        5,4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一般來說,老子被稱之爲道家思想之始祖,也通常與莊子並列爲老莊思 想的代表人物。老子思想之樞紐可說爲自然無爲,而這些自然無爲的含義被 認爲是離開混亂的世俗而歸於自然,甚至被擴大到通過調和陰陽道理,最終 追求長壽的黃老思想。那麽與其他諸子學一同,老子唯一著作≪道德經≫的 著述意圖也算屬於“理解”和“說服”的修辭學範疇。因爲老子通過≪道德經 ≫,打算將自己的價值觀宣傳給別人的關系。因此,本人從修辭學的觀點出 發試圖接近≪道德經≫,此過程中卻發現了至今在韓國及中國出版的譯本與 ≪道德經≫的真意向背而馳。本人根據王弼的版本重新開始翻譯了≪道德經 ≫,尤其著重於第38章的內容集中分析了。現在我們具體探討一下,到底老子通過≪道德經≫想要說明的內容所在。
        5,800원
        6.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詩經≫之“興”有两方面的意义。一方面是“作诗方面”的“興”,另一方 面是“用诗方面”的“興”。自≪毛詩傳≫至≪孔疏≫,虽然它门都是从“作诗 方面”的“興”观点开始接近于≪詩經≫作品,但时代和思维界限的关系,其 研究的结果却无不归于“用诗方面”的“興”观点。鄭衆,身为汉代经学家,他 提出了“诗文诸举草、木、鸟、兽以见意者,皆興辞也”的说法。而他的这些 说法也是在“用诗方面”的“興”观点支配当时≪詩經≫论坛的情况之下出现 的。本文章通过≪毛詩傳≫、≪鄭箋≫以及≪孔疏≫标“興”的詩句中所出现 的草木鳥獸魚蟲類与鄭衆观点之间的比较、分析,考察一下它们之间有何逻 辑关系。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