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2권 제1호 (2016년 3월) 7

1.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문턱치 기반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셀(in-shell)헤이즐럿과 셀드(shelled)헤이즐럿의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헤이즐럿은 외피가 있는 인셀 형태, 내피만 있는 셀드 형태, 내피도 제거된 블랜치드 (blanched)형태, 그리고 모든 껍질을 제거한 후 알맹이를 볶아 판매하는 로스티드(roasted)형태로 제품화 된다. 그러나 생산, 이송과 가공 과정에서 외피가 쉽게 박피되기 때문에 각 단계별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인셀 헤이즐럿과 셀드 헤이즐럿을 구별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단계의 헤이즐럿 표면에 대한 영상처리 기반 분석을 바탕으로 18개의 문턱치 기반의 선별인자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선별이 가능한, 인셀 및 셀드 헤이즐럿의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선별에 적용한 결과 인셀 헤이즐럿의 선별 정확 도는 98%이며 나머지 셀드 헤이즐럿의 선별 정확도는 94%를 보였다.
4,300원
2.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MDS를 리간드로 하는 Pb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을 만들었다. 양자점 물질의 전자광학적 밴드갭 의 크기는 UV/VIS과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Pb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을 합성할 때 만 들어 지는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반응온도를 100~160℃ 사이에서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흡수스펙 트럼의 피크위치에 변화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HOMO와 LUMO 사이에 해당하는 밴드갭은 800~1200nm 에서의 피크 위치변화를 보였으며 피크위치의 변화량은 반응물질을 섞었을 때 반응용기 온도에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3.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dO와 황의 사용량을 달리하며 콜로이드상태의 CdS 양자점 물질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물질의 흡 수 및 발광스텍트럼으로 볼 때 약 1:3의 몰비 이하에서는 사용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이 로부터 반응물질의 사용량 비율에 관계없이 약 3.6nm 크기의 동일한 양자점 입자가 만들어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1:9의 반응비율에서는 의미있는 흡수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으며 발광스펙트럼의 모양도 매우 달라 앞 의 경우와 동일한 물질의 형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로부터 Cd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의 합성은 반응 물질의 사용량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그 비율이 너무 큰 경우에는 반응 자체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볼 수 있 다.
4,000원
4.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dSe/CdZnS core/shell/lignad 구조를 가지는 red quantum dot을 이용하여 indium tin oxide(양전극) glass 위에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PEDOT:PSS), CdSe/CdZnS quantum dot, 2,2,2"-(1,3,5-Benzinetriyl)-tris (1-phenyl-1-H-benzimidazole) (TPBi)을 순차적으로 스핀코팅을 하고, aluminium(Al) (음전극)을 진공 열증착 통해 다층구조를 제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quantum dot의 PL 측정과 흡수스펙트럼 측정을 통해 644 nm에서 PL peak가 나타나고, 602 nm에서 흡수 peak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제작된 소 자는 8 V에서 발광하기 시작하여, 이는 turn-on voltage로 판단하였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밀도와 휘도가 지 수함수적인 증가를 보였다. 스펙트럼의 peak는 11 V에서 629 nm이다가, 최대 동작전압인 17 V에서는 645 nm로 red shift하였고, 반치폭 또한 11 V에서 44.6 nm이다가 17 V에서는 52.3 nm로 넓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스펙트 럼의 변화에 따라 색좌표도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6.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자 크기가 약 16 및 5 nm인 두 다른 크기의 TiO2 나노입자들과 titanium tetraisopropoxide (TTIP) binder 와 ethanol 용매만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130 oC 저온 열처리로 ITO/PEN substrate 위에 메조다공성 TiO2 박막들을 형성하였다. 이들 TiO2/ITO/PEN 박막들을 활용한 유연 염료감응 태양전지들을 제작하여 광변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크기가 다른 두 TiO2 나노입자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cell들의 경우에 크기가 16 nm 인 TiO2 나노입자 cell이 5 nm인 나노입자 cell에 비해 박막의 porosity가 훨씬 크고 같은 질량에서 표면적이 훨씬 넓어 광변환 효율이 훨씬 높으나 염료 흡착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광전류는 입자간의 연결성에 기인되며 큰 입 자에 작은 입자를 10% 정도 혼합한 경우에 표면적 증가와 함께 입자간의 연결성을 강화시켜 큰 입자 단독으로 제작 된 cell에 비해 광변환 효율이 크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7.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성능 투명 전극의 개발은 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저가형 유연 유기 광전자 소자의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투명전극인 indium tin oxide (ITO)는 비싼 가격과 잘 깨어지는 특성 을 가지고 있어서 저가형 유연 전자 소자의 개발에 많은 제한을 주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 투명 전극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AgNW)는 우수한 전기 전도도와 광 투과 도를 가지고 저렴하며 뛰어난 유연성 때문에 ITO의 대체 투명전극으로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AgNW의 거 친 표면은 유기 광전자 소자의 누설전류를 크게 증가시켜서 소자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V 광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AgNW를 PET기판으로 transfer 시키는 방법으로 AgNW가 매몰된 유연 전도성 투명 기판을 제작하였으며, 이 기판은 낮은 표면 거칠기, 낮은 면저항과 높은 광투과도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gNW가 매몰된 유연 전도성 투명 기판은 유기전자소자의 대체투명전극 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