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an Pedro Department to determine the impact of different soil management practices on sesame productivity. Different tillage methods (conventional deep tillage, minimum tillage, and no-tillage), crop rotations (monoculture, double, and triple rotation), various combinations of green manure, and appropriate doses of chemical fertilizers were studi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o-tillage method combined with crop rotation (corn-cotton-sesame) and fertilization ha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1,548 kg/ha. In contrast, the conventional deep tillage method without fertilization showed the lowest productivity with 614 kg/ha. Incorporation of summer green manures (Mucuna pruriens) in minimum tillage methods with fertilization significantly improved productivity (1,010 kg/ha) in comparison with the same tillage method and fertilization but without Mucuna (720 kg/ha), which highlights the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ing green manures with chemical fertilizers. The treatment of winter green manures consisting of black oat + white lupine and black oat + radish h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 productivity of sesame with 904 and 900 kg/ha,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n-use of winter green manure and the use of chia, which had productivities of 695 and 298 kg/ha, respectively. The best chemical fertilization doses of nitrogen (urea 45% N), phosphorus (46% P2O5), and potassium (60% K2O) were determined through tests with increasing doses of each nutrient, maintaining 40 kg/ha as the base for the other two. The highest productivity was obtained with N, P, and K levels of 70 kg/ha each, resulting in productivities of 1,421, 1,522, and 1,486 kg/ha. However, the maximum profit compared to the input is obtained with doses of 50 kg/ha for N and 60 kg/ha for P and K, giving a productivity of 1,390, 1,510, and 1,421 kg/ha, respectively.
This article aims to compile key information to describe the current production situation of potatoes f or c onsumption and v irus- free s eed potatoes i n Paraguay, and to identify the main challenges for developing a self-sufficient production system. The study describes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production of potatoes and the nation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ituation, highlighting the dependence on imports for more than 90% of market demand. It analyz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virus-free seed potatoes, which depend on imports from Argentina, averaging 799.9 tons per year. Additionally, this study collects information on virus detection in local potatoes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introducing viruses through imported seed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Korea Partnership for Innovation of Agriculture (KOPIA) and the Paraguayan Institute of Agricultural Technology (IPTA) cooperation project promoted the production of virus-free seed potatoes for their distribution to smallholder farmers across various country regions, strengthening the foundations for future virus-free seed potat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mproving self-sufficiency in potato production in Paraguay requires an integrated strategy that includes analyzing suitable regions for seed potato production, implementing advanced technologies, and strengthening farmers’ technical capacity. Establishing virus-free seed potato production areas and securing governmental and legal support are crucial steps toward achieving sustainable seed potato production and reducing dependence on imports.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is an essential crop in the Paraguayan diet. It plays a crucial role in food security. It is a source of income for family agriculture. It has a significant potential to adapt to various climatic and soil conditions in Paraguay, making it a promising crop for improving productivity. However, Paraguay faces a deficit in the development of sweet potato cultivation technology, resulting in a low productivity of 5.3 ton/ha. Efforts have been made to collect and characterize sweet potato genotypes, covering a diversity of native varieties. These efforts have laid the groundwork for future sweet potato research and development. Still,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are needed to address existing challenges of improving genetic resource traits and developing cultivation technology and to fully exploit growth opportunities in this sector. This review summarizes sweet potato cultivation in Paraguay, focusing on several key technical aspects. It analyzes current market situation and production conditions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genetic materials adapted to different ecoregions. Additionally, it explores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weet potato crop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virus-free sweet potato plants with improved productivity.
현재 TSP(Touch Screen Panel)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태블렛 PC, 대형 광고용 TSP 등으로 점점 대형화되고 있다. 화면이 점점 대면적화되면 기존 ITO(Indium Tin Oxide)전극을 센서 전극으로 사용하면 응답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센서 전극을 ITO대신에 nano silver paste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합성법인 전자빔으로 nano silver powder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nano silver powder와 이미 개발된 submicron silver powder를 혼합하여 hybrid silver paste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aste를 이용하여 4㎛, 7㎛의 미세패턴을 구현할 수 있었다.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법의 장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폴리머 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여 터치패널용 미세 전극 패턴형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분자량이 서로 다른 2종류의 epoxy binder와 3종류의 silver powder 및 carbon powder를 이용하여 Ag paste를 제조하여 전극패턴 형성 및 이에 물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flake/spherical hybrid 및 고분자량의 epoxy binder로 제조한 Ag paste가 접착력과 전도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0/30㎛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TI치가 3.6정도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롤투롤 인쇄법인 폴리머 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30/30㎛ 전극패턴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터치스크린용 Ag pastes를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ITO film 위에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10장씩 인쇄하여 130℃ 10분 동안 건조 하였다. 여기서 130℃ 10분의 건조 조건은 ITO film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이다. 신뢰성 테스트는 염수테스트와 고온고습테스트를 진행한다. 각 테스트는 2장씩의 전도성 패턴 상태를 확인한다. 전도성 패턴을 침적 시킨 염수(NaCl 5% 녹인 증류수)를박스형 열풍 건조기(35℃)에서각 24, 48, 72시간 마다 상태를 확인하고 고온고습기(60℃ 90%)에서는 각120, 240시간 마다 상태를 확인하였다. 이런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서로 다른 Ag pastes의 접착력, 전도성의 변화 등을 알 수 있어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신뢰성 테스트에서 표면의 산소함량이 많은 Ag paste는 변색이 빨리 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하여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용 전면 전극을 제작하였고 그 물성을 검토하였다.집광형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종래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 설치비용 중 21%를 차지하는 실리콘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볼 형태의 구형 실리콘을 사용하였고, 입사되는 태양광을 최대한 활용하기위해 알루미늄으로 된 집광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필러로써 Flake 형태의 Ag 파우더를 사용하였고, 기재와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기 바인더로서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에폭시수지 고형분 12%를 첨가한 paste가 기재와의 접착성, 태양전지 광전변환효율, 내구성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전자 디스플레이에서 각광받고 있는 터치스크린은 급속한 정보화 사회 속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터치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패널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패널용 Ag 페이스트는 대부분 열 경화형 페이스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열 경화형 페이스트는 건조공정에 따른 열에너지 소비와 유기용제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는 열 경화형 Ag 페이스트가 아닌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UV 경화형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현재 시판중인 열 경화형 바인더 대신 UV 경화형 올리고머를 사용하였고 유동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단관능 모노머를 첨가하여 전도성 Ag paste 패턴형성을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열 경화형 Ag 페이스트만큼 접착력, 경도, 내성 등이 우수하였으며 미세패턴의 재현이 가능했으며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패터닝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chnegas를 사용한 검사는 단순 확산 누적을 통해 폐 영상을 이미지화하기 때문에 검사를 마친 후에 검 사실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작업 종사자와 검사를 기다리는 환자는 technegas 흡입으로 인한 내 부 피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중력환기 전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공간선량율 분포를 비교, 분석함에 따 라 방사선사, 의료진, 대기 환자의 피폭선량 저감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중력환기 전후 환자의 호흡기 위치에서 거리별, 각도별로 공간선량율을 10분 동안 측정하고 평균값, 표준 편차 및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중력 환기 전후 감소율은 최고 95.31%였고 가장 높은 감소율은 1 ∼ 3분 사이에서 나타났다. 중 력환기를 통해서 방사선 작업종사자, 대기환자, 환자 보호자 및 간호사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 론적으로 중력환기를 통한 피폭선량 감소 결과는 방호 최적화를 이루는 역할을 할 것이며 ICRP 103에서 권고한 의료 피폭 저감화에 부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