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 토양 및 Burkholderia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 PBSA film을 매립하여 PBSA의 생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80일간 매립 시험을 실시한 결과, 자연 토양에서는 PBSA film의 34.0%, B.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서는 59.2%의 질량 감소가 일어났으며 PBSA film의 표면 형태 변화도 B.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 매립한 경우가 자연 토양에 매립한 경우에 비하여 PBSA film
        4,000원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주와 김 2009)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 분해균 Burkholderia cepacia PBSA-7, Bacillus licheniformis PBSA-8 및 Burkholderia sp. PBSA-9에서 PBSA 분해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PCR을 수행하여 B.cepacia PBSA-7과 Burkholderia sp. PBSA-9는 약
        4,000원
        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
        4,000원
        4.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영, 인천, 군산 및 홍성의 해수 미생물에서 각종 어업용구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Mater-Bi®, PHBV, PBSA 및 PCL의 분해거동을 조사하였다. Acinetobacter lwoffu/junii와 Shewanella algae/putrefaciens는 모든 해수속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Eikenella corrodens 역시 비록 YITEK 결과의 신뢰도가 조금 낮은 수준으로 동정되었지만 모든 해수에서 검출되었다. 해수에서는 M
        4,000원
        6.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2003~2007 ]년 통영 바다목장 해역 5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은 겨울이나 봄 및 가을에 비하여 해수의 온도가 높은 여름에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정점별 변화는 특별한 변화 경향이 없었다. 2003년 10월 및 2004년 9월에는 태풍과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개체수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거나 저층수의 개체
        4,000원
        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20개 지역의 경작토, 쓰레기 매립토, 부엽토 및 활성오니토에서 채취한 40개 토양 시료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37℃에서 강화배양과 투명환시험법을 이용하여 PBSA를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세균은 16S rDNA 염기서열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sp. PBSA-1로 밝혀졌으며 진균은 형태적, 배양적
        4,000원
        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LA분해활성을 가진 고온성세균을 우리나라 경작토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 Geobacillus caldoxylosilyticus로 동정되었으며,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PLLA분해세균으로 밝혀졌다. 조절화된 퇴비화조건에서 멸균퇴비에 분리균주를 접종하고 58℃에서 40일간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균주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11000, 34000 및 2560
        4,000원
        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 9월과 11월, 2005년 1월, 5월 및 8월의 총 5회에 걸쳐 대한민국 통영연안의 1개 정점에서 표층해수를 계절별로 채취하여 해양세균 군집을 분석하였다.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하여 VITEK Microbe ID system으로 동정한 배양법과 16S rRNA PCR-DGGE로 분석한 결과를 상호비교하였다. 배양법에 의한 각 계절별 해양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2004년 9월은 5종, 11월은 5종, 2005년 1월은 4종, 5월은 6종 및 8월
        4,000원
        1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합성적으로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인 polycaprolactone (PCL)을 27˚C와 37˚C로 온도를 달리한 활성오니토양에 66일간 매립하여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PCL 필름의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PCL을 분해하는 토양진균과 토양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PCL을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토양진균으로는 Paecilomyces fumosoroseus KH27, Penicillium digita
        4,000원
        1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 marcescens LSY4가 충전된 BOD센서를 제작하여 표준오염물질을 포함한 수용액의 BOD를 측정하였다. 배양시간이 9∼16시간일 때에는 배양시간에 따른 BOD센서의 감응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균체량도 0.22~0.75mg cm-2의 범위에서는 거의 동일한 센서의 감응도를 나타내었다. 수용액의 pH가 4~9사이로 변화할 경우 센서의 감응도가 가역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수용액이 더 산성이거나 더 염기성이 되면 센서의 감응도가
        4,000원
        1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통영 바다목장 해역 5개 정점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평판계수법으로 측정하여 종속영양세균군집의 계절별 변동추이를 비교 분석하고, 우점종을 선별하여 동정하였다. 7월과 8월의 하절기에 채수한 해수에는 봄 혹은 가을 및 겨울에 채수한 해수에 비하여 모든 정점에서 훨씬 더 많은 종속영양세균이 검출되었다. 저층수에 비하여 표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의 수가 더 많았으나 동절기(2001년 12월과 2002년 2월)에는 해
        4,000원
