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을 첨가한 ZnS:Mn 형광체를 1000℃에서 4시간 고상반응법으로 소결하여 제조하였다. 결정 구조 및 광 특성은 XRD, PL 그리고 SE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XRD 결과, ZnS:Mn 형광체는 hexagonal 구조가 나타났고, Er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r2O3 구조가 관찰되었다. ZnS:Mn 형광체의 평균입자 크기는 약 15㎛였고, Er 첨가와 함께 ZnS:Mn, Er 형광체의 입자 크기는 감소하였다. 580nm 발광 피크는 ZnS:Mn, Er 형광체에서 Mn2+ 이온의 4T1→6A1으로의 전이에 의한 것이다. Er을 0.5mol% 첨가한 형광체의 발광 세기는 Er을 첨가하지 않은 ZnS:Mn 형광체보다 높았다. ZnS:Mn, Er 형광체에서 발광 세기의 증가는 Er3+에서 Mn2+로의 에너지 전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JPEG 코딩에 따른 잡음에 대한 효과적인 저감 방법을 제안한다. JPEG 코딩에 의한 대표적인 잡음으로는 블록 잡음과 링깅 잡음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잡음들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은 영상 내부의 모든 블록을 처리함에 따라 과도한블러링 뿐만 아니라 처리시간의 증가와 메모리 양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잡음의 검출과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모든 블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계산량 및 메모리 양을 감소시킨다. 검출 과정은 영상의 DCT 계수만을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된다.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행자 교통사고율은 야간에 특히 그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야간 보행자 감지 시스템을 장착한 모델들의 출시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 상용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고가 또는 다루기 까다로운 레이더 + 카메라, 다중 카메라 같은 복합적 센서를사용하거나, 나이트비젼과 같이 단일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운용 환경이 지극히 제한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적응적 이진화와 적분 영상을 이용하여 야간용 PDS에서 흑백 카메라를 사용하여 ROI(관심 영역)를 축소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조건에서 촬영된 동영상 프레임들에 대해 비교한 결과 제안 기법이 더 정확하고 환경 변화에 대해 견고함이 확인되었다. 기법 간 정확한 정량적 비교를 위해서 검출된 보행자와 비보행자 에지 화소수의 비를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영상의 앞/뒷면을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컨테이너 뒷면 손잡이 부분의 존재 유무를 앞/뒷면 영상의 판별 기준으로 정하고, 손잡이 영역이 컨테이너 표면 배경보다 밝다는 가정 하에 형태학적 필터를 사용하여 손잡이 영역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컨테이너 영상의 손잡이 영역의 밝기를 수직으로 누적하여 피크를 찾고 피크의 크기와 피크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영상의 앞/뒷면을 판별하였다. 많은 다양한 컨테이너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우수한 판별 성능을 나타내었다.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 기반의 양이온성 공액 고분자를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luorescenceresonanceenergytransfer;FRET) 에너지 주게로, fluorescein(Fl)이 레이블 된 단일 가닥 DNA(ssDNA-Fl)를 에너지 받게 물질로 이용하여 DNA 검출 시스템의 감도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FRET 속도는 에너지 주게-받게 간 거리에 매우 민감하여 주게-받게 간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FRET의 효율은 증가하나, 이와 동시에 광 유발 전자 전달 (photo-inducedchargetransfer;PCT)이 경쟁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PCT 과정은 FRET과 경쟁관계에 놓여있으며, FRET에 의해 유도된 센서 신호의 실질적인 세기를 감소시킨다. PCT 형광억제 현상 역시 거리에 매우 민감하여 주게-받게 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에너지 주게 및 받게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FRET과 PCT 간의 경쟁을 제어하기 위해 Layer-by-Layer(LbL) 기술을 도입하였다. 정전기적 인력에 따른 전해질의 흡착을 이용하여 전해질 다층 박막을 제작하고 전해질 층수를 달리함으로써, FRET 주게인 양 이온성 공액 고분자와 FRET 받게인 ssDNA-Fl 사이의 거리를 분자 수준에서 조절하였다. 이를 통해FRET에 의해 유도된 fluorescein의 형광 세기를 제어할 수 있음을확인하였다. LbL 기술을 이용한 분자 수준의 에너지 주게-받게 간 거리 제어를 통해 FRET과 PCT 사이의 경쟁을 제어함으로써 FRET을 기반으로 하는 고분자 바이온 센서의 DNA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최근 전자 디스플레이에서 각광받고 있는 터치스크린은 급속한 정보화 사회 속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터치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패널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패널용 Ag 페이스트는 대부분 열 경화형 페이스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열 경화형 페이스트는 건조공정에 따른 열에너지 소비와 유기용제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는 열 경화형 Ag 페이스트가 아닌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UV 경화형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현재 시판중인 열 경화형 바인더 대신 UV 경화형 올리고머를 사용하였고 유동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단관능 모노머를 첨가하여 전도성 Ag paste 패턴형성을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열 경화형 Ag 페이스트만큼 접착력, 경도, 내성 등이 우수하였으며 미세패턴의 재현이 가능했으며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패터닝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하여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용 전면 전극을 제작하였고 그 물성을 검토하였다.집광형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종래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 설치비용 중 21%를 차지하는 실리콘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볼 형태의 구형 실리콘을 사용하였고, 입사되는 태양광을 최대한 활용하기위해 알루미늄으로 된 집광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필러로써 Flake 형태의 Ag 파우더를 사용하였고, 기재와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기 바인더로서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에폭시수지 고형분 12%를 첨가한 paste가 기재와의 접착성, 태양전지 광전변환효율, 내구성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