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 해산 가두리 양식에 성공한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의 식품학적 평가를 위하여 육의 단백질,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간은 결과를 얻었다.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의 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22.6%, 5.4% 및 20.8%, 10.2%이었다. 은연어의 육단백질은 근형질단백질 29.9%, 근원섬유단백질 56.3%, 알칼리 가용성 단백질 12.5%, 근기질단백질 2.6%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무지개송어는 근형질단백질 34.1%, 근원섬유단백질 56.4%, 알칼리 가용성 단백질 8.3%, 근기질단백질 2.9%로 구성되어 있었다. 은연어의 근형질단백질의 구성 subunit는 13개였으며, 무지개송어는 16개였다. 한편 은연어 및 무지개송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의 구성 subunit는 각각 13개와 15개였다. 각육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어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으로 판단할 때 완전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육의 총유리아미노산 중에서 anserine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서 각각 61.8%와 48.2%에 해당하였다. 그외 비교적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타우린, 글리신, 알라닌, 1-mothyl histidine 및 히스티딘이었다.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육의 지방산 조성은 polyenes 31.49%와 30.96%, monoenes이 43.79%와 42.64%, 포화산이 24.73%와 26.40%였다. Polyenes중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15.28%와 14.97%로 가상 많았으며, monoenes에서는 oleic acid가 27.60%와 28.40%였고, 포화산인 경우는 palmitic acid가 19, 49%와 18.69%로 가장 많았다.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게임 제작사에서는 신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중 하나는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모션캡쳐를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소규모 업체들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모션캡쳐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게임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모션캡쳐 시스템을 활용한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기존의 제작방법을 단순화하여 시간적 경제적 이득을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게임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Kimchi containing 0%, 10%, 20%, and 30% of oriental melon peel parts. The Kimchi was fermented for 28 days at a temperature of 15℃. The pH, titratable acidity, total microbial counts, and lactic acid counts were measured,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taste, color,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evaluated. During the 28 days of fermentation, the pH dramatically decreased between the 7th and 21st day of the fermentation period, and maintained thereafter in control (0%). However, the pH in peel-added groups slightly increased up to the 14th day and decreased up to the 21st day with 4.13∼4.41. The total microbial counts in cont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eel-added groups. This trend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A similar trend was found in the lactic acid microbial count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During the sensory analysis, the values of tas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0% and 30% peel-added Kimchi, while the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0% peel-added Kimchi than those in control. This study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storage period of Kimchi products with 20% of oriental melon peel,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a commercial Kimchi manufacture.