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클로렐라 엽면시비가 고구마의 생육 및 수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클로렐라 엽면시 비구와 무시비구의 생육 비교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1개 식물체에서 수확한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수확 개수는 클로렐라 무시비구는 60.0개, 클로렐라 시비구는 71.2개로 클로렐라 시비구가 무시비구에 비교하여 19%정도 증가하였다 2. 고구마의 1개의 평균 무게는 무처리구 104.6 g, 클로렐라 시비구 105.7 g으로 클로렐라를 시비하였을 때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고구마 1.2 m2 구역 내 10개 식물체에서 수확한 고구마의 총 무게는 무처리구 6.3 kg, 클로렐라 시비구 7,5 kg로 20% 정도의 증수 효과를 확인하였다. 4.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자료에 의거한 소비자 선호 등급인 80-150g 내에 속하는 고구마의 비율은 클로렐라 시비구가 무처리구보다 1.7% 더 높았다. 5. 본 실험의 결과 클로렐라 시비구의 수확량 증가율이 19.9%로 1ha에서 약 5,085,000원 이상의 수익 증가를 기대할 수 있어 클로렐라 시비가 농가의 소득 증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attern of the “bie(别)+V+le(了)” structur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① “object+bie(别)+V+le(了)” ② “bie(别)+V+object+le(了)” ③ “bie(别)+V+le(了)+object”. These ar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jects. First, in terms of the negation focus, in pattern ①, the negative focus is the “verb”. In pattern ②, the negative focus is the “object” and in pattern ③, the negative focus is the “whole event”. Second,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the negation, pattern ① where the object is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represents very strong negation. However, pattern ② is more to express a kind of dissuasion or proposal and pattern ③ functions as a reminder or acts as a modal marker. In addition, in the “bie(别)+V+le(了)” structure, the object is the definite object that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know well, so they accept the modification of restrictive elements. Third, in pattern ③, only verbs with a meaning of [+removal] can be used in this pattern and the object should be an object that already exists because “le(了)” corresponds to “diao(掉)”.
기호성과 품질성이 우수한 전통부각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색소 함유 농산물과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약초부각의 공정개발과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초부각의 탈유율은 정치 3.5%나 타봉 8.9%에 비하여 원심력이 약 37.6%로서 효과적이었다(p에서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에서 녹차가 83.8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울금 39.48%, 흑미 28.45%와 복분자 22.25% 순이었다(p로 7일간 고온저장한 녹차와 복분자 발효약초부각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 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pH 값은 5.04~5.32로 시험구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원료 콩을 상압증자한 검정콩 간장이 가압이나 스팀보다는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4.26~7.72 mL로 나타났으며, 가압 증자한 검정콩 간장(4.26~5.61 m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압(7.32 mL), 스팀(5.99~6.96 mL)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원
검정콩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후,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308.3∼925.0 mg%로 나타났으며, 상압이나 스팀에 비하여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의 총질소 함량이 아주 낮았고, 스팀증자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33∼451.5 mg%로 나타났으며, 상압(451.5 mg%)이 가장 높았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