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응용한 개발은 디자인 소재의 다양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전통문화 개발과 영상 문화산업, 시각예술분야에서 새로운 이미지 소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원형 중 하나인 암각화를 응용한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활용 가능성과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이론적 고찰에서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암각화의 현황을 조사한 후 한국의 암각화에서 보여 지는 인물상을 조사하여 차이점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암각화에서 보여 지는 인물상의 특징을 조사 분석 후 시각적 표현요소로서의 차별화된 디지털 콘텐츠로 의미적, 예술적, 조형적 응용 가능성과 소재 사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전통문화 유산인 울산 반구대 암각화를 소재로 바위에 새겨진 인물상을 되살리고 캐릭터를 입체적인 3D 영상으로 재현함으로써 새로운 전통문화콘텐츠로의 활용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이는 전통과 문화산업, 시각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며, 최근의 트랜드인 융복합적 디지털 콘텐츠, 미디어 아트, 게임 캐릭터 등 다양한 소재로의 응용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가상현실에 대한 기술적 현황을 살펴본 후 3D MAX를 이용한 모션그래픽의 영상 제작과정을 기술하고, 구현된 디지털 콘텐츠가 창의적 시각적 표현요소로써의 차별화된 의미적, 예술적, 조형적 활용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전통 악기를 활용한 체험형 아케이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북 게임 장치와 같이 타격을 활용하여 전자음을 낼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공연에 참여하여 전통 악기를 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구, 북, 난타 등 다양한 전통악기를 연주 할 수 있는 확장팩과 타격 위치 및 타격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점수를 계산할 수 있는 아케이드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은 민속예술 중 장구춤과 북춤을 모션캡쳐 장비를 활용하여 섬세하면서도 고풍스러운 멋을 표현하여 문화바이처사업 및 학교 방과 후 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의상, 헤어 등 고품격 영상을 지향하여 장구 및 북춤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 제작, e-러닝 콘텐츠개발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은 전통 북을 이용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북 게임 장치와 같이 북의 타격시 둔탁한 소리가 나지 않고, 전통 북의 고유한 북소리를 낼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전통 북 공연에 참여하여 전통 북을 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 북의 타격 위치 및 타격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점수를 계산할 수 있는 전통 북을 이용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