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어류(魚類)의 한 종류인 장어(長魚)의 명칭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통시 적 고찰을 통해 장어(長魚)가 한자어 ‘만리(鰻鱺)’로부터 지금의 ‘장어(長魚)’에 이르 기까지의 의미 변화를 검토하고, ‘만리(鰻鱺)’가 아닌 ‘장어(長魚)’로 명명된 이유가 무엇인지, 현재 표준어에서 말하는 ‘장어(長魚)’가 무엇이고 어떻게 장어(長魚)의 종 류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장어(長魚)의 다양한 이름을 통해 한·중·일 언어문화교류 현상과 그 이름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장어의 한자어 ‘長魚’는 글자 그대로 ‘몸이 긴 물고 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장어류의 통칭이 아니라 오직 장어(長魚)의 하위 범 주에 속하는 ‘해만리(海鰻鱺)’의 속명(俗名)이었다. 15~19세기 장어(長魚) 이름과 관련 된 문헌의 내용을 종합해보니 이 단어는 조선 후기까지 ‘만리어(鰻鱺魚)’로 불렀고, 이후 뱀장어목에 속하는 모든 종(種) 또는 그 형상이 긴 물고기를 통틀어 ‘장어(長魚)’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그리고 표준어에서 장어(長魚)가 상위어로 된 계기는 물고 기 형상의 유사성, 장어(長魚)의 다양한 이명(異名), 장어(長魚) 이름에 사용된 한자 의 ‘다의어, 동음어, 이체자’ 현상 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장어(長 魚)의 다양한 이명(異名)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장어(長魚)의 이름을 통해 장어(長魚) 의 생태적 습성과 특징은 물론 장어(長魚) 이름에 담긴 한·중·일 언어적 해석 방식과 문자 표기상의 차이, 장어가 지닌 상징성과 문화적 함의 등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 다.
        5,5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고기는 인간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고 한국어에는 물고기 이름에 대한 단어가 예상보다 많이 존재한다. 많은 단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해당 범주 구성원이 많이 존 재하여 각 대상을 표현하는 단어가 더욱 상세한 변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그래서 물고기 이름의 연구는 사람의 인지 양상을 밝히는데 충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어류의 하나인 명태(明太)의 명칭에 주목하 여 고대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명태(明太)를 어떻게 명명하고 있고, 그 명칭의 어원과 유래는 어디에서 왔으며, ‘명태(明太)’라는 물고기 이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해외로 전파되었는지, 또 명태(明太)의 다양한 명칭의 종류와 유형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중·일 삼국의 명태(明太)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명태(明太)의 기원은 첫째, 명천에 사는 어부의 성씨에서 얻어진 이름으로 산지인 명천(明川)의 ‘명(明)’자와 어획한 어주의 성인 ‘태(太)’자를 따서 명명한 것이고, 둘째, 등 기름으로 명태 간의 기름을 사용하여 밤을 밝게 해주어 ‘밝을 명(明)’, ‘클 태(太)’,‘물고기 어(魚)’자로 ‘밝음이 큰 물고기’란 뜻으로 명명된 것이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명태(明太)의 발음을 살펴보면 중국어로는 ‘míngtàiyú’이고, 일 본어로는 ‘スケトウダラ’, 러시아어로는 ‘минтай(mintai)’로 우리나라 ‘명태’에서 그 이름이 시작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명태(明太) 명칭의 의미 및 인식은 한 국가 내에서 시기에 따라, 지역에 따라, 명태(明太)의 특징에 따라 나타나는 명태(明 太) 명칭은 파악할 수 있었고, 국가 간의 언어문화 교류 양상에 대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일 삼국의 명태(明太) 명칭 체계를 정립하고 추 후 삼국 사이의 언어문화 교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5,2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자는 언어를 기록하는 부호이자 도구로 문자의 가장 큰 기능은 언어의 정확한 표현과 기록을 위해서 문자의 변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류의 생활이 복잡해지면서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표현해야 하는 의미가 늘어나게 되었고 그렇게 되자 문자와 의미 사이의 대응 관계가 1:1의 대응 관계로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가차의나 인신의를 지니고 있는 글자의 다중 배역을 해결하고 문자 고유 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적용된 원칙이 바로 전주인 것이다. 육서 중에 전주는 다른 다섯 가지와는 달리 아직까지 그 개념이 명확하 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허신이 『설문해자·서』에서 말한 전주와 그 동안 전주에 대한 제설, 일반문자학의 시각에서 전주를 살펴보면서 가장 일반적이고 합리적인 전주의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 말하는 전주의 개념은 본의에서 이와 관련된 새로운 뜻이 파생되어 전용되는 인신(引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주자에는 ‘樂’자와 같이 한 글자가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고, ‘取’자와 같이 원래의 뜻과 연관된 다른 뜻이 파생되어 원래 글자에 의미를 덧붙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전주의 현상을 문자의 본질로부터 연구한 여러 학자들 의 전주에 대한 정의와 언어학의 각도에서 언어 그 자체의 현상을 조합한 가장 합리적인 견해라고 생각한다.
