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uccessive habitual practice of dietary life and all the educational tasks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The reesults are as follows. Housewives in both countries prepare 「the same menu」 for dinner about 65%. 「The rate of domestic manufacturing of preservated food 」 is superior in Korea. 「Goch'ujang」 is made by the 92% of Koreans, 「Doenjang」 89%, 「Ganjang」 48%, 「Oiji」 44% and 「Kimchi」 40%. 「Umeboshi」 is made by the 65% of Japanese, 「Rakkyo-Zuke」 37%, 「Kajitsu-syu」 40%, and 「Miso」 27%. Two countries' common seasonings are 「Ganjang」, 「Salt」, 「Chemical condiment」, 「Sugar」, 「Pepper」, 「Doenjang」 and 「Vinegar」. Koreans use the traditional seasonings, and in addition flavoring vegetables and oil which is Korea's own characteristic. Japanese use western seasonings frequently besides traditional seasonings. 「Mother's representative food」 as home dish are conscentrated on each count's native food. 「Kimch'i lyu」 is made by the 42% of Koreans, 「Doenjangchigae」 39%, 「Dakgangjong」 31%, and 「Saongsonmaeuntang」 19%. 「Misoshiru」 is made by the 83% of Japanese, 「Nishime」 76% and 「Nikujaga」 38%. Korea has more diverse kinds of food. People eat out 「when they have special home events」, 「when they would like to do」, and 「when they are going out」, It means that to eat out is one of the daily dinning styles. Therefore, for those who are engaged in eating hous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form their righteous view of evaluation. Koreans learn more various items of table manner than Japan, which are the symbols of dietary culture. 「Carriage」 and 「Eating politely」 are common items. The extent to which 「people practice table manner」 and to which 「people think of it as being worth practicing」 are high in Japan than Korea.
        4,200원
        2.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ccession patterns of dietary culture and to find out all the educational problems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in both countries as the central fig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knowledge acquisition about food of annual custom is 58% in Korea and 72% in Japan. What the rate of knowledge acquisition is high among both countries’ similar food of annual custom are 「Seolnal(Gantan)」, 「Sambok(Doyonohi)」, and 「Chuseok(Tsukimi)」. Cooking experience of festive food is 45% in Korea and 58% in Japan. Among both countries' common festive food what cooking experience is high in Korea are 「Seolnal」 and 「Chuseok」, which are over 97%. In Japan those are 「Gantan」 and 「Tsukimi」, which are over 80%. Regarding learning experience of festive food 「Seolnal」 and 「Gantan」 are beyond 80% and 「Chuseok」 is 88%. In Japan 「Tsukimi」 is 71% and 「Omisoka」 is 85%. The learning sources of food of annual custom are parents and schools in common, and Korea has another learning sources, mass communication. Festive food that is cooked shows much similarity between two countries, but each country has originality. As common food of annual custom 「Seolnal」 has nine kinds of food, 「Sambok」 has three kinds, and 「Chuseok」 has five kinds in Korea In Japan 「Gantan」 has fourteen kinds of food, 「Doyonohi」 has three kinds, and 「Tsukimi」 has five kinds. The successive consciousness about food of annual custom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food in Korea. And Japanese consciousness is shown as an expansion-type on diverse food. Korean successive consciousness is 69.4% and Japanese consciousness is 82%. The higher the rate of knowledge acquisition, cooking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 are in both countries, the higher successive consciousness is. So we must note for the importance of home and school’s education.
        4,300원
        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민경제와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여 유색미 품종들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이들 유색미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들은 재배환경에 따라 변이가 크기 때문에 재배기술의 개선이 요구된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에서 개발한 유색미 벼품종 슈퍼자미를 실험품종으로 2013년과 2014년도에 등숙기 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출수 후 등숙기 적산온도에 따른 수량성과 C3G함량 등을 검토하였다. 2013년의 적산온도와 일조시간의 합은 3,511℃와 1,304시간, 2014년은 3,362℃와 1,241시간으로, 두 실험년도 간에는 적산온도와 일조시간의 합에서 차이가 컸다.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은 2013년이 2014년에 비하여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높았다. 일조시간은 2014년이 2013년보다 약 104시간이 적었다. 또한 강수량은 2013년과 2014년의 우기가 집중된 7~9월의 강수량은 599.3mm와 601.7mm를 기록하여 비슷하였으며, 8~9월의 강수량은 2014년이 많았다. 벼의 생육단계별 기상특징을 보면 2013년의 평균기온은 감수분열기와 개화기 사이가 2014년에 비해 높은 온도로 경과한 특징을 보였으며, 일조시간은 감수분열기와 개화기에는 2013년이 2014년에 비하여 길었고, 등숙기에는 2013년이 2014년에 비하여 짧아 생육단계별로 차이가 컸다. 2014년이 2013년보다 천연색소 C3G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014년의 등숙기는 2013년보다 일평균기온이 1.4~1.6℃ 저온에 경과하였고, 일조시간의 경우 2013년의 283시간, 2014년이 335시간으로 2014년이 52시간 길었으며, 일교차는 2013년이 10.4℃, 2014년이 11.3℃로 2014년의 일교차가 크게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었다. 종합적으로, 2013년의 적정 수확시기는 현미수량과 C3G함량, 등숙률 등을 감안할 시 출수 후 35~40일이 경과한 등숙기 적산온도가 803.7~893.1℃인 때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2014년의 적정 수확시기는 출수 후 39~44일이 경과한 등숙기 적산온도가 835.3~919.32℃인 때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능성 쌀 슈퍼자미는 출수 후 35일에서 44일경이 생리적 성숙시기로 평가되었다.
        4.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팥 바이러스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병징의 유형과 생육 단계별 감량정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병징 유형별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팥에 발생되는 바이러스병의 병징은 크게 mosaic, yellow mosaic 및 severe mosaic의 3가지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병징별 분포는 mosaic>severe mosaic>yellow mosaic 순이었다. 2. 성숙기까지 매개충 차단 재배시의 이병률은 1.5%(방임구 20.7%)로서 생육 후기에 감량될수록 이병률이 낮았으며 10a당 수량도 171kg으로서 방임구에 비하여 45% 증수되었다. 3. 지표식물 검정 결과 mosaic 유형은 CMV, yellow mosaic 유형은 AMV, severe mosaic 유형은 AzMV의 기주범위와 유사하였다. 4. 항혈청에 의한 각 병징별 반응결과 yellow mosaic 유형의 시요는 AMV 항 혈청과 mosaic 유형의 시요는 CMV의 항혈청과 침강선이 형성되어 각각 AMV 및 CMV의 한 계통으로 판정되었다. 5. 병징 유형별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yellow mosaic유형은 18~58 18nm의 타원형 입자가 다수 관찰되었고 mosaic 증상의 시요에서는 직경 30nm의 구형 입자, severe mosaic병징의 시요에서는 730 12nm의 사상형 입자와 봉입자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