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earning은 컴퓨터를 매체로 하는 학습을 말하는데 그 명칭이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함께 달라져 왔다. 초창기에는 컴퓨터 활용 수업을 CAI라 하였고 그 후 멀티미디어 학습, ICT 활용 교육, web 기반교육 그리고 e- learning이라고 하였다. e-learning은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자료수집, 정리, 변환을 도와준다. 그런데 이러한 장점을 살리려면, 우선 학습자가 학습하려고 하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e-learning의 유형으로는 사이버형, 브랜디드형, 보조학습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이버형은 의사소통의 전 과정이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브랜디드형은 교실 수업과 e러닝 형태의 교수․학습 활동을 총체적으로 기획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보조학습형은 교실수업이 정규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전자메일, 관련 사이트 지원 등 사이버 공간의 교육적인 기능을 보충, 심화 학습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이인숙, 2002). e-learning 자료를 자습용과 수업용으로 나누어 볼 수도 있다. 학생이 혼자서 학습내용을 컴퓨터에 의하여 제공받고 학습을 진행하는 것을 자습용 e-learning 자료라고 볼 수 있고, 수업용 e-learning 자료는 수업 시간에 교사에 의하여 활용되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료라고 볼 수 있다. 채동현 등(2000)의 연구를 보면, CAI를 통한 실험학습을 받은 학생은 전통적인 학습을 받은 학생에 비하여 과학적 태도와 개념에 관한 시험 성적이 아주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제작한 CAI 프로그램은 물의 양과 속도와의 관계, 물의 속도와 운반작용과의 관계, 물체의 무게와 이동거리와의 관계, 굽이쳐 흐르는 강의 종이배 속도, 굽이쳐 흐르는 강의 물체의 퇴적작용, 반듯하게 흐르는 강의 종이배 속도, 반듯하게 흐르는 강의 물체의 퇴적작용에서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형성에 효과가 있었다.
        7.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45년 이후 1987년까지의 국민학교 자연과의 교육과정 변천내용을 알아보았다. 교육과정의 체제, 목표,내용,지도법 등의 변천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교육과정의 체제는 일반적으로 목표, 내용, 지도법 등의 변천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교육과정의 체제는 일반적으로 목표, 내용, 지도법으로 되어있다. 주당시간수는 1.2학년은 2시간 3학년은 3시간 4,5,6학년은 4시간으로 되어있다. 목표는 지식의 이해, 탐구방법의 습득, 태도와 흥미의 강조, 실험실습기능의 습득이 강조되는 5차교육과정으로까지 발전되어 왔다. 교과내용을 보면 교수요목기, 1차, 2차는 생활 중심이었는데, 3차, 4차에서는 학문 중심적으로 생활과 관련된 단원은 제거되었다. 5차에서는 학문 중심적이며 생활 중심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생활 중심적인 내용도 첨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