        4,9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전용 단말기로 전자책을 읽을 수 있는 시대이다. 최첨단 시대일수록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정보의 공유와 보존이 바탕을 이루는 디지 털화가 이루어져 있다. 즉 디지털화는 ‘정보의 공유와 보존’으로부터 나와야 하며 효 율적인 ‘공유와 소통’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세계 한자학자 들의 연구문헌 DB 구축은 종이라는 2차원적 정보매체를 세계 모든 사람에게 어디서 나 제공할 수 있는 3차원의 정보로 바꾸는 것으로 DB 속에 있는 다양한 정보를 공 유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세계 한자학자 연구문헌 DB는 현 시대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다. 구축된 세계 한자학 자 연구문헌 DB는 한자학사와 중국학, 언어학사 등의 넓은 영역에서 정확하고 통합적인 학술적 기초자료를 마련함으로써 앞으로 학계의 심화 연구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4,800원
        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자류주석』어별류에 나타나는 어류 명칭에 대한 한자학적 접근으로 먼저『자류주석』에 나타나는 다양한 어류가 어떠한 의미 기준으로 분류·수록하였는지 살펴보고, 『자류주석』의 한문 주석을 통해 어류의 종류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자류주석』한문 주석만으로 어류의 종류와 특징을 밝히기 어려운 경우 『우해이어보』·『자산어보』·『난호어목지』등의 문헌 자료를 참고하여 어류의 속성을 파악하여 각 어류가 지니는 다양한 명칭 및 이름의 어원 등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자류주석』어별류에 나타나는 어종은 ‘슈어’, ‘방어’, ‘련어’, ‘청어’, ‘부어’ 등으로 44종이다. 이러한 어종의 명칭은 대부분 ‘-어’계의 어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치’계는 ‘쥰치’로 하나 밖에 없다. 그리고 ‘쑈가리’, ‘젹이’, ‘모묻이’, ‘구’, ‘가물티’ 등은 기타 어휘 구조도 12개 존재한다. 그리고 『자류주석』어류 명칭은 ‘鱘’, ‘鯼’, ‘䱕’ 등 한자어 어류 명칭이 많았고, 참조한 문헌에서 한글 또는 다른 한자어로 사용되는 이명(異名), 별명(別名), 속명(俗名) 등의 다양한 어류 명칭을 살펴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표준어형을 바탕으로 지역에 따른 다양한 방언형이 나타나며, 색깔, 모양, 크기, 맛과 질, 서식지, 습성, 촉감,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명명 어휘가 발달해 있었다. 그리고 이 중에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19세기 어류 총서인 『우해이어보』·『자산어보』·『난호어목지』에 수록되지 않은 어종도 있었으며, 이후 잡지나 신문에 게재된 기사 내용을 통해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어종도 있었다. 이처럼 바다 생물어 중 어류 명칭 어휘의 목록체계화 작업은 우리말의 어휘장을 풍부하게 해주는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6,4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류주석』의 전거가 된 『훈몽자회』의 각 표제자를 『자류주석』에서 찾아 그 분류항목을 비교하여 분류항목의 분할과 통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분류 항목의 통합은 『훈몽자회』에서 여러 부류에 분류되어 나타나던 표제자가 『자류주석』에서는 하나의 부류에 분류 수록 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자류주석』에서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훈몽자회』 의 여 러 부류를 살펴보면 그 부류 역시 의미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자류주석』에서 『훈몽자회』의 여러 부류들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보다 폭넓은 의미 범주의 분류항목이 설정되어 통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분류항목의 분할은 『훈몽자회』에서 하나의 부류에 수록된 표제자가 『자류주석』의 여러 부류에 나타나는 분할의 양상을 말한다. 이러한 분류항 목의 분할은 『훈몽자회』에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로 분류항목이 설정되었다면 『자류주석』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의미로 분류항목이 설정되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류주석』에서는 『훈몽자회』에 수록된 한자들의 의미 구분을 매우 정밀하게 하여 분할과 통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4,600원