        1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통영 연안해역 10개 정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 대장균군세균, 균류의 계절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미생물의 생균수는 평판계수법으로 측정되었고 종속 영양세균은 표층수에서 4월 3.1×102- 4.0×103cfu ml-1, 8월 2.7×103- 1.2×10-5 ml-1, 10월 1.3×
        4,000원
        1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ological qualit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for rice rolled in laver(Kimbab), Hamburger, Walnut cake and Chinese noodle (Jajangmyun), which were on sale in April and May 1995, in May and July 1997 and in January 1999, at 20 different resting places on Kyung-Bu, Ho-Nam, Joong-Bu and Young-Dong Highway in Korea.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not detected. However numerous coliform bacteria were dectected saying that the sanitary condition of foods on sale at resting places of the highways was not hygienic. There exited 8.8 × 10⁴∼6.6 × 10^5 cells/g of coliform bacteria in all the Kimbab sold in 1995. As for Hamburger, 1.8 × 10²∼4.7 × 10⁴ cells/g of coliform bacteria proliferated in all the samples. In 1997, E. coli was found in 16 cases and 21 cases respectively out of 22 Kimbab samples, Hamburger dealing at 7 resting places out of 14 were contaminated with 1.7 × 10²∼1.9 × 10^7 cells/g of coliform bacteria and Hamburgers dealing at 2 resting places were infected by E. coli. In contrast to the Kimbab and Hamburger, all the 6 Walnut cake samples were free from the microbial pollution exhibitory that their hygienic condition was satisfactory. 3 samples out of 6 Jajangmyun were contaminated by 7.1 × 10²∼2.0 × 10³cells/g of coliform bacteria, but E. coli was not detected. Compared Kimbab sold in 1995 and 1997 with 1999, Kimbab sold in it can be said that hygienic control for Kimbab should be performed more strictly during hot season than during cold season. Walnut cake was the safest against microbial contamination, followed by Jajangmyun, Hamburger and Kimbab in decreasing order, indicating that foods with mixed ingredients such as Kimbab and Hamburger were more susceptible to microbial infection, so that a more systematic safety control is needed for such foods during cooking, processing and distribution.
        4,000원
        1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존 유기물의 농도를 BOD로 신속히 측정하여 폐수 처리 공정에 feed back할 수 있는 Candida BOD sensor를 이용하여 BOD를 측정하였다. Glucose, acetic acid,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에 대한 sensitivity는 lactose, sucrose및 lactic acid의 sensitivity보다 더 높게 나타나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BOD sensor의 출력 신호가 다르게 제시되었다.
        4,000원
        1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mount of foreign livestock products distributed in the domestic market due to the market opening. Some vicious dealers sell the foreign beef in the trade name of the native beef during the final distribution step to arouse the social criticism frequently.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a method to distinguish the native beef from the foreign one scientifically using the PCR-RAPD, a recent gene technique. Hygienical safety was also examined using a microbiological test for toxicity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the food poisoning bacteria. The conditions of DNA amplification for the PCR analysis were 1 × Taq polymerise buffer, 1.5 mM MgCl₂, 50 uM dNTP, 100 ng primers, 2.5 unit Taq polymerise and 5-20 ng template DNA, with the final volume of 50 Etl. The size of the amplified product was detected mostly in the range of 0.5-2.0 kbp. The size of DNA, gene marking factor, which could be a criterion distinguishing the native beef from the foreign one, appeared approximately 1.2 kbp. The native beef was distinguished from the foreign beef with more than 90% of confidence by the gene marking factor. This method wa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breed discrimination between the native beef and the foreign one. The hygienical test results showed that, fortunately, neither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which form a principal cause of the food poisoning nor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 EHEC which have provoked a recent social disturbance, were detected at all.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