        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鮮文新玉篇』은 고종의 칙령으로 새로운 문자 생활이 시작되면서 시대 상황에 맞는 자 전 편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던 시기에 玄公廉이 편찬한 자전이다. 『漢鮮文新玉篇』의 한문 주석에 ‘【朝】’, ‘【日】’, ‘【華】’등의 표시가 있는 자형이 수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朝】’, ‘【日】’, ‘【華】’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朝】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 및 한자어,【日】은 일본에서 통용되는 한자 및 한자어,【華】는 중국에서 통용되는 한 자 및 한자어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漢鮮文新玉篇』에 나타나는【朝】를 중심으로 한국 고유 한자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漢鮮文新玉篇』에는 55자, 극히 소수의 한국 고유한자 가 출현하였지만 『漢鮮文新玉篇』을 포함한 여타 다른 자료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우리 고유한 자에는 우리의 생활방식이나 국가의 제도문화, 사유방식 등 상당히 풍부한 문화적 의미가 내 포되어 있다. 이러한 우리의 고유한자가 현 국어생활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아서 홀시되고 점 차 사라져가는 경향이고 이미 소실된 것도 상당수다. 그러나 우리 고유한자의 연구는 한국에 서의 한자 사용의 역사적 과정을 밝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고유의 문화적 정서를 찾 는 하나의 실마리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유한자의 발굴은 물론 그 하나하나에 대하여 학문적 구명은 반드시 필요한 일일 것이다.
        7,000원
        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ketch out the Jaryujuseok, edited by Yoon-yong Joeng in 1856. Jaryujuseok is classified Korean word books as well as a Chinese dictionary. It consists of 35 classified items which are based on 10,958 Chinese character-lemmas. There are two rare books called ‘Kyujanggakbon’ and ‘Myeoknambon’, however, ‘Myeoknambon’ is roughly assumed to be the original of Jaryujuseok rather than ‘Kyujanggakbon’ since papers used for ‘Myeoknambon’ is old, and the content seems written by one person as well as 四聲平仄 Zonglun’s red and green points described in introduction are found.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in accordance with Myeoknambon’. The total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Jaryujuseok contains is 10,958, which is divided into two books, 6,193 words in vol.1 and 4,765 words in vol.2. On the volume including天道部(499 words), 地道部(1,297 words), 人道部(I) (4,397 words); the next volume, including人道部(Ⅱ)(2,503 words), 物類部(2,262 words) and Appendix. 10,958 words of title in Jaryujuseok is divided into thirty-five meaning, each semantic class several areas of significance to the overall control of the income of Chinese characters, Income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same semantic class are interrelated in the sense. Jaryujuseok system is Chinese characters Korean Explanation, Chinese characters sound and Chinese character comment. Here are appear form information, pronunciation information, mean information etc.
        7,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